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근거 이론을 적용한 가상 비서의 사용자 경험 분석 - SKT 가상 비서 'NUGU'를 중심으로 -
An User Experience Analysis of Virtual Assistant Using Grounded Theory - Focused on SKT Virtual Personal Assistant 'NUGU' - 원문보기

한국HCI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HCI Society of Korea, v.12 no.2, 2017년, pp.31 - 40  

황승희 (삼성전자 소프트웨어센터 차세대인터랙션팀, 홍익대학교 시각디자인학과) ,  윤재영 (홍익대학교 시각디자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016년 9월 1일 국내에 처음 출시된 가상 비서 음성인식 디바이스 SKT 'NUGU'의 행태를 분석하기 위한 질적 연구이다. 연구를 위해, 해당 기기를 한 달 이상 사용한 사용자 9명을 대상으로 각 1시간 이상의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인터뷰 자료는 전사하여 개방코딩, 축 코딩, 선택코딩을 통한 근거 이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심층인터뷰 내용에 대한 362개의 개념을 도출하였으며 16개의 하위 범주와 10개의 상위 범주로 추상화하였다. 개방 코딩이 진행된 이후에는 축 코딩을 통해 전반적인 사용 행태를 파악하고자 패러다임 모형을 제시하였다. 선택코딩을 진행하여 이야기 윤곽의 전개를 통한 핵심범주를 도출하였으며, 코딩의 결과로 사용 행태를 유형화하였다. 유형화 결과, 크게 의존형과 탐구형의 사용 행태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각 유형이 해당 기기에 관하여 어떠한 콘텐츠를 선호하며, 어떤 불편사항이 있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의존형 사용자는 음성인식 기술을 활용한 스피커 제어 기능 때문에 구매하였고, 기기의 제어 방식에서는 대체로 만족하였으나 가상 비서 서비스를 다각도로 활용하기보다는 음성제어가 가능한 블루투스 스피커로 이용하는 한계를 보였다. 탐구형 사용자는 스마트홈과 관련된 사물인터넷 관련 제어를 활용하거나 양방향 소통을 시도 하였으나, 현재 해당기기와 연결되는 서비스가 부족하고, 원활한 양방향 소통이 불가능하다는 한계를 느껴 지속적인 사용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향후에 국내 가상 비서 서비스를 제안하고자 할 때에 활용할 수 있는 가상 비서의 사용자 경험에 관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a qualitative research about the virtual personal assistant, voice recognition device SKT 'NUGU' which was launched on September 1, 2016. For the study, an in-depth interview was committed with the 9 research participants who had used this device for more than a month. For the result of the i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기기는 사용자의 평소 습관과 행동 방식을 일정한 패턴으로 인식하고 학습하여 사용자를 파악하는 것에서 시작된다. 가상 비서 서비스는 이를 통해 사용자 개인별로 필요한 것을 파악하여 마치 실제 인간 비서와 같은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주로 음성 인식 센서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인식한 뒤, 주변 편의시설의 위치 혹은 날씨, 뉴스 등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제공해주는 방식으로 활용한다.
  • 본 연구에서는 개인 비서 음성인식 디바이스인 SKT ‘NUGU’를 선정하여 국내 사용자의 경험을 연구하고자 질적 연구 방법인 근거이론 방법론을 차용하였다. 가상 비서 서비스와 같은 지능형 서비스와 제품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경험에 관한 총체적인 의미를 이해하고자 질적 연구 방법을 택하였다.
  • 이들은 의존형 사용자에 비해, 가격이 현재보다 조금 오르더라도 자신의 만족감을 해소하기 위해 구매했을 것이라는 의사를 내보였다. 또한 음성인식 기술의 장점을 통해 스마트 기기를 사용하는 것에 많은 어려움을 느끼는 어르신들에게 추천하고 싶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또한, 지속적은 기술의 발전으로 업데이트되는 기능에 사용자의 환경과 생활 패턴을 파악하여 기능을 추천해주는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기대한다고 답하였다.
  • 본 연구는 2016년 8월 31일 국내에 정식 출시된 국내 최초의 가상 비서 음성인식 디바이스 SKT ‘NUGU’의 사용 행태를 분석하기 위한 질적 연구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 본 연구는 가상비서 음성인식 디바이스 SKT ‘NUGU’의 사용자로부터 사용 경험을 이해하고 이들의 사용 행태의 과정과 원인에 관한 이론적 모형을 제시하여 추후에 가상 비서 음성인식 디바이스를 제안할 때에 참고할 수 있는 기초 자료 혹은 제언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미래 산업의 큰 부분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는 인공지능 서비스 중에서도 가상 비서 서비스에 주목하여 질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단락에서는 본 연구의 연구 주제인 가상비서 서비스의 정의와 기술적 특징을 살펴보고, 국내외 사례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이 사용하기에 최적화된 국내 처음 출시된 SKT 가상 비서 음성인식 디바이스 ‘NUGU’의 사용자 경험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업데이트되거나 새롭게 제안될 가상 비서 서비스를 제안하기 위한 인사이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 적용성은 양적 연구의 외적 타당도에 해당하는 것으로 연구가 다양한 방식으로 실제 상황에서 융통성있게 사용될 수 있는가를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해당 기기가 출시되지 얼마 되지 않아 문헌 연구가 많이 부족한 관계로, 적용성을 확인하기 위해 연구 참여자에게 결과를 요약 설명한 후, 그들의 표현을 적절히 해석하였는지에 관한 확인작업을 거쳤다. 일관성은 양적 연구의 신뢰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질적 연구에서는 연구 참여자의 일관적인 사용 행태를 의미한다.
  • 이는 연구 참여자들의 맥락에서 사실적인 것을 얼마나 발견하였는가에 대한 것으로 해당 기기의 사용 행태에 대한 관찰을 얼마나 사실적으로 진행하였는가를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해당 기기를 사용하는 사 용자의 실질적인 사용 행태를 사실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사용하는 모습을 재현하는 인터뷰 과정을 갖고, 관찰하였다. 적용성은 양적 연구의 외적 타당도에 해당하는 것으로 연구가 다양한 방식으로 실제 상황에서 융통성있게 사용될 수 있는가를 의미한다.
  • 본 연구는 가상비서 음성인식 디바이스 SKT ‘NUGU’의 사용자로부터 사용 경험을 이해하고 이들의 사용 행태의 과정과 원인에 관한 이론적 모형을 제시하여 추후에 가상 비서 음성인식 디바이스를 제안할 때에 참고할 수 있는 기초 자료 혹은 제언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자는 해당 기기를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 중 한 달 이상 사용해본 사람들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선정된 연구 참여자는 총 9명으로 각각 1시간 이상의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여 인터뷰 내용을 연구 자료로 수집하였다.
  • 인과적 조건은 SKT‘NUGU’를 사용하게된 원인으로 개념화 되었으며 중심현상은 ‘음성만으로 제어 가능’, ‘다양한 음성 명령어 실험’ 이라고 명명하고 SKT ‘NUGU’를 사용하게 되는 개인적인 원인이라는 중점으로 형성되어지는 개념을 이해하였다. 이러한 중심현상과 관련하여 중심현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이를 경감,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는 중재현상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한정적 기능’, ‘음성인식 기술의 한계’로 명명하였다.
  • 본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 중 하나인 근거 이론 방법론을 사용하였으며, 연구자의 주관적인 통찰과 관찰, 해석, 분석이 개입되기 때문에 연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판단하기 위한 평가 절차가 필요하다. 이에 Guba와 Lincoln(1981)이 제시한 4가지 평가 요소를 통해 연구의 객관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4가지 평가 요소는 사실적 가치, 적용성, 일관성, 중립성으로 이러한 척도를 중심으로 실험의 객관성을 파악할 수 있다.
  • 따라서, 본 연구는 2016년 9월 1일 출시된 가상 비서 서비스이자 국내 최초의 지능형 음성인식 디바이스인 SKT ‘NUGU’를 연구 대상으로, 해당 디바이스와 서비스를 직접 경험한 사용자와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인터뷰를 통해 파악된 사용자 의견을 기반으로 앞으로 제안될 지능형 제품 혹은 가상 비서 서비스에 대한 인사이트를 제공하는 것에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상 비서 서비스란? 가상 비서 서비스(Virtual Personal Assistant, 이하 VPA)는 기계적 메커니즘으로 인해 구조화된 기기로 사용자의 행동패턴과 생활 습관 등을 학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1]. 이 서비스는 주로 음성인식기술을 활용한 자연어 처리 방식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사용자와 긴밀하게 상호작용하는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국내 최초의 가상 비서 서비스 제품 출시일은? 4cm인 가정용 지능형 제품으로 그림 2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2016년 8월 31일 SK텔레콤(SKT)아에서 출시한 국내 최초의 가상 비서 서비스 제품이다. 친구, 연인, 가족, 비서 등 고객이 원하는 ‘누구’라도 될 수 있다는 의미를 가진 ‘NUGU’는 사용자가 전용기기에 대화하듯 말하는 방식으로 실행시킬 수 있다.
가상 비서 서비스의 의미 추론 단계별로 지능 수준은? 표 2는 가상 비서 서비스의 의미 추론 단계별로 지능 수준을 구분해 놓은 표이다. 첫 번째 단계는 ‘Assisting Chatbot’으로, 가장 낮은 수준의 지능을 가졌고, 패턴 맞추기를 통한 단순한 자극 혹은 반응을 보이는 방식의 챗봇(Chatbot) 형태이다. 소프트웨어에 사용자가 요청할만한 대화의 패턴을 미리 입력해 놓고, 요청이 들어오면 어떤 대답을 할지 설정해 놓은 대로 챗봇(Chatbot) 엔진이 인식하고 처리하는 방식이다. 두 번째는 ‘Intelligent Assistant’으로 자연어 처리와 온톨로지 기반 검색 기술을 활용하여 명령을 처리하는 방식의 지능형 비서이다. 애플(Apple)사의 아이폰(i-phone)에 제공되고 있는 서비스인 시리(Siri)가 해당 지능 수준에 해당한다. 현재 상용화되고 있는 대부분의 가상 비서 서비스는 1단계와 2단계의 의미 추론적 지능 수준을 지니고 있다. 세 번째는 ‘Cognitive Assistant’으로 미리 답을 정해놓지 않고, 가상 비서가 스스로 세운 가설을 토대로 해답을 찾아가는 처리 방식을 보인다. 이는 아이비엠(IBM)사의 왓슨(Watson과 같이 아직은 보급형으로 제공되지 못한 높은 지능 수준의 지능형 제품이 해당된다. 마지막 단계에 해당하는 ‘Conscious Assistant’는 스스로 의식을 지닌 존재로, 현재는 공상 과학 영화에 등장하는 소재로 종종 등장하고 있지만 실제로 만둘 수 있는 기술이 부족하다. 영화 ‘허(Her)’에 등장한 가상 비서인 ‘사만다(Samantha)’가 지니고 있었던 지능 수준 단계에 해당한다. 본 연구에서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있는 가상 비서 서비스인 SKT ‘NUGU’는 현재 1단계를 기반으로 구성된 가상 비서 서비스이며, 향후 지속적인 업데이트를 통해 2단계로 발전할 것으로 예상되는 의미 추론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

  1. 윤수진. 뉴 실버세대의 감성 커뮤니케이션과 맞춤형 가상비서 콘텐츠 연구. 박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조형디자인학과. 대한민국 : 경기도. 2016. 

  2. KB경영연구소. 인공지능 기술의 발달과 가상 개인 서비스의 진화. pp. 1-8. 2016. 

  3. Creative & Smart. 앱의 시대에서 가상 비서의 시대로, Virtual Personal Assistant, https://blog.lgcns.com/1242. 2016. 

  4. Russel, S. J. and Norvig, P. Artificial Intelligence: A Modern Approach. 2003. 

  5. 진홍윤. 정보통신정책연구원. 글로벌 ICT 기업의 가상비서 서비스 동향. pp. 32-40. 201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