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인 남성의 객체화 신체의식에 따른 외모관리행동 연구
A study on male adult'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ccording to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원문보기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복식문화연구, v.22 no.5, 2014년, pp.809 - 822  

이미숙 (공주대학교 의류상품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ale adult'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ccording to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The subjects were 648 male adults aged from 20 to 59 and measuring instruments consisted of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subje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지금까지의 객체화 신체의식에 대한 선행연구는 여성을 대상으로 소수의 연구만이 진행되었을 뿐(An, 2007; Jeon & Chung, 2011; Jeon & Yoo, 2011; Kim, 2007), 남성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연구는 거의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50대의 성인 남성을 대상으로 객체화 신체의식과 외모관리행동을 알아보고, 객체화 신체의식에 따라 성인 남성의 외모관리행동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는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환경이 성인 남성의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성인 남성의 외모관리행동을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며, 또한 성인 남성을 대상으로 하는 외모관련업체들에게는 남성시장을 세분화하고, 세분시장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상품기획 및 마케팅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 그러나 주로 20~30대의 외모관리 실태와 태도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며 다양한 연령층에 걸쳐 외모관련 구매행동을 포함하여 조사한 연구는 아직까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50대의 폭넓은 연령층의 성인 남성을 대상으로 객체화 신체의식을 조사함으로써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환경이 성인 남성의 외모관리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지는 파악하고, 외모관리행동을 외모관리동기, 정보원 활용, 관리비용, 외모관리경험, 외모관리의 필요성과 수행의도 등 구매행동을 포함한 보다 다양한 외모관리측면을 중심으로 객체화 신체의식과 외모관련행동과의 관계를 파악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성인 남성의 객체화 신체의식과 외모관리행동을 알아보고, 객체화 신체의식에 따른 외모관리행동의 차이를 조사하였으며, 본 연구결과를 통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외모관리행동에 주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되는 객체화 신체의식을 독립변인으로 하위차원을 파악하고, 성인 남성의 객체화 신체의식 수준을 알아봄으로써 외모지상주의 가치관이 팽배한 한국의 사회문화적 환경이 성인 남성에게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판단되며, 나아가 지나치게 외모를 중시하는 사회문화적 영향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자아존중감을 높이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도 도움이 되리라 여겨진다. 또한 본 연구는 외모관련 산업에서 주요 소비계층으로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성인 남성 소비자를 세분화하고, 세분집단의 특성을 파악하였으며, 외모관리행동을 구매동기, 정보원 활용, 구매비용, 다양한 외모관리경험과 수행의도 등 외모관리구매행동을 포함한 다양한 측면에서 조사하였으므로, 본 연구결과는 남성을 대상으로 하는 외모관련 산업체에게 남성 소비자의 특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하고, 이에 따른 상품개발과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본 연구를 위한 설문지는 의류학 분야의 박사학위를 지닌 5명의 전문가와의 토의를 통해 문항의 내용 타당성을 조사하였으며, 대전지역에 거주하는 20~50대의 남성 60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객체화 신체의식 척도의 신뢰도를 조사하고, 각 설문문항의 내용에 대한 이해도를 확인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20~50대의 성인 남성을 대상으로 객체화 신체의식과 외모관리행동을 알아보고, 객체화 신체의식에 따라 성인 남성의 외모관리행동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으며,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외모관리란 무엇인가요? 외모관리란 개인이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자신의 역할을 연기하면서 자신의 개성을 표현해가는 과정을 의미한다(Kaiser, 1990). 개인은 자신의 모습을 다른 사람에게 제시하는 과정에서 사회문화적으로 제시된 이상적인 미적 기준과 자신을 비교하고 평가하며, 그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의복연출, 체형관리, 피부관리, 메이크업, 헤어관리, 성형수술 등의 다양한 외모관리행동을 수행한다.
객체화 신체의식이란 무엇인가요? 객체화 신체의식이란 자신을 전인견적 주체의 일부로 보지 않고, 관찰하고 이용할 객체로 간주하는 것을 의미한다. 객체화 이론에 따르면, 외모를 중시하는 사회적 환경의 영향은 자연스럽게 자신의 외모에 대한 습관적인 감시와 통제를 통해 자신의 신체를 타인에 의해 평가되는 객체로 인식하는 자기대상화를 유발하며(Fredrickson & Roberts, 1997), 사회적으로 제시된 이상적인 신체기준을 내면화하고, 이 기준과 비교하여 자신의 신체를 지속적으로 감시하고 바라봄으로써 자기가치와 정체성의 근원을 신체적 외모에 두려는 경향을 보이고 외모에 치중하게 된다고 주장한다(McConnell, 2001).
주성분분석과 Varimax 회전방법을 사용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3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는데 그 3가지는 무엇인가요? 성인 남성의 객체화 신체의식에 대한 구성차원을 알아보기 위해 주성분분석과 Varimax 회전방법을 사용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3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첫 번째 요인은 자신이 생각하는 이상적인 모습이 아닐 때 수치심을 느끼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신체수치심’으로 명명하였고, 두 번째 요인은 자신의 신체보다는 외모에 집중하고 타인에게 자신의 모습이 어떻게 보여지는가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신체감시성’으로 명명하였으며, 세 번째 요인은 외모는 유전보다는 자신의 노력에 의해 변화 또는 향상될 수 있다고 믿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통제신념’으로 명명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An, N. Y.(2007). The effects of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 appearance and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on appearance-management behavio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2. Calogero, R. M., Davis, W. N., & Thompson, J. K. (2005). The role of self-objectification in the experience of women with eating disorders. Sex Roles, 53(1-2), 43-50. 

  3. Fredrickson, B. L., & Roberts, T. A. (1997). Objectification theory: toward understanding women's lived experiences and mental health risks.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21(2), 173-206. 

  4. Gim, W. S., Park, E. A., & Timothy, T. (2009).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body-esteem and self-construals in East Asian women; a crossnational study on Korean, Chinese, and Japanese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14(1), 23-46. 

  5. Gim, W. S., Ryu, Y. J., & Park, E. A.(2007). The Korean version of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scales(K-OBCS): development and validation.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26(2), 329-349. 

  6. Ha, J. K.(2009). Clothing and make-up behavior by appearance management motiv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20(30), 385-396. 

  7. Jeon, H. J., & Chung, M. S.(2011). The influences of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and body esteem on weight and hair management behavior.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9(6), 1272-1287. 

  8. Jeon, J. H., & Yoo, T. S.(2011). Directional relationships of public self-consciousness and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 appearance and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on image management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5(11), 1333-1345. 

  9. Jung, H. J., & Lee, Y.(2011). The expected values of appearance management of 20s-30s and 40s-50s male consumers on their men's suit buying behavio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5(2), 125-135. 

  10. Kaiser, S. B.(1990). The social psychology of clothing: symbolic appearance in context (2nd ed.). New York: Macmillan. 

  11. Kim, C. H.(2011). A study on appearance concern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by type of men's fashion lifestyl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sung University, Busan, Korea. 

  12. Kim, M. J., & Park, H. R.(2010). Appearance management typology & the related factors in 20-30's male consumer. Journal of Science, 36, 105-122. 

  13. Kim, Y.(2007). The effects of sociocultural pressure, internalization ideal beauty stereotype,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on body satisfaction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ung Kyun Kwan University, Seoul, Korea. 

  14. Kretchmar, J. L.(2001).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in african American and Caucasian college-age women of varying physical activity level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North Carolina, USA. 

  15. Ku, Y. S., Lee, Y. J., & Choo, T. G.(2010). A study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of male consumers(I) -focusing on the ag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lothing Industry, 12(4), 459-466. 

  16. Ku, Y. S., Lee, Y. J., & Choo, T. G.(2011). A study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of male consumers(II).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lothing Industry, 13(1), 91-99. 

  17. Lee, M. S.(2013). A study on adolescents'body esteem and clothing behaviors according to the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Journal of the Korean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15(2), 43-56. 

  18. Lee, S. H.(2012). Influence of fashion lifestyle factor of 30s and 40s male on their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 Kyun Kwan University, Seoul, Korea. 

  19. Lee, Y. J.(2007). Male consumers' motives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1(4), 551-562. 

  20. Lim, B. H.(2010). The effects of adolescences'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and objectified body-consciousness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Daegu, Korea. 

  21. MaKinley, N. M., & Hyde, J. S.(1996). The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20, 181-215. 

  22. McConnell, C. A.(2001). An object to herself: the relationship between girls and their bodi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Wisconsin, Madison, USA. 

  23. Morry, M. M., & Staska, S. L.(2001). Magazine exposure: internalization, self-objectification, eating disorders, and body satisfaction in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Canadian Journal of Behavioral Science, 33(4), 269-279. 

  24. Murnen, S. K.(2003). Thin, sexy women and strong, muscular men: grade-school children's responses to objectified images of women and men. Sex Roles, 49(9), 427-437. 

  25. No more uncle.(2013, December 17). The Korea Economic Daily. Retrieved December 17, 2013, from http://media.daum.net/news/wiew/print?newsId20131217033404831 

  26. Noll, S. M., & Fredrickson, B. L.(1998). A mediational model linking self-objectification, body shame, and disordered eating.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22(4), 623-636. 

  27. Park, H. W., & Chung, M. S.(2011). The influence of appearance concern and body satisfaction on th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of male college student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9(5), 1119-1132. 

  28. Park, K. H., & Yoo, H. S.(2012). An analysis of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cognition, attitude, and behavior toward appearance management.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50(1), 51-63. 

  29. Park, S. J., & Park, K. S.(2008). Male attitude and recognition for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6(3), 533-546. 

  30. Rapid growth of male tribe of value consciousness consumption.(2014, June 16). The Chosun Ilbo. Retrieved July 1, 2014, from http://blog.chusun.com/blog.log.print.screen:blogId51518& logId7441190 

  31. Ryou, E. J., & Kim, Y. H.(2008).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and motives by body image of college men.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6(1), 63-72. 

  32. Spruce men... Yummy tribe'is increasing.(2014, June 2). SBS. Retrieved July 1, 2014, from http://www.sbs.co.kr/news/newsEndPagePrintPopup.do?news_idN1002420505 

  33. Sung, Y. S., Park, E. A., Choi, K. Y., Kim, E. S., & Lee, J. W.(2008). Male grooming: Beauty is power. 2008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nnual Academic Conference Proceeding, 390-391. 

  34. Woo, J. Y.(2005). Metro-sexual trend and appearance control behavior by life-style of twenties-thirties m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35. Woo, S. J., & Choi, K. H.(2011). Influence of male undergraduates'aesthetic consciousness up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smetology, 17(1), 185-19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