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일반 성인의 숲과 숲길의 선호도 분석
Preference Analysis of General Adult on the Forest and Forest Road for the Development of Forest Therapy Program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8 no.5, 2014년, pp.597 - 606  

김윤희 (충북대학교 대학원 산림치유학과) ,  김동준 (충북대학교 대학원 산림학과) ,  연평식 (충북대학교 대학원 산림학과) ,  최병진 (충북대학교 대학원 산림치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일반 성인의 숲과 숲길의 선호도에 관한 연구이다. 숲과 숲길의 선호도에 대한 수요자 선호를 파악하여 보다 표적화되고 차별화된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잠재 수요자인 일반 성인 남 여를 대상으로 2014년 4월 19일부터 6월 30일까지 온라인 설문으로 숲과 숲길의 선호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총 613부의 유효표본이 실제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분석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빈도분석, 교차분석, 다중응답분석을 통해 인구통계학적 특성(성별, 연령, 교육수준, 직업, 월평균 가계 소득)에 따른 숲과 숲길의 선호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선호하는 계절의 숲은 봄, 가을, 계절 상관없음, 여름, 겨울 순으로 나타났고, 성별, 연령, 월평균 가계 소득에 따라 선호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선호하는 상태의 숲은 월평균 가계 소득에 따라 선호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산림치유 프로그램 장소로서 선호하는 숲은 자연휴양림, 치유의 숲, 도시숲, 공원, 학교숲 순으로 응답하였다. 거주지로부터 프로그램 장소까지의 거리에 따른 선호하는 숲을 조사한 결과 모든 경우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게 나타났다. 숲길의 형태에 관해서는 약간의 경사가 있는 길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산림치유 목적으로 1회 걸을 때 선호하는 숲길의 길이는 1.5~3km, 1.5km이하, 3km 이상 순으로 나타났고, 성별과 연령, 교육, 월평균 가계 소득, 교육에 따라 선호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일반성인의 숲과 숲길조사를 통하여, 성별, 연령, 교육수준, 직업, 월평균 가계 소득에 따라 숲과 숲길에서의 프로그램에 차별성을 두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연령에 따라 차별화된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 분석 결과가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ference of general adult on the forest and forest road was surveyed and analyzed for the development of forest therapy program.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a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more targeted-and differentiated-forest therapy program by analyzing the prefe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산림치유 프로그램에 참여할 잠재 수요자인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숲과 숲길의 선호를 파악하여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숲과 숲길의 선호도 차이를 분석하고, 대상의 특성에 맞춘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과 실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림치유란? 산림치유란 향기, 경관 등 자연의 다양한 요소를 활용하여 인체의 면역력을 높이고 건강을 증진시키는 활동을 말한다(Korea Forest Service, 2013).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Kim et al.
숲길의 특징은? 숲길은 현재 확산되고 있는 산림휴양서비스의 한 분야로, 숲이 지닌 보건의학적인 기능을 활용하여 심신의 안정을 취하려는 사람들을 위해 치유목적으로 숲에 조성된 길이다 (Kim, 2009). 숲길 이용자들의 이용경험과 관계된 연구도 진행되었다.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일반 성인의 숲과 숲길의 선호도 연구를 분석한 결과는? 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빈도분석, 교차분석, 다중응답분석을 통해 인구통계학적 특성(성별, 연령, 교육수준, 직업, 월평균 가계 소득)에 따른 숲과 숲길의 선호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선호하는 계절의 숲은 봄, 가을, 계절 상관없음, 여름, 겨울 순으로 나타났고, 성별, 연령, 월평균 가계 소득에 따라 선호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선호하는 상태의 숲은 월평균 가계 소득에 따라 선호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산림치유 프로그램 장소로서 선호하는 숲은 자연휴양림, 치유의 숲, 도시숲, 공원, 학교숲 순으로 응답하였다. 거주지로부터 프로그램 장소까지의 거리에 따른 선호하는 숲을 조사한 결과 모든 경우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게 나타났다. 숲길의 형태에 관해서는 약간의 경사가 있는 길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산림치유 목적으로 1회 걸을 때 선호하는 숲길의 길이는 1.5~3km, 1.5km이하, 3km 이상 순으로 나타났고, 성별과 연령, 교육, 월평균 가계 소득, 교육에 따라 선호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일반성인의 숲과 숲길조사를 통하여, 성별, 연령, 교육수준, 직업, 월평균 가계 소득에 따라 숲과 숲길에서의 프로그램에 차별성을 두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연령에 따라 차별화된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An, K. W., L. H. Yoo. and J. H. Lee.(2010). Forest Recreation 8. in: Invitation to a Forest. Korea Forest Service, Daejeon, Korea. 37pp. (in Korean) 

  2. An, H. Y. and G. H. Lee.(2013). Towards a Working Model for an MBSR-informed Forest Healing Program: Focusing on Patients with Hypertension.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7(4): 1-1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Cerling, T. E., J. G. Wynn., S. A. Andanje., M. I. Bird., D. K. Korir. and N. E. Levin.(2011). Woody Cover and Hominin Environments in the Past 6 Million Years. Nature, 476: 51-56. 

  4. Ha, S. Y.(2014). Development of Forest Healing Program. in: Forest Healing Instructor Class 1 Materials. Korea Forest service, Daejeon, Korea, pp. 345-391. (in Korean) 

  5. Hong, M. A., H. K. Lee., E. K. Han. and Y. G. Gwon.(2010). A States about Forest Therapy Program in Korean and the Prospect for the Fusion of Korean Medicine with Forestry. Korean Journal of Oriental Medicine. 16(3): 95-10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Jang, H. S.(2009). The Relationship of Developmental Tasks and Happiness in Early Adulthood.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22(1): 19-3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Kim, J. M.(2011). Perceptions on the Nature Trail in the National Park in the City: Focused on the Seoulite's Perception on Dullegil in Bukhansan National Park. Korea. Korean J. Environ. Ecol. 25(1): 102-11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Kim, J. Y.(2014).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Verification of the Forest Healing Program for Children with Internet Addi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National Univ. of Chungbuk, Republic of Korea, 160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Kim, K. M.(2013). Study on the Effects of Forest Healing according to Types of Recreational Forests,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National Univ. of Chungbuk, Republic of Korea, 73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Kim, K. W. (2009). A Theoretical Study on Planning and Design of Forest therapeutic trails. J. Kor. Soc. People Plants Environ. 12(4): 57-6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im, K. W., Y. H. Lee, H. Y. Kim., C. Y. Kim., J. W. Kim. and L. H. Yoo.(2008). Management of Forest Healing Program in Saneum Forest. The Conference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Seoul, pp. 41-4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Kim, Y. H., D. J. Kim., P. S. Kim. and B. J. Choi. (2014). The Analysis of Interests and Needs for the Development of Forest Therapy Program in Adults. Cheongju, Korea, 16pp.(unpublished paper) 

  13. Kim, Y. H., E. J. Kim., D. J. Kim., P. S. Kim. and B. J. Choi. (2014). The Preference Analysis of Adults on the Forest Therapy Program with regard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heongju, Korea, 21pp.(unpublished paper) 

  14.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2014). Green Doctor, Forest Therapy,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Seoul, Korea, p 6.(in Korean) 

  15. Korea Forest Service.(2012) .The Master Plan of Composition and Management of Forest Roads for Promotion of Conservative Utilization of Forest. Korea Forest Service, Daejeon, Korea, p. 15. (in Korean) 

  16. Korea Forest Service.(2010). Survey Report for the National Forest. Korea Forest Service, Daejeon, Korea, 133pp. (in Korean) 

  17. Korea Forest Service.(2013). Forest therapy http://www.forest.go.kr (2014.9.10) (in Korean) 

  18. Kwon, T. H. and D. J. Lee.(2013) User Satisfaction and Motivation to Forest Trail Near Metropolitan City of Korea: Focused on the Forest Trail of Daegu. Korean J. Environ. Ecol. 27(3): 405-41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Lee, E. D., L. H. Yoo., C. W. Park. and J. J. Kim.(2011). Analysis on the Activity Contents of Forest Healing Programs in Korea.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5(2): 101-10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Lee, H.R., J.J. Kim, E.K. Cho, M.J. Kang and S.Y. Han.(2011) Determinants of Users'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in Jirisan Trail of Korea. Jour. Korean For. Soc. 100(2): 273-28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Lee, I. S., H. S.Choi., K. S. Bang., G. U. Lee. and J. E. Kim.(2014) An Exploratory Study of Diffusion of Health Promotion Programs Using Forests.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11(1): 30-3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2. Lee, S. I., K. M.An., K. S. Lee., H. G. Kwon., H. J. Cho. and J. H. Kim.(2010). The Influence of National Park Healing Camp on Patients with Atopic Dermatitis.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4(2): 45-5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3. Lee, S. K.(2011). Application Plan for a Forest Therapy Program of Seasonal Customs Including Plant Elem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 of Kookmin, Republic of Korea, 155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4. Lee, Y. H. and K. W. Kim.(2013). Preference for Landscape and Tree Density of Forest Trail by Questionnaire Survey. 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16(6): 449-455. (in Korean, English abstract) 

  25. Min, B. Y.(2014). A Study on Future Direction of Domestic Forest Healing Programs from the Perspective of Integrative Medicine.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 of Sunmoon, Republic of Korea, 83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6.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2012). 2012 National Survey of Leisur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Seoul, Korea, 285pp. (in Korean) 

  27.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2013). 2013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Seoul, Korea, 331pp. (in Korean) 

  28. Park, S. M., J. M. Woo., W. Kim. and Y. J. Lee.(2012). Sub-populations and Disorders that can be Applied to Forest Therapy.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6(1): 35-4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9. Seo, Y. A., P. S. Yeoun., C. S. Shin., J. J. Kim. and T. I. Kim.(2013). Analysis on Visitor's Psychological Benefits and Behavioral Pattern by Different Types of Forest Trails.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7(3):19-2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0. Seok, H. D. and H. J. An.(2013). Policy of Forest Environmental Service for Happiness.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seoul, Korea, 155pp. (in Korean) 

  31. Shin, K. H.(2013) A Study on Development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that Applied Forest Therapy and Effectiveness: Centering on Middle School Students with Inability to Adapt to School.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National Univ. of Chungbuk, Republic of Korea, 114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2. Shin, W. S., C. S. Shin., P. S. Yeoun., N. W. Lee., K. T. Park., E. J. Lee. and H. E. Lee.(2013). The Preference Survey of Pine Tree Density for Forest Healing.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7(1): 71-8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3. Son, J. W. and S. Y. Ha.(2012). A Study on Visitors Behavior as a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Forest Trail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1(2): 309-31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4. Son, J. W., S. Y. Ha and J. J. Kim.(2012). A Study on Visitor Characteristics for Trail Program Development.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1(3): 469-47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5. Yeoun, P. S. (2014). Investigation of Demand for Forest Healing in: Forest Healing Instructor Class 1 Materials, Korea Forest service, Daejeon, Korea, pp. 321-341. (in Korean) 

  36. Yoo, K. J.(2014). A Study on Users' Attitude toward the Forest Trails : Focused on the Jirisan dulegil. Korean J. Environ. Ecol. 28(2): 247-25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7. Yoo, K. J., B. H. Han., J. W. Choi. and J. Y. Hur.(2012). A Study on Community Member Perception due to Impacts on Development of the Dulegil in Bukhansan National Park. Korean J. Environ. Ecol. 26(1): 113-12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8. Yoo, S. G. (2011). A Study on the Development Method for Forest Therapeutic Function-centered Medical Tourism Products in Gangwon Area. Korea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25(2): 19-4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