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또래 놀이에 나타난 유아의 맥락 및 탈맥락적 언어사용
Use of Contextualized and Decontextualized Talk in Preschoolers' Peer Play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32 no.5, 2014년, pp.31 - 40  

성미영 (Department of Child Studies, Seokyeong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low- and middle-income preschoolers' use of contextualized and decontextualized talk. The contextualized and decontextualized talk of 70 five-year-old children were analyzed by children's gender and their socioeconomic status. The participants, as dyads,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점에서 유아의 자발적이고 능동적인 탈맥락적 언어사용을 살펴보는 연구방법에 의해 유아의 탈맥락적 대화를 분석해 볼 필요성이 제기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아와 어머니 간의 대화 상황이 아니라, 유아와 유아 간의 대화 상황을 연구방법으로 선정하고, 유아와 유아 간의 대화에 나타난 유아의 자발적인 탈맥락적 언어사용에 대해 분석해 보고자 시도하였다.
  • Pohlman, 1986).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아와 유아 간 대화에서 나타나는 일반적인 언어적 상호작용 특징뿐만 아니라 탈맥락적 언어사용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 Shin, 2002)에서 만 5세 유아의 경우 놀이영역에 따라 가장놀이의 탈맥락화 수준에서 성차가 존재함을 보여주었으나, 유아기 탈맥락적 언어사용에 관한 많은 연구에서 성차의 존재 여부를 살펴보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탈맥락적 언어사용에 성차가 나타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유아가 또래와의 놀이에서 보이는 탈맥락적 언어사용의 특징이 유아의 성별과 가정의 소득수준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 Heath, 1994)를 통해 볼 때, 저소득층 가정의 유아 역시 탈맥락적 언어에 노출될 기회가 중류층 유아에 비해 더 적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저소득층 유아와 중류층 유아의 탈맥락적 언어사용을 비교하여 살펴봄으로써 유아의 탈맥락적 언어사용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유아의 탈맥락적 언어사용에 관한 기존 연구들이 저소득층 유아만 분석하거나, 중류층 유아만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는 등 가정의 소득수준에 따라 탈맥락적 언어사용을 직접 비교하여 살펴보지 못했다는 점에 주목하여 저소득층 유아와 중류층 유아가 보이는 탈맥락적 언어사용의 차이를 직접적으로 비교하여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초등학교와 같은 환경은 탈맥락적 대화에서의 융통성을 강조하는 대표적인 환경이며, 이러한 환경에서는 탈맥락적 언어를 능숙하게 사용하는 아동의 학업성취가 더 뛰어나다.
  • 본 연구에서는 또래와의 놀이상황에서 저소득층 유아와 중류층 유아가 사용하는 탈맥락적 언어의 특징을 살펴 보고, 유아의 성별 및 가정의 소득수준에 따라 이들의 탈맥락적 언어사용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70명의 유아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연구를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탈맥락적 언어사용에 성차가 나타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유아가 또래와의 놀이에서 보이는 탈맥락적 언어사용의 특징이 유아의 성별과 가정의 소득수준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상의 문제제기에 따라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맥락적 언어는 어떤 경우에 해당되는가? 즉, 현재 상황이 아닌 상황과 사물에 관한 정보를 공유하거나, 과거 또는 미래에 대해 이야기하는 경우를 말한다. 이와 달리 맥락적 언어(contextualized language)는 현재의 상황과 사물에 대해 이야기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탈맥락적 대화에서는 주로 문법과 어휘 등의 구체적인 언어장치를 통해 의미가 전달되고, 이와 달리 맥락적 대화에서는 몸짓, 억양, 얼굴표정 등의 언어 외적 장치, 상황적 단서, 대화참여자의 공유지식에 의해 의미가 전달된다(A.
탈맥락적 언어란 무엇인가? Westby, 1991). 탈맥락적 언어(decontextualized language)는 지금-여기에서 일어나지 않는 가장(pretend), 이야기(narrative), 설명(explanatory talk)이 포함된 언어를 의미한다. 즉, 현재 상황이 아닌 상황과 사물에 관한 정보를 공유하거나, 과거 또는 미래에 대해 이야기하는 경우를 말한다.
부모가 과거나 미래 사건에 관한 이야기나 설명을 유아에게 많이 제공할수록 유아의 어휘발달이 더 증가하였음을 보여주는 것은 무엇을 뜻하는가? Rowe, 2013)에 의하면, 부모가 과거나 미래 사건에 관한 이야기나 설명을 유아에게 더 많이 제공할수록 1년 후 유아의 어휘발달이 더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가 유아에게 제공하는 언어자극이 유아의 어휘 발달을 촉진시킴을 보여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Curenton, S. M., & Justice, L. M. (2004). African American and Caucasian preschoolers' use of decontextualized language: Literate language features in oral narratives. Language, Speech, and Hearing Services in Schools, 35, 240-253. 

  2. Curenton, S. M., & Lucas, T. D. (2007). Assessing narrative development. In K. Phence (Ed.), Assessment in emergent and early literacy (pp. 377-432). San Diego, CA: Plural. 

  3. Curenton, S. M., Craig, M. J., & Flanigan, N. (2008). Use of decontextualized talk across story contexts: How oral storytelling and emergent reading can scaffold children's development.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19(1), 161-187. 

  4. Davidson, R. G., & Snow, C. E. (1995). The linguistic environment of early readers. Journal of Research in Childhood Education, 10, 5-21. 

  5. Dickinson, D. K., & Snow, C. E. (1987). Interrelationships among prereading and oral language skills in kindergartners from two social classe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 1-26. 

  6. Farran, D. C., & Haskins, R. (1980). Reciprocal influence in the social interactions of mothers and three-year-old children from different socioeconomic backgrounds. Child Development, 51, 780-791. 

  7. Feagans, L., & Farran, D. C. (1981). How demonstrated comprehension can get muddled in production. Developmental Psychology, 17, 718-727. 

  8. Greenhalgh, K. S., & Strong, C. J. (2001). Literate Language feature in spoken narratives of children with typical language and children with language impairments. Language, Speech, and Hearing Services in Schools, 32, 114-125. 

  9. Hart, B., & Risley, T. (1992). American parenting of language-learning children: Persisting differences in family-child interactions observed in natural home environments. Developmental Psychology, 28, 1096-1105. 

  10. Heath, S. B. (1983). Ways with words: Language, life, and work in communities and classrooms. Cambridge, Eng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 Heath, S. B. (1994). What no bedtime story means: Narrative skills at home and school. In B. B. Schieffelin & E. Ochs (Eds.), Language socialization across cultures (pp.97-124). Cambridge, Eng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 Lee, Y., Lee, J., & Shin, E. (2002). Young children's pretense themes, self-other relations, and decontextualization of pretend play in block, manipulative, and dramatic play areas. Research in Education, 10, 29-51. 

  13. Morgan, L., & Goldstein, H. (2004). Teaching mothers of low socioeconomic status to use decontextualized language during storybook reading. Journal of Early Intervention, 26, 235-252. 

  14. Pellegrini, A. D. (1985). The relations between symbolic play and literate behavior: A review and critique of the empirical literature.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5, 107-121. 

  15. Reese, E. (1995). Predicting children's literacy from mother-child conversations. Cognitive Development, 10, 381-405. 

  16. Rosenquest, B. B. (2002). Infants and toddlers literacy-based planning and pedagogy that supports toddler language development.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29, 241-249. 

  17. Rowe, M. L. (2013). Decontextualized language input and preschoolers' vocabulary development. Seminars in Speech and Language, 34(4), 260-266. 

  18. Teale, W. H., & Sulzby, E. (1986). Emergent literacy as a perspective for examining how young children become writers and readers. In W. H. Teale & E. Sulzby (Eds.), Emergent literacy: Writing and reading (pp. 7-27). Norword, NJ: Ablex. 

  19. Wanska, S. K., Bedrosian, J. L., & Pohlman, J. C. (1986). Effects of play materials on the topic performance of preschool children. Language, Speech and Hearing Services in Schools, 17, 152-159. 

  20. Westby, C. E. (1991). Learning to talk, talking to learn: Oral literate language differences. In C. S. Simon (Ed.), Communication skills and classroom success (pp. 334-357). Eau Claire, WI: Thinking Publication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