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방문간호 연구동향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in Visiting Nursing in South Korea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9 no.11, 2019년, pp.71 - 80  

변진이 (경북대학교 간호학과) ,  김혜진 (펜실베니아 주립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에서 발표된 방문간호 관련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1993년부터 2018년까지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282편을 분석하였다. 방문간호 연구는 1993년을 기점으로 시작되어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2014년에서 2018년에는 67편(23.8%)으로 그 수가 다소 감소하였다. 또한 우리나라 방문간호 3가지 유형 중 의료기관 가정간호 관련 연구가 154편(53.5%)으로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연구주제는 주로 방문간호 서비스(40편, 13.8%) 및 방문간호 프로그램 및 기술 개발(38편, 13.1%)과 관련된 주제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방법으로는 양적연구가 269편(95.4%)으로 질적연구 9편(3.2%), 혼합연구 4편(1.4%)에 비해 높은 비율로 수행되었으며, 양적연구 중에서도 조사연구가 177편(65.7%)으로 가장 많았다. 본 연구는 방문간호 관련 연구의 동향을 파악함으로써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고, 방문간호 관련 중재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research trends in visiting nursing through an analysis of 282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Korean journals between 1993 and 2018. The number of research papers has consistently increased since 1993 while it slightly decreased in 2014-2018. Of the three types of vis...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방문간호의 연구 동향을 분석한 시도[18]가 있었으나, 이는 의료기관 가정간호 관련 연구만을 분석하여 방문간호 연구 전반에 관한 동향 파악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방문간호 연구의 동향을 통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추후 방문간호 실무 및 연구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1993년부터 2018년까지 26년간 국내에서 수행된 방문간호 관련 연구 동향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국내에서 간호학을 비롯한 타 학문분야에서 방문간호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방문간호 연구를 연도별로 고찰하여 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함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은 한국연구재단 학술연구분야 분류표의 중분류에 따라 학술지 학문 분야를 제시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방문간호 논문이 출판된 학술지 학문 분야를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방문간호란? 방문간호는 가정에서 의료를 제공받는 의료서비스로, 크게 1) 의료기관 중심의 가정간호, 2) 보건소 방문건강관리사업, 그리고 3) 노인장기요양보험 방문간호로 구분된다[8]. 의료기관 가정간호는 환자가 병원을 퇴원한 이후에도 필요한 의료서비스를 집에서 제공 받을 수 있는 서비스로 의료비 절감과 제한된 의료자원의 효율적 활용을 목적으로 한다[9].
방문간호는 크게 어떻게 구분되나? 방문간호는 가정에서 의료를 제공받는 의료서비스로, 크게 1) 의료기관 중심의 가정간호, 2) 보건소 방문건강관리사업, 그리고 3) 노인장기요양보험 방문간호로 구분된다[8]. 의료기관 가정간호는 환자가 병원을 퇴원한 이후에도 필요한 의료서비스를 집에서 제공 받을 수 있는 서비스로 의료비 절감과 제한된 의료자원의 효율적 활용을 목적으로 한다[9].
방문간호의 중요성은 어떠한 것이 있는가? 13], 자기 관리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14]. 또한, 입원 및 시설입소를 조기에 예방함으로써 의료비를 절감[15]시키고 의료서비스의 접근성이 떨어지는 대상자에게 의료서비스의 지속성 및 질적 효과를 보장하는 것으로 나타나 그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H. S. Ryu. (2007). Home health care in Korea-home health care nursing, visiting health care nursing, visiting health car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Care Nursing, 14(2), 98-105. 

  2. Statistics Korea. (2018). Korean social trends. Daejeon: SK. 

  3. S. A. Park & J. Y. Lim. (2017). Performance and requirements of visiting nursing care in long-term care insurance using the OMAHA system.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Care Nursing, 24(2), 181-188. DOI : 10.22705/jkashcn.2017.24.2.181 

  4. W. J. Lee. (2018). Recent research trend analysis of elderly welfare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Korean Aging Friendly Industry Association, 10(2), 31-39. 

  5. H. C. Baek & J. H. Moon. (2016). The development of home visiting nurses' professional competencie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Care Nursing, 23(2), 233-242. DOI : 10.22705/jkashcn.2016.23.2.233 

  6. A. Tourangeau et al. (2014). Factors influencing home care nurse intention to remain employed.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2(8), 1015-1026. DOI : 10.1111/jonm.12104 

  7. E. O. Park. (2019). Current state and the future tasks of home visit nursing care in South Korea.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44(1), 28-38. DOI : 10.5393/JAMCH.2019.44.1.028 

  8. M. S. Sung, H. J. Jang, C. G. Kim, K. H. Kang, K. A. Nam & J. D. Park. (2010). Comparative study of nursing care services under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in four nation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4(2), 211-225. DOI : 10.5932/JKPHN.2010.24.2.211 

  9. M. S. Hwang, S. J. Lee, Lim, N. Y & M. K. Lee. (2011). Job descriptions of hospital based home care nurse practitioners in Korea by DACUM techniqu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Care Nursing, 18(1), 48-57. 

  10. H. J. Bae & J. H. Kim. (2015). Estimating need for home visiting nurse from public health centers.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12(1), 23-32. DOI : 10.16952/pns.2015.12.1.23 

  11.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8). Long term care insurance statistical yearbook 2017. Wonju: NHIS. 

  12. W. S. Jung & E. S. Yim. (2016). Factors associated with the changes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older adults with stroke: a comparison of home care and institutional car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7(4), 388-398. DOI : 10.12799/jkachn.2016.27.4.388 

  13. K. Lee & E. Cho. (2017).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rehabilitation needs for older adults with a stroke: a comparison of home care and nursing home care. Japan Journal of Nursing Science, 14(2), 103-111. DOI : 10.1111/jjns.12139 

  14. G. S. Kim, I. S. Ko, T. Lee & E. J. Kim. (2014). Effects of community-based case management by visiting nuses for low-income patients with hypertension in South Korea. Japan Journal of Nursing Sciences, 11(1), 35-43. DOI : 10.1111/j.1742-7924.2012.00229.x 

  15. Y. Oyama, N. Tamiya, M. Kashiwagi, M. Sato, K. Ohwaki & E. Yano. (2013). Factors that allow elderly individuals to stay at home with their families using the Japanes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Geriatrics and Gerontology International, 13(2), 764-773. DOI : 10.1111/ggi.12002 

  16. G. Lee, S. J. Yang & E. WOO. (2018). Past, present, and future of home visiting healthcare services based on public health centers in Korea.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32(1), 5-18. DOI : 10.5932/JKPHN.2018.32.1.5 

  17. E. O. Lee et al. (1992). Analysis of studies of anxiety and stress conducted in Korea from 1970 to 1990,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2, 271-296. 

  18. S. Kim & B. E. Kwon. (2000). Current situation and perspectives for home care nursing research in Korea.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Care Nursing, 7(1), 39-57. 

  19. Y. J. Kim et al. (2019). Research trends of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from 2000 to 2017: text network analysis of keyword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5(1), 80-90. DOI : 10.22650/JKCNR.2019.25.1.80 

  20. D. H. Shim. (2009). Design of remote health monitoring system based on USN. Journal of Advanced Information Technology and Convergence, 7(4), 183-187. 

  21. H. Cho & I. S. Kang. (2009). Development of nursing process information system for the home health car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0(5), 1126-1132. DOI : 10.5762/KAIS.2009.10.5.1126 

  22. Y. Byun. (2010). An study on the use of long-term home care service in agricultural districts. Korean Social Security Studies, 26(3), 383-308. 

  23. C. J. Park. (2010). Determinants of long term care service use of family caregiver. Journal of Community Welfare, 33, 69-92. 

  24. C. R. Song, M. K. Lee, M. S. Hwang & Y. M. Yoon. (2014). The current state of hospotal-based home care services in Korea: analysis of data on insurance claims for home care from 2007 to 2012.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Care Nursing, 21(2), 127-138. 

  25. H. J. Kim et al. (1993). A study of development on the payment system of home health care nursing.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Care Nursing, 1, 5-56. 

  26. M. J. Jo & H. J. Hyun. (1995). A study on home health care service and the level of client satisfactio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Cara Nursing, 2, 52-59. 

  27. H. S. Ryu, E. S. Park, Y. J. Park, K. S. Han & J. Y. Lim. (2003). A workload analysis of a visiting nursing service based on a health center in Seou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3(7), 1018-1027. 

  28. S. L. Kim & K. Y. Lee. (1999). Visiting nursing activities provided by public health nurses in a health center.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Care Nursing, 6, 59-65. 

  29. J. H. Kim & M. S. Song. (2015). The health service performance frequency and educational needs among the visiting nurses of public health center.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Care Nursing, 22(1), 22-37. 

  30. H. K. Nam & K. S. Cho. (2015). Job analysis of the nurses who work in customized visiting health care services using DACUM technique. The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22(3), 205-218. DOI : 10.5953/JMJH.2015.22.3.205 

  31. H. Y. Kim, H. S. Chung, B. J. Jeon & M. H. Shin. (2010). Educational needs analysis for development of home healthcare nurse specialist education program.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Care Nursing, 17(2), 135-143. 

  32. J. Y. Lee, K. J. Jeon & S. H. Cho. (2017). Competencies of nurses in a maternal early childhood sustained home-visiting progra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8(4) 397-409. DOI : 10.12799/jkachn.2017.28.4.397 

  33. M. A. Choe et al. (2014). Trends in nursing research in Korea: research trends for studies published from the inaugural issue to 2010 i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nd the journals published by member societies under Korean academy of nursing scien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4(5), 486-494. DOI : 10.4040/jkan.2014.44.5.484 

  34. S. G. Yeoum, S. A. Park & J. Y. Lee. (2019). Trends in multicultural nursing research in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ulticultural Health, 9(1), 1-8. 

  35. S. Y. Kang. (2008). Customized nursing care types and process: focusing on home care service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14(1), 13-25. 

  36. S. J. Koh et al. (2014). Home hospice palliative care service in Korea: based on focus group interview.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5(1), 37-52. DOI : 10.7465/jkdi.2014.25.1.37 

  37. D. H. Byeon. (2015). Plan for invigoration of visiting nursing center in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elderly- through SWOT analysi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9(2), 203-218. DOI : 10.5932/JKPHN.2015.29.2.203 

  38. I. J. Lee & C. S. Lee. (2011). A narrative inquiry of experience of the elderly's living with chronic disease in hospital-based home care service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Care Nursing, 18(1), 20-31. 

  39. M. H. Park & S. J. Kang. (2012). Analysis of the trend in qualitative research and future directions in Korean special education. Korean Journal of Physical, Multiple, and Health Disabilities, 55(2), 205-226. 

  40. N. K. Denzin & Y. S. Lincoln. (2005). The sage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3rd ed. Thousand Oaks, CA: Sage 2005. 

  41. A. Funakoshi, Y. Miyamoto & M. Kayama. (2006). Visiting nurses service station managers; Recognition of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staff nurses who provide home care for people with mental illness. Journal of Japan Academy Nursing Science, 26(3), 67-76. 

  42. M. E. Muntinga, K. M. van Leeuwen, A. P. D. Jansen, G. Nijpels, F. G. Schellevis & T. A. Abma. (2016). The important of trust in successful home visit programs for older people. Global Quantitative Nursing Research, 3, 1-11. DOI : 10.1177/2333393616681935 

  43. Y. Nakamura. (2013). Expert visiting nurse station managers expectations of visiting nurses performance; based on manager involvement in personnel utilization and training. Journal of Japan Academy of Nursing Science. 33(4), 33-42. DOI : 10.5630/jans.33.4_3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