$\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의 직장 내 약자 괴롭힘, 리더-구성원 교환관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Workplace Bullying and Leader-Member Exchange on Turnover Intention among Nurses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20 no.4, 2014년, pp.383 - 393  

한미라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목포가톨릭대학교 간호학과) ,  구정아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경운대학교 간호학과) ,  유일영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descriptive study was to identify the impact of workplace bullying and LMX (Leader-Member Exchange) on turnover intention among nurse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364 nurses from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ho were attending a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A struct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중 직장 내 약자 괴롭힘과 리더-구성원 교환관계의 영향요인을 중심으로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간호사의 직장 내 약자 괴롭힘 경험이 많을수록 이직의도가 높았으며, 리더-구성원 교환관계가 좋을수록 이직의도가 낮았다.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직장 내 약자 괴롭힘 경험과 리더-구성원 교환관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직장 내 약자 괴롭힘, 리더-구성원 교환관계, 이직의도를 파악하고, 세 변수의 관련성을 확인 후, 이직의도에 미치는 직장 내 약자 괴롭힘 경험과 리더-구성원 교환관계의 영향력을 확인하여 간호사의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한 간호사 인력 관리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 아직까지 국내에서 간호사의 직장 내 약자 괴롭힘 경험과 리더-구성원 교환관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초기단계로 간호조직의 단위에서 인력관리를 수행하는 관리자의 역할 및 리더십의 견지에서 이직과 연결되는 이직의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드물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간호사의 직장 내 약자 괴롭힘과 리더-구성원 교환 관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여, 간호사 인력자원의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직장 내 약자 괴롭힘 경험이란 무엇인가? 외국의 경우 직장 내 약자 괴롭힘 경험은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의 하나로 보고되면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4-6]. 직장 내 약자 괴롭힘 경험은 동료, 상관, 부하와의 대인관계에서 공격, 학대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의미한다[7]. 직장 내 약자 괴롭힘은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단순한 갈등과는 달리 자주 발생하고, 오랜 기간 동안 근무지에서 계속적으로 부정적이고 공격적인 행동에 노출되는 상황으로 피해자에게는 굴욕, 위협, 공포, 처벌로써 영향을 미치며 주로 심리적 속성과 관련 있다[8].
지금까지 국내에서 이직의도 관련한 연구는 어떻게 이루어졌는가? 0%이고, 신규간호사의 경우는 30.5%로 비교적 높게 보고되었는데[1], 지금까지 국내에서 이직의도 관한 연구는 주로 임파워먼트, 스트레스, 직무만족, 조직몰입, 소진과의 관계나[2] 직장-가정갈등, 감정노동, 간호사의 성격특성, 업무 관련특성, 인구사회학적 특성 등의 요인들을 복합한 설명 모형 등[3] 다양하게 연구되어 왔다.
신규간호사들의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하여 직장 내 약자 괴롭힘에 대한 인식과 개선을 위한 중재의 필요성을 무엇을 통해 알수 있는가? 직장 내 약자 괴롭힘 경험을 투입한 모형 2는 이직의도를 약 18% 설명하면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유의한 영향요인은 직장 내 약자 괴롭힘, 업무과중도, 종합병원 이상에 근무의 순이었다. 모형 2가 모형 1에 비해 설명력이 3%로 약간 상승된 이유는 본 연구대상자의 비교적 높은 근무경력과 다양한 근무지로 인해 직장 내 약자 괴롭힘 경험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감소시켰을 가능성을 유추할 수 있다. 특히 신규 간호사 대상의 선행연구에서 29.5%가 직장 내 약자 괴롭힘으로 인해 간호직을 그만둘 것을 고려한다는 결과[26]는 국내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신규간호사의 높은 이직률에 대해서도 일부 설명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높은 이직률로 알려진 신규간호사들의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하여 직장 내 약자 괴롭힘에 대한 인식과 개선을 위한 중재의 필요성을 보여준다고 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Hospital Nurses Association. (2011). 2010 Actual condition survey report of nursing staff [Internet]. Seoul: Korean Hospital Nurses Association. 2011 [cited 2014 February 9]. Available from http://www.khna.or.kr/web/information/resource.php 

  2. Moon SJ, Han SS. A predictive model on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1;41(5):633-641. 

  3. Kim CH, Yang ES, Kim YJ, Son YJ, You MA, Song JE. A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nurses' turnover inten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9;15 (4):550-562. 

  4. Quine L. Workplace bullying in nurses.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01;6(1);73-84. 

  5. Simons S. Workplace bullying experienced by Massachusetts registered nurses and the relationship to intention to leave the organization. Advances in Nursing Science. 2008;31(2):E48-E59. 

  6. Zapf D, Gross C. Conflict escalation and coping with workplace bullying: A replication and extension. European Journal of Work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2001;10(4): 497-522. 

  7. Einarsen S, Hoel H, Notelaers G. Measuring exposure to bullying and harrassment at work: validity, factor structure and psychometric properties of negative acts questionnaire-revised. Work & Stress. 2009;23(1):24-44. 

  8. Leymann H. The content and developing of mobbing at work, European Journal of Work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1996;5(2):165-184. 

  9. Nam W.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bullying and intention to leave among nurses in one university hospital [master's thesis]. Seou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2010. 

  10. Park KO, Kim SY, Kim JK. Hospital nurses' experience of bullying in the workplace and burnout, organizational commitment, turnover intension and nursing productivity.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3;19(2):169-180. 

  11. International Centre for Human Resources in Nursing. Workplace Bullying in the Health Sector [Internet]. Seoul: (2007 June). Retrieved February 10, 2014, Available from http://www.icn.ch/images/stories/documents/pillars/sew/ICHRN/Facts_Sheets/Workplace_Bullying_in_the_Health_Sector.pdf 

  12. Hutchison M, Vickeres MH, Wikes L, Jackson D. "The worse you behave, the more you seem, to be rewarded": Bullying in nursing as organizational corruption. Employee Responsibilities and Rights. 2009;21(3):213-229. 

  13. Hutchison M, Jackson D, Wilkes L, Vickers MH. A new model of bullying in the nursing workplac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s critical antecedents. Advances in Nursing Science. 2008;31(2):E60-E71. 

  14. Embree JL, White AH. Concept analysis: Nurse-to-nurse lateral violence. Nursing Forum. 2010;45(3):166-173. 

  15. Setton RP, Bennet N, Liden RC. Social exchange in organization: perceived organization support, leader-member exchange, and employee reciprocity. Journal of Applied Psyhology. 1996;81(3):219-227. 

  16. Liden RC, Maslyn JM. Multidimensionality of leader-member exchange: An empirical assessment through scale development. Journal of Management. 1998;24(1):43-72. 

  17. Yi HH, Yi YJ. Influence of leader-member exchange quality of head nurses and clinical nurse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4;20(2):195-205. 

  18. Liden RC, Erdgan B, Wayne SJ, Sparrowe RT. Leader-member exchange, differentiation, and task interdependence: Implications for individual and group performance.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006;27(6):723-746. http://dx.doi.org/10.1002/job.409 

  19. Han GH, Jekel M. The mediating role of job satisfaction between leader-member exchange and turnover intentions.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11;19(1):41-49. 

  20. Portoghese I, Galletta M, Battistelli A, Leiter MP. A multilevel investigation on nursing turnover intention: The cross-level role of leader-member exchange.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14; Jan 12. doi: 10.1111/jonm.12205. 

  21. Nam W, Kim JW, Kim YK, Koo JW, Park C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negative acts questionnaire-revised (NAQ R) for nurses for the assessment of workplace bullying.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Environmental Medicine. 2010;22 (2);129-139. 

  22. Choi JW. A causal relationship among critical reflective work behavior,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leader-member exchange, self-efficacy, and readiness for change of office workers in large corporations [master's thesis].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2. 

  23. Lawler EE. Satisfaction and behavior. New York. McGraw-Hill, 1983. p. 287-301. 

  24. Park, HS.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nursing care role orientation, job characteristics, and turnover among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Korea; 2002. 

  25. Han JH, Yang IS, Yom YH. An empirical study on burnout in clinical nurses: focused on bullying and negative affectiv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3; 19(5):578-588. 

  26. Vogelpohl DA, Rice SK, Edwards ME, Bork CE. New graduate nurses' perception of the workplace: have they experienced bullying? 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2013;29(6):414-422. http://dx.doi.org/10.1016/j.profnurs.2012.10.008 

  27. Rodrigez-MunozA, Baillien E, Witte HD, Moreno-Jimenez B, Pastor J. Cross-lagged relationships between workplace bullying, job satisfaction and engagement: Two longitudinal studies. Work & Stress. 2009;23(3):225-243. http://dx.doi.org/10.1080/02678370903227357 

  28. Kim YH, Choi JH, Kim KE. The impact of job overload, relationship with senior on nurses' intention to quit their jobs-mediating role of emotional exhaus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9;15(3):372-381. 

  29. Griffin, M. Teaching cognitive rehearsal as shield for lateral violence: An intervention for newly licensed nurses.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 in Nursing. 2004;35(6):257-263. 

  30. Fouka, G. Mantzorou, M. What are the major ethical issues in conducting research? Is there a conflict between the research ethics and the nature of nursing? Health Science Journal. 2011;5(1):3-1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