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생의 건강정보문해력
Health Liter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20 no.4, 2014년, pp.322 - 331  

안은정 (마산보건소) ,  권인수 (경상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의 건강정보문해력 정도를 파악하고 건강정보문해력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대상자는 G도 시, 군지역 9개 초등학교 5, 6학년으로 33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2013년 7월 15일부터 8월 15일까지 실시되었으며 자료분석은 PASW (SPSS ver.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언어적 건강정보문해력의 평균점수는 42점 만점에 $24.02{\pm}7.16$점으로 정답률은 57.2%이며, 학년과 학교성적이 언어적 건강정보문해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기능적 건강정보문해력 중 수리영역의 평균점수는 6점 만점에 $4.73{\pm}1.49$점으로 정답률 78.8%이며, 학년과 학교성적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기능적 건강정보문해력 중 독해영역의 평균점수는 6점 만점에 $4.54{\pm}1.34$점으로 정답률은 75.7%로성별과 학교성적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결론 초등학교 고학년의 언어적 건강정보문해력은 매우 낮은 수준이며, 기능적 건강정보문해력은 건강과 관련된 내용을 판단하기에 충분하지 않은 수준임을 알 수 있었다. 건강정보문해력은 특히, 학교성적에 따라 차이를 보여, 학교성적이 낮은 학생을 대상으로 한 건강정보문해력을 높이기 위한 전략이 필요하다. 또한 성인을 대상으로 한 선행 연구에서 대상자에 따른 다른 다양한 요인이 건강정보문해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고려해 볼 때 초등학생의 건강정보문해력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health literacy level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thods: Participants were 331 fifth and sixth graders in nine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Gyeongsangnam-do. Instruments were 42 health-related words derived from fifth-grade textbook 'Health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건강과 관련하여 올바른 의사결정을 하고, 건강행동을 실천할 수 있도록 건강정보문해력을 높일 수 있는 중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초등학교 고학년인 5, 6학년을 대상으로 건강정보문해력의 정도를 파악하였다.
  • 본 연구는 초등학교 5, 6학년의 건강정보문해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건강정보문해력은 개인이 의료와 관련된 적절한 결정을 내리는데 필요한 기본적인 건강정보와 건강서비스를 제대로 얻고, 처리하고, 이해하는 능력으로서 초등학생들이 올바른 건강행동을 습득하고 수행하는데 기초가 된다는 점에서 초등학생의 건강정보문해력에 대한 사정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건강정보 문해력의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언어적 건강정보문해력은 정답률이 57.
  •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의 건강정보문해력 정도를 파악하고 건강정보문해력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5, 6학년의 건강정보문해력 정도를 파악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고학년인 5, 6학년을 대상으로 대상자의 수준에 적합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건강정보문해력의 정도를 파악하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정보문해력의 차이를 파악함으로써, 초등학생이 건강과 관련하여 올바른 의사결정을 하고, 건강행동을 실천할 수 있도록 건강정보문해력을 높일 수 있는 간호중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정보문해력이 건강을 결정짓는 주요 요인인 이유는 무엇인가? 건강정보문해력(health literacy)은 ‘개인이 의료와 관련된 적절한 결정을 스스로 내리는데 필요한 기본적인 건강정보와 건강서비스를 제대로 얻고, 처리하고, 이해하는 능력’을 의미한다(Ratzan & Parker, 2000). 기본적인 건강관련 정보를 읽고 이해하는 능력이 밑받침 되어야 바람직한 생활습관이나 건강생활을 효율적으로 실천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건강정보문해력은 건강을 결정짓는 주요 요인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Commission on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CSDH], 2008).
건강정보문해력은 무엇인가? 건강정보문해력(health literacy)은 ‘개인이 의료와 관련된 적절한 결정을 스스로 내리는데 필요한 기본적인 건강정보와 건강서비스를 제대로 얻고, 처리하고, 이해하는 능력’을 의미한다(Ratzan & Parker, 2000). 기본적인 건강관련 정보를 읽고 이해하는 능력이 밑받침 되어야 바람직한 생활습관이나 건강생활을 효율적으로 실천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건강정보문해력은 건강을 결정짓는 주요 요인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Commission on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CSDH], 2008).
학령기가 건강행위를 효과적으로 습득하여 변화시키기에 유리한 시기인 이유는 무엇인가? 학령기는 올바른 건강행위를 배우는 시기이며, 건강습관이 형성되고, 건강에 대한 태도가 발달되는 중요한 시기이다(Marlow & Redding, 1989). 또한 일생을 통하여 심신의 발달이 가장 활발하며, 정서적으로 차츰 자립하게 되고, 건강과 질병에 대한 이해가 매우 체계적이며 지속적으로 발달하고 변화되는 시기이므로 건강행위를 효과적으로 습득하여 변화시키기에 매우 유리한 시기이다(Marlow & Redding, 1989). 특히, 학령기 후기에 있는 초등학교 고학년은 신체적으로나 생리적으로 빠르게 성장하여 신체적 변화에 관심이 커지는 시기이며(Bang, Chae, Kim, & Kang, 2012), 인지적으로 구체적인 개념과 논리적인 사고가 완성되어가는 시기(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aker, D. W., Willams, M. W., Parker, R. M., Gazmararian, J. A., & Nurss, J. (1999). Development of a brief test to measure functional health literacy.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38, 33-42. 

  2. Bang, K. S., Chae, S. M., Kim, J. Y., & Kang, H. J. (2012). Relationships between body image, self-esteem and family strengths in late school aged children. Korean Parent Child Health Journal, 15(1), 33-38. 

  3. Cha, Y. S., & Choi, S. H. (2013). A comparative study of health knowledge, health attitude and health behavior based on the hours of health educa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7(2), 304-312. http://dx.doi.org/10.5932/JKPHN.2013.27.2.340 

  4. Commission on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2008). Closing the gap in a generation: Health equity through action on the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Final report of the commission on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5. Davis, T. C., Long, S. W., Jackson, R. H., Mayeauk, E. J., George, R. B., Murphy, P. W., et al. (1993). Rapid estimate of adult literacy in medicine: A shortened screening instrument. Journal of Family Medicine, 25(6), 391-395. 

  6. Hong, I. H., & Eun, Y. (2012). Health literacy of inpatients at general hospital.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4(5), 477-488. http://dx.doi.org/10.7475/kjan.2012.24.5.477 

  7. Jung, Y. H., Chol, Y. H., & Kim, N. Y. (2012).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on health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er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6(1), 16-27. http://dx.doi.org/10.5932/JKPHN.2012.26.1.016 

  8. Kim, J. E. (2011). Measuring the level of health literacy and influence factors: Targeting the visitors of a university hospital's outpatient clinic.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7(1), 27-34. 

  9. Kim, H. S., Kang, K. J., Kim, S. J., Kim, H. O., Moon, M. J., Yang, E. Y., et al. (2012). Child health nursing. Seoul: Goonja Pulblisher. 

  10. Kim, S. H., & Lee, E. J. (2008). The influence of functional literacy on perceived health status in Korean older adul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2), 195-203. 

  11. Kim, S. S., Kim, S. H., & Lee, S. Y. (2005). Health literacy: Development of a Korean health literacy assessment tool.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2(4), 215-227. 

  12. Lee, J. Y., Park, J., Park, K. O., & Kim, H. J. (2012). Health education. Seoul: Goonja Publisher. 

  13. Lee, P. Y., & Kim, J. S. (2008). A study on the expressive lexical abilit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ge. Journal of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on, 38, 219-237. 

  14. Lee, S. A., & Park, M. H. (2010). Study on health literacy, medication knowledge, and medication misuse of rural elderly.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0(2), 485-497. 

  15. Lee, S. H., Choi, E. H. R., Je, M. J., Han, H. S., Park, B. K., & Kim, S. S. (2011). Comparison of two versions of KHLAT for improvement strategie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8(3), 57-65. 

  16. Lee, T. W., & Kang, S. J. (2008). Health literacy in the Korean elderly and influencing factor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8(4), 847-863. 

  17. Marlow, D. R., & Reading, B. A. (1989). Textbook of pediartic nursing (6th ed.). Philadelphia: W. B. Saunders. 

  18.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Guidelines. (2009).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Curriculum (No. 2009-41). Seoul: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19. National Center for Education Statistics. (2003). 2003 National Assessment of Adult Literacy. Washington DC: National Center for Education Statistics. 

  20. Park, J. Y., & June, K. J. (2011). Influencing Factors on Functional Health Literacy among the Rural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2(1), 75-85. 

  21. Ratzan, S. C., & Parker, R. M. (2000). Health literacy. In C. R. Selden, M. Zone, S. C. Ratzan, & R. M. Parker (Ed.),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current bibliographies in medicine (No. CBM 2000-1). Bethesda: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2.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2008). National Adult Basic Literacy Survey (No. 2008-1-57). Seoul: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23. The School Safety and Insurance Association. (2013). School Accident Statistics 2012. Seoul: The School Safety and Insurance Association. 

  24. Weiss, B. D., & Palmer, R. (2004). Relationship between health care costs and very low literacy skills in a medically needy and indigent Medicaid population. The Journal of American Board Family Practice, 17(1), 44-4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