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성인 대상별 산림치유 프로그램 선호도 분석
The Preference Analysis of Adults on the Forest Therapy Program with regard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104 no.1, 2015년, pp.150 - 161  

김윤희 (충북대학교 산림치유학과) ,  김은진 (고려대학교 미술교육학과) ,  김동준 (충북대학교 산림학과) ,  연평식 (충북대학교 산림학과) ,  최병진 (충북대학교 산림치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성인 대상별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선호도를 분석함으로써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효율적인 개발 및 운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한다. 일반 성인 남 여 516명을 대상으로 산림치유 프로그램 37개에 관한 선호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각 프로그램의 기술통계분석 및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많은 공변량이 확인되어, 자료를 의미있게 축약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신뢰도 분석, 빈도분석, T-검정, 분산분석을 통해 인구통계학적 특성(성별, 연령, 지역, 직업)에 따른 산림치유 프로그램 선호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37개의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축약하기 위하여 베리멕스 직각회전법을 이용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프로그램은 7개의 프로그램군(1: 심리치료중심 프로그램, 2: 강의 상담중심 프로그램, 3: 캠핑 산림욕중심 프로그램, 4군: 식이중심 프로그램, 5: 자연 식물중심 프로그램, 6: 명상중심 프로그램, 7: 호흡 요가중심 프로그램)과 7개의 독립프로그램(1: 숲속 잠자기, 2: 비전 퀘스트, 3: 물속에 손과 발 담그기 4: 신발 신고 숲속 걷기, 5: 숲 경관 보기, 6: 등산, 7: 숲속 운동회)으로 축약되었다. 이를 중심으로 성별, 연령, 지역, 직업에 따라 산림치유 프로그램 선호도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첫째, 성별에 따라서 심리치료중심 프로그램군, 식이중심 프로그램군, 명상중심 프로그램군, 호흡 요가중심 프로그램군, 등산 프로그램에 대해서 남 여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둘째, 연령에 따라서 강의 상담중심 프로그램군, 캠핑 산림욕 중심 프로그램군, 자연 식물중심 프로그램군, 명상중심 프로그램군, 호흡 요가중심 프로그램군, 숲속 운동회 프로그램에 대하여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역에 따라서 심리치료 중심 프로그램군, 강의 상담중심 프로그램군, 식이중심 프로그램군, 자연 식물중심 프로그램군, 명상중심 프로그램군, 비전 퀘스트, 등산, 숲속 운동회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업에 따라서 자연 식물중심 프로그램군, 명상중심 프로그램군, 비전 퀘스트, 신발 신고 숲속 걷기, 숲 경관 보기, 등산에 대하여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선호도에 대한 다양성을 고려하여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가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the basic data for the effectiv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forest healing by analysing the preference of adults on the forest therapy program. The survey of 516 normal adults on the forest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Using SPSS 21.0 Program, data analys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3%)로 가장 많았다고 보고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인 대상별 프로그램 선호도에 관해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산림치유 프로그램 선호도를 알아보기 위해, 기존 연구를 토대로, 총 37개의 산림치유 프로그램 요소를 도출하였다. 기존 프로그램을 의미있게 축약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은 7개의 프로그램 군 (1군: 심리치료중심 프로그램, 2군: 강의·상담중심 프로 그램, 3군: 캠핑·산림욕 중심 프로그램, 4군: 식이중심 프로그램, 5군: 자연·식물중심 프로그램, 6군: 명상중심 프로그램, 7군: 호흡·요가중심 프로그램)과 7개의 독립프로그램(숲속 잠자기, 비전 퀘스트, 물속에 손과 발 담그기, 신발 신고 숲속 걷기, 숲 경관 보기, 등산, 숲속 운동회)으로 축약되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요인분석을 통해 산림치유 프로그램 요인을 추출하고,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성별, 연령, 지역, 직업에 따라 산림치유 프로그램 선호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산림치유를 위한 성인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유용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산림청은 인간의 생애를 7단계로 구분해 탄생기, 유아기, 아동·청소년기, 청년기, 중·장년기, 노년기, 회년기등 생애 주기별로 산림 문화, 휴양, 교육 및 치유 등의 맞춤형 복지를 제공할 것을 제안하였다(Korea Forest Service, 2013). 이에 본 연구는 청소년기 이후의 성인을 대상으로 산림치유 프로그램 선호도에 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가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써 활용되어 대상에 맞는 다양하고 효과적인 산림치유 프로그램이 구축되길 기대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요인분석을 통해 산림치유 프로그램 요인을 추출하고,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성별, 연령, 지역, 직업에 따라 산림치유 프로그램 선호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산림치유를 위한 성인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유용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본에서는 산림치유를 무엇으로 정의하고 있는가? 일본에서는 산림치유를 자연환경 속에서의 움직임을 통해 행복과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환경 복리의 한 부분으로 인식하고 있다. 예를 들어, 산림을 걸으면서 하는 카운슬링이나 단체 작업, 산림의 지형이나 자연을 이용한 의료 갱생 및 생활습관, 질병예방활동 그리고 산림에서의 유아 교육 등 산림환경을 종합적으로 사용하면서 건강을 증진 시키는 모든 행위로 정의하고 있다(Yoo, 2007).
산림치유 프로그램이란 무엇인가? 산림치유 프로그램은 ‘치유의 숲 등에서 산림이 지닌 치유 기능을 극대화하기 위해 산림치유 인자를 활용하여 운영하는 프로그램’을 말한다(An et al., 2010).
산림치유프로그램의 대상으로는 어떤 사람들이 있는가? , 2014; Yoo, 2011). 산림치유프로그램의 대상으로 초등학생(Cho et al., 2011; Kim, 2013; Kim et al., 2013), 중학생(Kim et al., 2011; Shin, 2013), 대학생(Lim et al., 2012; Song et al., 2014), 미혼모(Song et al., 2009), 노인(Lim et al., 2014, Choi, 2013), 우울증 환자(Woo et al., 2012), 정신분열병 환자(Lee et al., 2011), 만성 조현병 환자(Lee, 2014), 알코올 중독자(Yeoun, 2007), 아토피피부염 환자(Lee et al., 2010; Yoo et al., 2011; Shin et al., 2013), 인터넷 중독자(Kim, 2014), 직장인(Shin et al., 2003) 등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An, K.W., Yoo, L.H., and Lee, J.H. 2010. Invitation to a forest: forest recreation 8. The Korean Forestry Society. Seoul, Korea. (in Korean) 

  2. Bae, M.K. and Park, M.J. 2011. Evaluation on preference degree of ecotourism choice attributes.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5(4): 59-7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Cho, Y.M., Shin, W.S., Yeoun, P.S., and Lee, H.E. 2011. The Influence of forest experience program on children from low income families, sociality and depression.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5(2): 69-7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Choi, G.H. 2013. A study on the effect analysis of forest heal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Fowkes, T., and Wardman, M. 1988. The design of stated preference travel choice experiments: with special reference to interpersonal taste variations. Journal of Transport Economics and Policy 22(1): 27-44. 

  6. Han, S.Y. and Lee, M.H. 2009. An preference analysis about the types of forest theme park.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3(1): 1-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Hong, S.J. 2012. Study on the importance recognition of forest healing facilities, programs and selection facto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Jeong, S.A., Yoo, L.H., Kim, K.W., Ha, S.Y., Park, C.W., and Kim, J.J. 2009. A basic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orest therapeutic program and operating scheme. The Conference of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pp. 559-561. 

  9. Kim, I.J. 2013. The influence of a forest experience program on elementary student's anger and aggression from low income famil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Kim, J.J. 2009. Determinants of destination choice by forest recreational area.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3(4): 51-5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im, J.M. 2012. A research on consumer preference for a forest based korean medical healing tourism product.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Plants, People and Environment. 26(3): 463-47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Kim, J.Y. 2014.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verification of the forest healing program for children with internet addi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Kim, J.Y., Shin, C.S., Yeoun, P.S., Lee, J.Y., Kim, M.R., Kim, J.K., and Yoo, Y.H. 2013. Forest healing program impact on the mental health recover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7(4): 69-8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Kim, K.W., Lee, Y.H., Kim, H.Y., Kim, C.Y., Kim, J.W., and Yoo, L.H. 2008, Management of forest healing program in saneum forest. The Conference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pp. 41-4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Kim, Y.S., Shin, W.S., Yeoun, P.S., and Lee, J.H. 2011. The influence of forest therapeutic program on the depression of middle school student in weeclass.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5(1): 67-7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Korea Forest Service. 2010. Survey report for the national forest, Forest Service. Daejeon: Korea Forest Service. (in Korean) 

  17. Korea Forest Service. 2013. Forest therapy http://www.forest. go.kr (2014.7.7). (in Korean) 

  18. Lee, E.D., Park, S.J., Yoo, R.H., and Hong, S.J. 2011. Analysis on the activity contents of forest healing programs in korea.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pp. 77-9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Lee, I.S., Choi, H.S., Bang, K.S., Lee, K.W., and Kim, J.E. 2014. An exploratory study of diffusion of health promotion programs using forests.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11(1): 30-3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Lee, K.M. 2014. Effect of forest healing on patients with chronic schizophrenia.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Kookmin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Lee, S.I., An, K.M., Lee, K.S., Kwon, H.K., Cho, H.J., and Kim, J.H. 2010. The influence of national park healing camp on patients with atopic dermatitis.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4(2): 45-5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2. Lee, S.K. 2011. Application plan for a forest therapy program of seasonal customs including plant elem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okmin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3. Lee, Y.H. and Kim, K.W. 2013. Preference for landscape and tree density of forest trail by questionnaire survey. 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16(6): 449-45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4. Lee, Y.H. and Kim, K.W. 2012. The forest landscape management of therapeutic forests by visual preference on the simulation of tree density.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1(4): 648-65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5. Lee, K.M., Kim, K.W., and Jeong, Y.C. 2011. Study on monitoring of forest healing program on schizophrenia. The Conference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pp. 7-1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6. Lim, H.J., Choi, Y.H., Kim, B.Y., Kim, S.H., and Park, B.J. 2012. The stress reduction effects of healing forest on university students. The Conference of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pp. 649-652. 

  27. Lim, Y.S., Kim, D.J., and Yeoun, P.S. 2014. Changes in depression degree and self-esteem of senior citizens in a nursing home according to forest therapy program.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8(1): 1-1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8. Min, B.Y. 2014. A study on future direction of domestic forest healing programs from the perspective of integrative medicin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moon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9. Mo, C.B. 1996. Study on leisure activity participation.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35(2): 25-43. (in Korean) 

  30. Park, B.J. 2010. Experimental approach of therapeutic effect of forest recreation activities : focused on viewing and walking in forest environments.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1. Park, S.H., An, D.S., and Park, J.M. 2008. Analysis on the preference of women on the healing garden. 2008.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2(2): 11-2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2. Ro, G.T., Park, J.G., and Lim, R.H. (2007). The difference of leisure attitude according to leisure activities type and their own characteristics among university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46(4): 339-34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3. Ro, H.J. 2014.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factor analysis (using the SPSS). Hanall publishers. Seoul, Korea. (in Korean) 

  34. Seok, H.D. and An, H.J. 2013. Policy of forest environmental service for happiness, seoul: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63. (in Korean). 

  35. Shin, K.H. 2013. A study on development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that applied forest therapy and effectiveness: centering on middle school students with inability to adapt to school,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6. Shin, O.S., Han, M.H., Park, G., and Jang, J.Y. 2013. The effect of family participated healing camps with the application of family life habit improvement on a topic dermatitis.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7(3): 75-8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7. Shin, W.S., Kim, J.J., Kim, W.J., Yoo, L. H., and Lee. B. D. 2003. The influence of urban forests job satisfaction and stres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2(1): 92-9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8. Shin, W.S., Shin, C.S., Yeoun, P.S., Lee, N.W., Park, K.T., Lee, E.J., and Lee, H.E. 2013. The preference survey of pine tree density for forest healing.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7(1): 71-8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9. Song, J.H., Cha, J.G., Lee, C.Y., Choi, Y.S., and Yeoun, P.S. 2014. Effects of forest healing program on stress response and spirituality in female nursing college students and there experience.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8(1): 109-12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0. Song, J.H., Shin, W.S., Yeoun, P.S., and Choi, M.D. 2009. The influence of forest therapeutic program on unmarried mothers' depression and self-esteem.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7(1): 72-7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1. Woo, J.M., Park, S.M., Lim, S.K., and Kim, W. 2012. Synergistic effect of forest environment and therapeutic program for the treatment of depression.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1(4): 677-68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2. Yeoun, P.S. 2007. The relationships between forest experience and depression.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1(3): 1-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3. Yoo, L.H. 2007. Study on the practical use of the forest therapeutic effect. Journal of Forest Science 70: 45-6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4. Yoo, S.G. 2011. A Study on the development method for forest therapeutic function-centered medical tourism products in Gangwon area. Korea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25(2): 19-4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5. Yoo, Y.H. 2013. The influence on psychological restoration by the types of urban forest and forest-use characteristic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6. Yoo, Y., Lee, S.M., Seo, S.C., Choung, J.T., Lee, S.J., Park, S.J., and Park, C.W. 2011. The clinical and immunological effects of forest camp on childhood environmental diseases.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5(2): 85-9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