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장기요양보험 방문간호 권고군의 방문간호 이용과 의료 이용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Home-Visit Nursing Services and Health Care Utilization among Nursing Service Recommended Beneficiaries of the Public Long-Term Care Insurance 원문보기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 보건행정학회지, v.24 no.3, 2014년, pp.283 - 290  

강새봄 (국민건강보험공단 인력개발실) ,  김홍수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home-visit nursing services and health care utilization under the public long-term care insurance program in Korea. Methods: We analyzed the long-term care need assessment database and the long-term care and the health insurance claim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장기요양인정, 장기요양급여 및 건강보험청구 자료를 활용하여 장기요양 대상자 중 방문간호서비스가 필요하다고 권고된 방문간호 권고군의 방문간호 이용과 의료이용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방문간호서비스 이용과 의료 이용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방문간호서비스 이용은 외래 횟수 및 외래 비용과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입원서비스의 경우 방문간호 고이용군에서만 입원비용과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 표준급여모형에 따라 산출되는 수급자의 신체기능 및 건강상태에 따른 필요한 급여의 종류와 양을 권고하는 장기요양자 표준이용계획서에는 장기요양 방문 간호욕구를 가진 대상자에 대하여 방문간호서비스 이용을 권고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방문간호서비스의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되어 방문간호서비스를 권고받은 군(이하 방문간호 권고군)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이들의 방문간호 이용 여부와 의료이용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 방문간호 권고군의 방문간호서비스 이용과 의료 이용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이차자료를 이용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 인정자 중 방문간호서비스가 필요하다고 판단된 방문간호 권고군의 방문간호서비스 이용과 의료 이용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결과는 방문간호이용은 외래 비용과 횟수를 낮추고, 방문간호 고이용군에서 입원 비용을 낮추는 대체효과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 본 연구는 장기요양 방문간호 권고군의 방문간호서비스 이용 여부에 따른 의료 이용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방문간호 권고군의 인구사회 및 건강 관련 특성을 파악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방문간호서비스는 어떠한 점에서 의의가 있는가?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내에서 제공되는 방문간호서비스는 장기요양 재가서비스 중 유일하게 보건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급여이다. 방문간호서비스는 장기요양보험제도 내 선택서비스로 병원중심 가정간호나 의원급 외래 등 유사서비스보다 낮은 비용에 제공되며 장기요양 대상자의 건강문제를 다룬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4,5]. 외국의 경우 재가 노인의 기능 저하를 예방하기 위한 방문간호 중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6,7].
연구에 의하면, 방문간호의 의의는 어떠한가? 외국의 경우 재가 노인의 기능 저하를 예방하기 위한 방문간호 중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6,7]. 연구들은 간호사에 의해 제공되는 방문간호서비스에 의해 재가 노인의 시설 입소 혹은 병원 입원 위험이 낮아지며[8,9], 이를 통해 방문간호서비스가 의료서비스 이용과 의료비 절감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쳐 보건의료서비스 질향상에 긍정적인 역할이 있음을 보고하고 있다[10].
2008년 7월 사회보험인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도입된 이유는 무엇인가? 급격한 고령화와 후기 고령자의 증가에 따른 장기요양 욕구의 증가로 2008년 7월 사회보험인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도입되었다. 2012년 12월 말 기준, 장기요양보험의 인정자는 노인 인구의 약 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2 Long-term care insurance statistical yearbook. Seoul: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3. 

  2. Lee JM, Park MJ, Han EJ, Seo EU. Management plan for the medical care needs of nursing home residents. Report no. 2012-19. Seoul: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2. 

  3. Markle-Reid M, Browne G, Weir R, Gafni A, Roberts J, Henderson SR.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home-based nursing health promotion for older people: a review of the literature. Med Care Res Rev 2006;63(5): 531-569. 

  4. Lee JS, Han EJ, Kang IO. The characteristics and service utilization of home nursing care beneficiaries under the Korean long term care insurance.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2011;22(1):33-44. 

  5. Lee TW. Economic evaluation of visiting nurse services for the low-income elderly with long-term care needs. J Korean Acad Nurs 2004;34(1): 191-201. 

  6. Chen YM, Thompson EA. Understanding factors that influence success of home-and community-based services in keeping older adults in community settings. J Aging Health 2010;22(3):267-291. 

  7. Tomita N, Yoshimura K, Ikegami N. Impact of home and community-based services on hospitalisation and institutionalisation among individuals eligible for long-term care insurance in Japan. BMC Health Serv Res 2010;10(1):345. DOI: http://dx.doi.org/10.1186/1472-6963-10-345 

  8. Oyama Y, Tamiya N, Kashiwagi M, Sato M, Ohwaki K, Yano E. Factors that allow elderly individuals to stay at home with their families using the Japanes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Geriatr Gerontol Int 2013; 13(3):764-773. DOI: http://dx.doi.org/10.1111/ggi.12002 

  9. Fortinsky RH, Madigan EA, Sheehan TJ, Tullai-McGuinness S, Fenster JR. Risk factors for hospitalization among Medicare home care patients. West J Nurs Res 2006;28(8):902-917. DOI: http://dx.doi.org/10.1177/0193945906286810 

  10. Hughes SL, Cummings J, Weaver F, Manheim L, Braun B, Conrad K. A randomized trial of the cost effectiveness of VA hospital-based home care for the terminally ill. Health Serv Res 1992;26(6):801-817. 

  11. Lim JY, Kim EJ, Choi KW, Lee JS, Noh WJ. Analysis of barriers and activating factors of visiting nursing in long-term care insurance. J Korea Contents Assoc 2012;12(8):283-299. DOI: http://dx.doi.org/10.5392/JKCA.2012.12.08.283 

  12. Chung YS. A study on home visiting nursing care and medical care utilization in the Elderly Patients with Long-term care [dissertation]. Gimhae: Inje University; 2012. 

  13. Kwon JH, Han EJ, Lee JS. Redesign of the standard benefit model for long-term care services. Report no. 2011-13. Seoul: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1. 

  14. Andersen RM. Revisiting the behavioral model and access to medical care: does it matter? J Health Soc Behav 1995;36(1):1-10. DOI: http://dx.doi.org/10.2307/2137284 

  15. Kwon SM, Yang BM, Lee TJ, Oh JH, Lee SH. Equity in health care utilization in Korea. Korean Health Econ Rev 2003;9(2):13-24. 

  16. Fuchs VR. "Though much is taken": reflections on aging, health, and medical care. Milbank Mem Fund Q Health Soc 1984;62(2):143-166. DOI: http://dx.doi.org/10.2307/3349821 

  17. Jang EJ, Jung SY, Hwang JS, Lee JY, Shim JI. Methods for the control of measured confounders in outcomes research. Seoul: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2013. 

  18. Kim JG. Factors affecting the choice of medical care use by the elderly person. J Welf Aged 2008;39:273-302. 

  19. Jang SN, Rhee S, Cho SI. Functional limitation and medical care utilization among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J Korean Geriatr Soc 2007;11(4):198-204. 

  20. Naylor MD, Aiken LH, Kurtzman ET, Olds DM, Hirschman KB. The care span: the importance of transitional care in achieving health reform. Health Aff (Millwood) 2011;30(4):746-754. DOI: http://dx.doi.org/10.1377/hlthaff.2011.0041 

  21. Kim MH, Kwon SM, Kim HS. The effect of long-term care utilization on health care utilization of the elderly. Korean J Health Econ Policy 2013;19(3):1-22. 

  22. Teng YH, Teng JJ, Lee MY, Hsieh MH, Chen YJ, Lin JY, et al. Determinants of emergency medical utilization among the elderly population in Taiwan: a national longitudinal cohort study. Arch Gerontol Geriatr 2013;56(2):364-369. DOI: http://dx.doi.org/10.1016/j.archger.2012.10.012 

  23. Xu H, Weiner M, Paul S, Thomas J, Craig B, Rosenman M, et al. Volume of home- and community-based Medicaid waiver services and risk of hospital admissions. J Am Geriatr Soc 2010;58(1):109-115. DOI: http://dx.doi.org/10.1111/j.1532-5415.2009.02614.x 

  24. Jeon BY, Kwon SM, Lee HJ, Kim HS. Factors associated with health service utilization of the disabled elderly in Korea. J Korean Geront Soc 2011;31(1):171-188. 

  25. Dunlop DD, Manheim LM, Song J, Chang RW. Gender and ethnic/racial disparities in health care utilization among older adults. J Gerontol B Psychol Sci Soc Sci 2002;57(4):S221-S233. DOI: http://dx.doi.org/10.1093/geronb/57.4.s221 

  26. Han EJ, Kang IO, Kwon JH. A study of determinants on institutionalization of elderly using home care services. J Korean Gerontol Soc 2011;31(2).259-27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