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차원 흑연구조를 갖는 카본나노시트는 큰 비표면적과 우수한 전기적, 화학적 및 기계적 물성으로 인하여 미래소재로 각광받고 있다. 경제적이고 쉬운 카본나노시트의 양산공정개발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메테인($CH_4$)과 프로페인($C_3H_8$) 가스를 이용한 유도 열플라즈마 공정을 통해 기상 합성하여 카본나노시트 분말을 합성하였다. 유도 열플라즈마를 이용한 카본나노시트 합성은 촉매나 증착공정 없이 진행되었으며, 합성된 카본나노시트의 물성을 TEM, Raman, XRD, BET로 분석하였다. 메테인과 프로페인으로부터 합성된 카본 나노시트는 각각 5~6개의 그래핀 층과 15~16개의 그래핀 층으로 이루어진 분말로 합성되었으며 분말의 크기는 약 100 nm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 ultrathin sheet-like carbon nanostructure provides an important model of a two-dimensional graphite structure with strong anisotropy in physical properties. As an easy and cheap route for mass production, RF thermal plasma synthesis of freestanding carbon nanosheet from $CH_4$ (Methan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D band는 비정질상의 탄소나 결함 등에 의해 나타나는 피크로 화학반응이나 물리적 처리에 의해 원자 수준의 결함이 생기게 되면 강한 신호를 보이며, 흑연계 물질에서 공통으로 나타나는 G band는 sp2 결합을 하는 탄소 결합과 관련된 피크이다. D band와 G band의 intensity ratio(ID /IG) 로 합성된 카본나노시트의 품질을 평가할 수 있으며, 2D band와 G band의 intensity ratio(I2D /IG)를 통해 카본 나노시트의 층수를 분석할 수 있다.
  • 유도 열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기상의 출발 원료에 따라 합성된 카본나노시트의 결정구조 및 미세구조를 비교 분석하였다. 메테인과 프로페인을 이용하여 합성된 카본나노시트 분말은 sp2 결합의 흑연계 물질의 결정구조를 나타내며 각각 약 50 nm와 100 nm 이상의 입도와 500 m2/g과 192 m2/g의 비표면적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유도 열플라즈마 합성법은 다양한 기상, 액상, 고상의 출발 물질을 사용하여 나노분말로 제조할 수 있으며, 10,000 K 이상의 고온 플라즈마에 의한 빠른 반응 속도로 출발 원료의 손실을 최소화하며 분말의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플라즈마 분위기와 냉각 속도 제어를 통해 원하는 입도 및 결정구조를 가지는 분말을 합성하는 것이 가능한 특징을 가진다[8-10]. 카본나노시트는 -C를 가지는 메테인(CH4)과 프로페인(C3H8) 가스를 이용하여 합성되었고 출발 원료에 따른 카본나노시트의 미세구조 및 결정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 합성된 카본나노시트는 X-ray diffractometer(XRD, D/ MAX2500VL/PC, Rigaku)와 Laser Raman Spectrophotometer(Jasco NRS-3100)을 이용하여 결정구조를 분석하였고, TEM(G2 F30 S-Twin, Tecnai)으로 형상 및 미세구조 분석을 수행하였다. 합성된 카본나노시트의 비표면적은 150℃에서 4시간 동안 건조한 후 77 K에서 질소를 흡착시켜 BET(Belsorp II mini, BEL)로 측정하였다.

대상 데이터

  • Sheath gas는 고온의 플라즈마 영역에서 토치 내벽을 보호하고 안정된 플라즈마 흐름을 갖게 하며, Quenching gas는 생성된 플라즈마 끝 부분에 분사되어 생성된 분말을 급냉시켜 입자크기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입도가 작고 균일한 필터부 하단에서 포집된 카본나노시트 분말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 출발 원료로 메테인(CH4, 99.999 %)과 프로페인(C3H8, 99.999 %) 가스를 사용하여 카본나노시트를 합성하였으며, Central gas, Dispersion gas, Sheath gas는 Ar(99.999 %)을 사용하였으며 Quenching gas는 N2(99.999 %)를 사용하였다. 플라즈마 출력, 반응관 압력, 출발 원료 주입 속도는 일정하게 유지하였으며 자세한 유도 열플라즈마 합성 조건을 Table 1에 나타내었다.

이론/모형

  • 26°와 44°에서 각각 graphite 상의 (002)면와 (100) 면에 의해 나타나는 회절 피크가 관찰되었으며 Bragg’s equation과 Scherrer’s equation을 이용하여 면간거리와 grain크기를 계산하여 합성된 카본나노시트의 그래핀의 층수를 확인하였다[13, 18].
  • 본 연구에서는 분말 제조에 있어 보다 실용적이고 간편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 유도 열플라즈마 합성법(RF thermal plasma process)을 이용하여 카본나노시트를 제조하였다. 유도 열플라즈마 합성법은 다양한 기상, 액상, 고상의 출발 물질을 사용하여 나노분말로 제조할 수 있으며, 10,000 K 이상의 고온 플라즈마에 의한 빠른 반응 속도로 출발 원료의 손실을 최소화하며 분말의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플라즈마 분위기와 냉각 속도 제어를 통해 원하는 입도 및 결정구조를 가지는 분말을 합성하는 것이 가능한 특징을 가진다[8-1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도 열플라즈마 합성은 어떤 공정인가? 1에 나타내었다. 유도 열플라즈마 합성은 고온(10,000 K), 고활성 및 초급냉의 특징을 가지며 다양한 출발 원료를 사용 가능하고 연속적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한 공정이다. 유도 열플라즈마 합성장치는 플라즈마 토치(Torch), 반응관(Reactor), 사이클론(Cyclone), 필터부(Filter)로 구성되며, 플라즈마를 거쳐서 합성된 분말은 입도에 따라서 반응관, 사이클론, 필터부의 하단에 분리되어 포집된다.
카본나노시트 제조 방법과 그 특징은? 카본나노시트 제조 방법은 일반적으로 화학적 박리법(Chemical exfoliation)과 화학증기 증착법(Chemical vapor deposition)이 알려져 있다[6]. 화학적 박리법은 흑연 결정을 강한 산으로 산화시키고 초음파 처리 후 환원제를 이용하여 카본나노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환원 공정 중 다양한 기능기 도입이 가능하여 쉽게 카본나노시트의 기능화가 용이하지만 고품질의 카본 분말 생산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화학증기 증착법은 고온에서 탄소와 카바이드 합금을 쉽게 형성하거나 탄소를 손쉽게 흡착하는 전이금속을 촉매 층으로 이용하여 합성하는 방법으로 주로 촉매와 기판을 필요로 하며 공정의 고비용으로 인한 양산화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7].
유도 열플라즈마 합성장치는 어떻게 구성되는가? 유도 열플라즈마 합성은 고온(10,000 K), 고활성 및 초급냉의 특징을 가지며 다양한 출발 원료를 사용 가능하고 연속적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한 공정이다. 유도 열플라즈마 합성장치는 플라즈마 토치(Torch), 반응관(Reactor), 사이클론(Cyclone), 필터부(Filter)로 구성되며, 플라즈마를 거쳐서 합성된 분말은 입도에 따라서 반응관, 사이클론, 필터부의 하단에 분리되어 포집된다. Central gas는 토치에서 분사되어 플라즈마를 형성하며, Dispersion gas는 플라즈마 내에서 출발 원료의 기상화를 용이하게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G. Eda, G. Fanchini and C. Manish, "Large-area ultrathin films of reduced graphene oxide as a transparent and flexible electronic material", Nat. Nanotechnol. 3 (2008) 270. 

  2. Z. Wei, D. Wang, S. Kim and S.Y. Kim, "Nanoscale tunable reduction of graphene oxide for graphene electronics", Science 328 (2010) 1373. 

  3. H.G. Oh, H.G. Nam, D.H. Kim, M.H. Kim, K.H. Jhee and K.S. Song, "Neuroblastoma cells grown on fluorine or oxygen treated graphene sheets", Mater Lett. 131 (2014) 328. 

  4. K.X. Sheng, Y.X. XU, C. LI and G.Q. Shi, "High-performance self-assembled graphene hydrogels prepared by chemical reduction of graphene oxide", Carbon 26 (2011) 9. 

  5. M.M. Hossain, O.K. Parkb and J.R. Hahn, "High yield and high concentration few-layer graphene sheets using solvent exfoliation of graphite with pre-thermal treatment in a sealed bath", Mater Lett. 123 (2014) 90. 

  6. D.A. Dikin, S. Stankovich and E.J. Zimney,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graphene oxide paper", Nature 448 (2007) 457. 

  7. K.S. Kim, Y. Zhao, H. Jang and S.Y. Lee, "Large-scale pattern growth of graphene films for dtretchable transparent electrodes", Nature 457 (2009) 706. 

  8. L.R. Tong and R.G. Reddy, "Synthesis of titanium carbide nano-powders by thermal plasma", Scr. Mater. 52 (2005) 1253. 

  9. B. Aktekin, G. Cakmak and T. Ozturk, "Induction thermal plasma synthesis of $Mg_2Ni$ nanoparticles", Int. J. Hydrogen Energy 39 (2014) 9859. 

  10. K.I. Kim, S.C. Choi and K.S. Han, "Synthesis of high purity aluminum nitride nanopowder by RF induction thermal plasma", J. Korean Cryst. Growth Cryst. Technol. 24 (2014) 1. 

  11. A.B. Bourlinos, T.A. Steriotis, R. Zboril, V. Georgakilas and A. Stubos, "Direct synthesis of carbon nano sheets by the solid-state pyrolysis of betaine", Mater Sci. 44 (2009) 1407. 

  12. H.P. Klug and L.E. Alexander, "X-ray diffraction procedures for polycrystalline and morphous materials", 2nd ed. (Wiley, New York, 1974) p. 992. 

  13. J. Hackley, D. Ali, J. DiPasquale and J. Demaree, "Graphitic carbon growth on Si (111) using solid source molecular beam epitaxy", Appl. Phys. Lett. 95 (2009) 3. 

  14. C. Casiraghi, A. Hartschuh, H. Qian, S. Piscanec, C. Georgi, A. Fasoli, K.S. Novoselov, D.M. Basko and A.C. Ferrari, "Raman spectroscopy of graphene edges", Nano Lett. 9 (2009) 1441. 

  15. M.M. Hossain, J.R. Hahn and B.C. Ku, "Synthesis of highly dispersed and conductive raphene sheets by exfoliation of preheated graphite in a sealed bath and its applications to polyimide nanocomposites", Bull. Korean Chem. Soc. 35 (2014) 2049. 

  16. V. Singh and D. Joung, "Graphene based materials : past, present and future", Pro in Materials Sci. 56 (2011) 1178. 

  17. N.G. Prikhodko, M. Auyelkhankyzy, B.T. Lesbayev and Z.A. Mansurov, "The effect of pressure on the synthe-sis of graphene layers in the flame", Materials Sci. and Chemical Eng. 2 (2014) 13. 

  18. R.J. Sereshta and M. Jahanshahi, "Synthesize and characterization of graphene nanosheets with high surface area and nano-porous structure", Appl. Surface Sci. 276 (2013) 672. 

  19. J.L. White and P.M Sheaffer, "Pitch-based processing of carbon-carbon composites", Carbon 27 (1989) 697. 

  20. J. Kadla, S. Kubo, R. Venditti, R. Gilbert, A. Compere and W. Griffith, "Lignin-based carbon fibers for composite fiber applications", Carbon 40 (2002) 2913. 

  21. V. Sridhar, J.H. Jeon and I.K. Oh, "Synthesis of graphene nano-sheets using eco-friendly chemicals and microwave radiation", Carbon 48 (2010) 2953. 

  22. A.C. Ferrari, "Ranman spectroscopy of graphene and graphite: disorder, electron-phonon coupling, doping and nonadiabatic effects", Solid State Commun. 143 (2007) 47. 

  23. A. Peigney, Ch. Laurent, E. Flahaut, R.R. Bacsa and A. Rousset, "Specific surface area of carbon nanotubes and bundles of carbon nanotubes", Carbon 39 (2001) 50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