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 고학년의 식습관 및 영양 지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etary Habits and Nutritional Knowledge of High-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4 no.5, 2014년, pp.552 - 563  

김명희 (공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성지은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  연지영 (식품의약품안전처 영양안전정책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dietary habits and nutritional knowledg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oy : 250, girl : 250) by gender. Frequency of skipping breakfast was high in both boys and girls. Duration of mealtime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boys compared with girls (p<0.001)....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학령기 아동의 식습관을 올바르게 지도하기 위해서는 식습관의 정확한 실태 파악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에 따른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올바르게 평가하여 영양 지도 내용과 지도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Ku & Lee 2000).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성별에 따른 식습관과 영양 지식수준을 조사하여 학령기의 바람직한 식생활 태도와 영양 교육의 기초 자료에 도움이 되고자 실시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동기에 무엇이 중요한가? 학동기는 신체적으로 성장 발달이 왕성하여 건강하게 성장하기 위해서는 균형 잡힌 영양소 섭취가 중요하다. 특히, 초등학교 고학년은 사춘기에 접어들어 남·여 학생의 신체적, 생리적 변화가 나타나고, 빠른 속도로 성장, 발달되는 시기이며, 자아의식이 발달되는 단계로 남·여 학생이 서로 다른 양상으로 자아개념이 전개되어 성별에 따라 식행동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Mary et al 2002, Yon et al 2008).
초등학교 고학년에 나타나는 변화는? 학동기는 신체적으로 성장 발달이 왕성하여 건강하게 성장하기 위해서는 균형 잡힌 영양소 섭취가 중요하다. 특히, 초등학교 고학년은 사춘기에 접어들어 남·여 학생의 신체적, 생리적 변화가 나타나고, 빠른 속도로 성장, 발달되는 시기이며, 자아의식이 발달되는 단계로 남·여 학생이 서로 다른 양상으로 자아개념이 전개되어 성별에 따라 식행동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Mary et al 2002, Yon et al 2008). 이 시기에 형성된 식습관과 영양 상태는 성장 발달에 영향을 줄 뿐아니라, 청소년기와 성인기의 건강과 식습관에 영향을 줄 수 있어 이 시기에 형성된 식습관은 개인의 식사의 질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식습관 형성에 편식이 심할 경우 나타나는 현상은? 이러한 식습관 형성은 가족의 특성, 부모의 식습관, 개인의 가치관, 우상적 인물, 체형에 대한 인식, 거주지역, 건강 상태 등에 의해서도 달라진다(Jin YH 2001, Kang JH 2001). 편식을 심하게 하는 경우, 단백질, 무기질과 비타민 등의 영양소 결핍을 초래하여 이로 인해 여러 가지 질병이 유발되며, 신장, 체중, 시력 등이 평균치보다 낮고, 자신감, 책임감, 사교성에 결함이 있다고 보고하였다(Ku & Lee 2000, Kim KN 1982). 이처럼 한 번 형성된 식습관은 쉽게 교정되기 어려워 학동기부터 올바른 식습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영양 교육을 통해 영양적으로 균형 잡힌 식생활을 실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Jeong & Kim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eak YM, Jung SJ, Beak HI (2007) A study on eating out and snack intak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living in Jeonbuk province. Korean J Hum Ecol 10: 77-87. 

  2. Chang HS, Roh SM (2006) Comparison with dietary habits, dietary attitude and nutritional knowledge according to sex of teenager in Jeonnam province. Korean J Community Nutr 11: 459-468. 

  3. Cho EA, Lee SK, Heo KJ (2010) Snack consumption behaviors and nutrition knowledge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iheung-si. Korean J Community Nutr 15: 169-179. 

  4. Chung EJ, Lee SH, Ahn HS (2009) Vegetable preferences and their associations with nutritional knowledge and healthrelated variables in 5th and 6th grade schoolchildren. J Korean Diet Assoc 15: 83-96. 

  5. Jin YH (2001) The study on dietary habits, dietary behaviors and nutrition knowledg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small city. J Korean Diet Assoc 7: 320-330. 

  6. Jeong NY, Kim KW (2009) Nutrition knowledge and eating behavior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Seoul. Korean J Community Nutr 14: 55-66. 

  7. Jung KA(2010)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okbooks for children based on the dietary behavio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focused on the 5th and 6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Korean J Culinary Res 16: 351-366. 

  8. Kang JH (2001) Evaluation criteria of healthy body weight in Koreans-focus on obesity. Korean J Community Nutr 6: 397-401. 

  9. Kim KA, Lee YK (2010) The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using animations on the nutrition knowledge, eating habits and food preferenc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15: 50-60. 

  10. Kim KN (1982)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food habits and personality. Korean J Nutr 15: 194-201. 

  11. Kim KH (2010) Food habits, eating behaviors and food frequency by gender and among Seoul and other regions in upper-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 15: 180-190. 

  12. Kim JH, Ha AW, Kang NE (2010) Differences in table attitudes, eating habits, and nutrition knowledge in elementary school boy and girls. Korean J Food Nutr 23: 623-632. 

  13. Kim MJ, Kim YH (2010) Dietary habits,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behaviors of the 3rd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Ulsan area by sex and skipping breakfast.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 209-217. 

  14. Kim YH, Jang MR (2007) A research on analysis of eating habits and textbook contents for efficient nutrition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angneung city. J Korean Diet Assoc 13: 379-388. 

  15. Kim YS (2005) A study on the effect on eating habits of 5th year elementary school students -based on area and food services-. Korean J Culinary Res 11: 46-58. 

  16. Korea Health Statistics [KHS] (2012)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V) p 455, 504. 

  17. Ku PJ, Lee KA (2000) A survey on dietary habit and nutritional knowledge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s nutritional education. Korean J Dietary Culture 15: 201-213. 

  18. Kwon SJ, Sung SJ, Lee SY (2010) The interrelations among nutrition education, satisfaction with school lunch, school lunch leftovers and self-rated mental or physical health: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Daejeon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15: 94-107. 

  19. Lee HJ (2009) The effect of knowledge of nutrition on middle school student's eating habit. MS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pp 38-40. 

  20. Lee JE, Jung IK (2005) A study on eating habi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perception on the nutrition education in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7: 79-93. 

  21. Lee KA (2002) The concern for health, nutrition knowledge, and nutritional attitude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s mothers in Busan. Korean J Dietary Culture 17: 411-423. 

  22. Lee KH, Hwang KJ, Her ES (2001) A study on body image recognition, food habits, food behaviors and nutrient intake according to the obesity index of elementary children in Changwon. Korean J Communuty Nutr 6: 577-591. 

  23. Lee YJ, Kim GM, Chang KJ (2000) The analysis of effects on nutrition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cheon. J Korean Diet Assoc 6: 86-96. 

  24. Mary S, Dianne NS, Simone F (2002)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influences on adolescent eating behaviors. J Am Diet Assoc 102: S40-S51. 

  25. Noman C, Micle J (2000) Nutrition throughout the Life Cycle. Gyomunsa, Seoul, pp. 399-476. 

  26. Park JY (2012) A research on the perception of nutritional education and the status of nutrition knowledg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ome area of Chungnam. MS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pp 34-38. 

  27. Rampersaud GC, Pereira MA, Girard BL, Adams J, Metzl JD (2005) Breakfast habits, nutritional status, body weight, and academic performanc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J Am Diet Assoc 105: 743-760. 

  28.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KNS] (2010)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Seoul, pp. 350. 

  29. Yeon JY, Shin KY, Lee SK, Lee HY, Kang BW, Park HK (2013) A study on dietary habits, body satisfaction and nutritional knowledge by body image of middle school girl students in Chungbuk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18: 442-456. 

  30. Yon MY, Han YH, Hyun TS (2008) Dietary habits, food frequency and dietary attitudes by gender and nutrition knowledge level in upper-grade school children. Korean J Communuty Nutr 13: 307-3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