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외 항공 안전계획 및 안전성과지표 동향 및 사례분석
A Study on Aviation Safety Plan and Safety Performance Indicator of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 Studies 원문보기

大韓交通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32 no.5, 2014년, pp.431 - 440  

이지선 (한국과학기술원 건설 및 환경공학과) ,  이동훈 (한국과학기술원 건설 및 환경공학과) ,  윤윤진 (한국과학기술원 건설 및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ICAO에서 제시한 국가항공프로그램(State Safety Program, SSP)에 따르면, 국가의 항공안전 목표 달성을 위해 안전성과 측정 및 평가에 활용되는 안전성과지표(SPI)의 설정과 관리가 필수적이다. 이에 따라, 세계 여러 국가들은 자국의 실정에 맞는 SPI 수립을 연구개발하고 있다. 그에 반해, 우리나라는 2008년 국가항공안전프로그램이 제정된 이후로 지금까지 동일한 지표를 사용해왔으며, SPI 수립체계에 대한 체계적인 정책 사업 및 관련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SPI체계 개발의 일환으로 항공선진국인 유럽과 미국의 SPI 개발계획에 대한 동향 조사를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EU의 유럽항공안전국 (EASA), 영국의 민간항공국 (CAA), 핀란드의 교통안전국(FTSA) 및 미국의 연방항공청 (FAA) 사례를 분석했다. 도출 결과를 기반으로 국내외 SPI 개발계획 및 수립체계의 차이점을 밝혔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분석 결과들은 향후 국내 SPI 수립체계의 발전방향 제시하기 위한 기틀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ccording to the State Safety Program (SSP) of the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ICAO),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and manage Safety Performance Indicators (SPIs) which are used for monitoring the safety performance to achieve the national aviation safety goal. There have been enormo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항공 안전성과지표에 대하여 항공사나 공항 등의 선행연구는 찾아볼 수 있으나, 이외의 국가적 수준의 안전성과지표에 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항공선진국의 안전성과지표 수립에 대한 사례분석 및 관련 연구 조사를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고 국내 활용 방안을 고려한 향후 안전성과지표 수립체계의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마지막으로 조사 ․ 분석된 자료를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여 향후 안전성과지표 수립체계의 발전방향을 도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안전성과지표개발을 위한 동향 조사 및 사례를 조사 ․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항공안전관련 중장기 계획 진행 상황은 어떠한가? 그에 비하여 국내항공안전관련 중장기 계획은, 그 기초 연구가 한국교통연구원에서 2007년 3월에 기초연구가 완료되고, 교통안전공단에서 항공안전 중장기 종합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용역(KOTI, 2007)을 수행하였다. 이후 제1차 중장기항공안전종합계획이 2010년도 수립(2010-2014, 2010수립)되고, 2차 중장기항공종합계획(2015-2019)은 추진 중에 있다. EU의 EASp(4년)와 미국 FAA Flight plan(5년)의 중장기 계획이지만 매년 그 계획이 수립되었다.
제 1차 항공안전협의회 이후 협의회 개최가 한 번도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사실은 어떤 운영규정을 준수하지 않은 것인가? 2012년 6월 안전현안 및 대책을 총괄적으로 검토하여 국가 항공안전 증진을 위한 목적으로 제 1차 항공안전협의회(SMS Coordination Committee)가 개최되었다. ‘항공안전협의회 운영규정(국토교통부 예규 제 8호)’ 제5조 ①항에 의거하면, 협의회는 6개월 1회 이상 정기적 개최를 원칙으로 한다. 그러나 제 1차 회의 이후 현재까지 단 한 차례의 협의회 개최 사실을 미루어 봤을 때, 제정된 운영규정을 제대로 준수하고 있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우리나라 SPI 수립, 연구에 대한 실정은 어떠한가? 이에 따라, 세계 여러 국가들은 자국의 실정에 맞는 SPI 수립을 연구개발하고 있다. 그에 반해, 우리나라는 2008년 국가항공안전프로그램이 제정된 이후로 지금까지 동일한 지표를 사용해왔으며, SPI 수립체계에 대한 체계적인 정책 사업 및 관련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SPI체계 개발의 일환으로 항공선진국인 유럽과 미국의 SPI 개발계획에 대한 동향 조사를 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hang Y. H., Yeh C. H. (2004), A new airline safety index,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B 38, 369-383. 

  2. Civil Aviation Authority UK (2009), CAP 784 State Safety Programme for the United Kingdom, Attachment 2, 3. 

  3. Civil Aviation Authority UK (2011), Safety Plan 2011 to 2013. 

  4. Civil Aviation Authority UK (2014), Safety Plan 2014-16, 6-34, 55-77. 

  5. Enoma A., Allen S. (2007), Developing key performance indicators for airport safety and security, Facilities, 25, 296-315. 

  6. European Aviation Safety Agency (2012), European Aviation Safety Plan 2012-2015. 

  7. European Aviation Safety Agency (2013), European Aviation Safety Plan 2013-2016. 

  8. European Aviation Safety Agency (2014), European Aviation Safety Plan 2014-2017. 

  9. 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2007), FAA Flight Plan 2007-2011. 

  10. 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2008), FAA Flight Plan 2008-2012. 

  11. 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2009), FAA Flight Plan 2009-2013. 

  12. 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2011), Destination 2025. 

  13. 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2011), FAA Order 8000.368A, Flight Standards Service Oversight. 

  14. 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2012), FY 2012 Portfolio of Goals. 

  15. 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2013), FY 2013 4th Performance Measure Scorecard. 

  16. Finnish Transport Safety Agency (2014), Finnish Aviation Safety programme, Annex 2 Finland's Safety Objectives and Safety performance Indicators. 

  17.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2013), Annex 19, Safety Management. 

  18.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2013), Safety Management Manual (SMM) 3rd edition. 

  19. Korea Airports Corporation (2014), SMS Safety Bulletin. 

  20. Korea Transportation Safety Authority (2011),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Korea Aviation State Program(SSP) 한국형 국가항공안전프로그램(SSP) 개발 연구. 

  21.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ation (2006), Transportation Safety Master Plan 2007- 2011, 129. 

  22.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ation (2008, 2009, 2011, 2013, 2014), Korea Aviation Safety program. 

  23.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ation (2009), Press Release(Aviation). 

  24.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ation (2011), SMS Coordination Committee Operational Regulation. 

  25.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ation (2011), Transportation Safety Master Plan 2012-2016, 32, 216. 

  26.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ation (2013), Press Release(Aviation). 

  27. Network of Analysts Safety Performance Indicator Sub Group (2012), EASA Member Sates Common Safety performance Indicator. 

  28. Network of Analysts Safety Performance Indicator Sub Group (2012), Summary of Safety performance Indicator Survey of the Network of Analysts, 1-4. 

  29. The Korea Transportation Institute (2007), A Study for master plan Establishment of Air Transport Safety, p1-47, 66-69, 123-128. 

  30. The Korea Transportation Institute (2007),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Estimation of performance indicators for Air Transportation, 34-53, 67-7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