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설-연역적 수업 프로그램이 창의적 사고와 비판적 사고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Hypothetico-deductive Teaching Programs on Creative Thinking, Critical Thinking and Scientific Attitude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27 no.3, 2007년, pp.225 - 234  

박은미 (이화여자대학교) ,  강순희 (이화여자대학교)

초록

이 연구는 가설-연역적 방법론에 따른 수업 모형의 개발과 그에 따라 고안된 수업 프로그램의 현장 적용이 창의적 사고, 비판적 사고 및 과학적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먼저, 가설-연역적 방법론에 따른 수업 모형을 개발하였고, 개발한 모형을 직접 활용할 수 있도록 수업 프로그램을 고안하여 학교 현장에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수업 프로그램의 적용은 창의적 사고력 및 비판적 사고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설-연역적 수업 프로그램은 과학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수업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가설-연역적 수업 프로그램에 대한 의견을 설문 조사한 결과, 학생들은 수업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과학적인 생각, 새로운 생각, 비판적인 생각을 계속 해야 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끼고 부담스러워했으나, 수업 프로그램이 종료된 후에는 스스로 생각하는 능력이 생겼다고 진술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was conducted with an intention to develop a teaching program that possesses a goal of elevating higher thinking ability within the science class and to investigate its effect. The hypothetico-deductive teaching model was developed and its' program was designed to be directly put into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설문지를 제작하였다. 설문지에서는 수업 프로그램 활동을 수행하면서 좋았던 점, 어려웠던 점, 자신에게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하는 점 등을 질문하였다. 또한 활동 과정 중 창의적인 생각, 과학적인 생각, 비판적인 생각, 모둠원들과의 토론이 가장 많이 필요했던 단계와 그 이유는 무엇인가라는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 이 연구는 가설-연역적 방법론에 따른 수업 모형의 개발과 그에 따라 고안된 수업 프로그램의 현장 적용이 창의적 사고, 비판적 사고 및 과학적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 과학적 의문점을 해결하려면 과학 지식이나 과학적 탐구 능력뿐만 아니라 창의적인 사고가 필요하고, 합당한 창의를 위해서라면 필연적으로 비판적인 사고를 거쳐야 함을 전제로 과학 교과 내에서 고등 사고력의 향상까지 목표를 확장한 수업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서 본 연구에서는 가설-연역적 방법론에 따른 수업 모형을 개발하고, 이 모형을 학교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수업프로그램을 고안하여 수업 프로그램의 현장 적용이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와 비판적 사고 및 과학적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강순희, 김지영, 박은미(2004). 에너지 때문에 상태가 변했어요- 중학교 1학년 과학 탐구수업 지도자료(7), 서울; 교육인적자원부서울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 강순희, 김덕희, 김효진, 박인숙, 윤이진, 이선향, 이윤하, 이은주, 홍혜인(2006). 물질 변화에서의 규칙성-중학교 3학년 과학 탐구수업 지도자료(5), 서울; 교육인적 자원부서울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3. 권용주, 정진수, 박윤복, 강민정 (2003). 선언적 과학 지식의 생성 과정에 대한 과학 철학적 연구 귀납적, 귀추적, 연역적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3), 215-228 

  4. 김광수, 정완호 (1996) 생물 실험 지도에 있어서 가설 검증 수업 모형의 적용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6(4), 365-375 

  5. 김재우, 오원근, 박승재 (1999) 중학교 1학년 학생 들의 탐구 문제에 대한 변인 판별 및 통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4), 674-673 

  6. 김한호, 권재술 (1995). 발견학습모형과 가설검증모형에 대한 이론적 분석과 현장 적용 연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14(2), 149-162 

  7. 김지영, 강순희 (2006). 중등학교 과학 교사들의 탐 구 과정의 활용 정도와 가설에 대한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2), 258-267 

  8. 김효남, 정완호, 정진우 (1998) 국가 수준의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의 평가 체제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3), 357-369 

  9. 박은미, 강순희 (2006a). 유사경험의 제공이 귀추에 의한 가설 설정에 미치는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 (3), 356-366 

  10. 박은미, 강순희 (2006b). 과학적 태도와 과학적 가 설 생성 능력의 관계 분석. 교육과정평가연구. 9(2), 357 - 371 

  11. 박종원 (2004). 과학적 창의성 모텔의 제안 인지적 측면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2), 375-386 

  12. 윤덕근, 김성하, 차희영, 이길재, 정완호 (2004). 과 학고 학생들의 창의력과 과학적 사고력 향상을 위한 생 물 실험 모듈의 적용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3), 556-564 

  13. 이윤종 (1997). 현행 중등학교 과학 실험, 실습 교 육 실태 조사 및 그 운영 진단(I).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7(4), 435-450 

  14. 정완호, 김영신, 권용주, 박윤복 (2000). 초.중.고등학교의 교과 내용, 평가와 과학적 사고력의 분석에 대한 연구 '99년도 한국생물교육학회 동계학술대회 및 논문발표회. 인천교육대학교 

  15. 조연순 (2001). 창의적 . 비판적 사고력과 교과 지식의 융합을 위한 교수 학습 모형으로서의 문제 중심 학 습(PBL) 고찰. 초등교육심리, 14(3), 295-316 

  16. 조희형, 이문원, 조영신, 지찬수, 강순희, 박종윤, 허 명, 김찬종 (1995) 고등학교의 과학적 탐구력 신장을 위한 과학 학습 지도 방법과 자료의 개발에 관한 연구 I.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5(1), 54-67 

  17. 허경철, 김흥원, 조영태, 임선하, 양미경, 한순미, 이혜원, 김용선 (1990). 사고력 신장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연구(IV). 연구 보고 RR90-17. 한국 교육개발원 

  18. 허명 (1984). 과학 탐구 평가표의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2), 57-63 

  19. 홍은숙 (1999) 지식과 교육. 서울: 교육과학사 

  20. 황성원, 김희경, 유준희, 박승재 (2001).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개방적 탐구에서 과학적 탐구기능에 대한 자기 평가 수행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 (3), 506 SIS 

  21. Adsit, D. J., & London, M (1997). Effects of hypothesis generation on hypothesis testing in rule discovery task. Journal of General Psychology, 124(1), 19-35 

  22. Fisher, H. R. (2001). Abductive reasoning as a way of worldmaking. Foundations of Science, 6, 361-383 

  23. Hanson, N. R. (1995). 과학적 발견의 패턴: 과학의 개념적 기초에 관한 탐구(송진웅.조숙경 역). 서울: 민늠사(원저 1958 출판) 

  24. Kerr, N, L. (1998). Harking: Hypothesizing after the results are known.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Review, 2(3), 196-217 

  25. Lawson, A. E. (1995). Science teaching and the development of thinking. Belmont, CA: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26. McPeck, J. E. (2002). 비판적 사고와 교육(박영환. 김공하 역). 서울: 배영사(원저 1981년 출판) 

  27. Popper. K. R. (1994). 과학적 발견의 논리(박우석 역). 서울: 배영사(원저 1959, 1968 출판) 

  28. Roadranka, V., Yeany, R. H., & Padilla, M J. (1983). Th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group assessment of logical thinking.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g. Dallas, Texas 

  29. Torrance, E. P. (2002/2004). Torrance TTCT(언어) A 형 (김영채 역). 대구: 토란스 창의력 한국 FPSP/현곡 R&D(원저 2002) 

  30. Watson, G. & Glaser, E. (1994). Watson-Glaser critical thinking appraisal. Harcourt Brace Jovanovich, Inc 

  31. Zohar, A, Weinberger, Y, & Tamir, P. (1994). The effect of the biology critical thinking project on the development of critical think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2), 183-19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