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디스커버리(Discovery) 통합색인의 품질평가에 관한 연구 - EDS를 사례로 하여 -
A Study on Quality Evaluation of Discovery Central Index - the Case of EDS(EDSCO Discovery Service) -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45 no.3, 2014년, pp.415 - 440  

이은주 (경일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이 연구에서는 빠르게 도입되고 있는 디스커버리에 대한 이해를 돕고, 통합탐색도구로서 우리 도서관목록의 유용성을 증대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지 그 가능성과 한계를 가늠해 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관련 문헌에 대한 조사와 분석에 근거하여, (1) 디스커버리가 등장하게 된 배경과 개념 및 유형 등 디스커버리의 실체를 살펴보고, (2) 디스커버리 통합색인의 품질평가를 위한 기준과 지표를 개발하고, (3) 도출된 기준과 지표에 따라 디스커버리에서 제공하는 통합색인의 질적 수준을 평가한 뒤, (4) 디스커버리의 도입에 앞서 우리 학계와 도서관계가 고민해야 할 과제와 취해야 할 전략에 대해서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EDS를 사용하는 P대학도서관을 사례로 하여 371건의 표본 레코드를 추출한 뒤, 이를 대상으로 디스커버리 통합색인의 품질평가를 수행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tends to make a comprehensive inquiry into the meaning and limitations of Discovery, and to explore how to make full use of Discovery in library cataloging. To this end, first discussed is the meaning of Discovery, which has a variety definitions. For the quality evaluation, 5 criteria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디스커버리가 빠른 속도로 도입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국내 도서관계도 예외는 아니어서, 2010년 말부터 디스커버리의 도입과 관련된 고민을 시작하였고, 그 결과, 최근 2-3년 만에 약 50여 개의 기관에서 디스커버리를 도입하거나 적극적으로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이처럼 디스커버리가 빠른 속도로 도입되는 이유는 전자책, 학술논문 등 여러 전자자원을 하나의 인터페이스에서 검색하기 위한 기존의 메타검색(meta search)2)이 제 역할을 다 하지 못하는 상황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즉, 디스커버리를 통해 기존의 메타검색이 지니고 있는 한계를 극복하고 진정한 통합검색 환경을 만들어, 도서관목록이 ‘도서관의 다양한 정보자원에 대한 포괄적인 탐색도구’로 제 역할을 다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메타검색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그러나 메타검색이 도서관자료에 대한 주된 접근방식이 아니었기 때문에 이용자들은 도서관 메인화면에서 몇 단계를 거쳐야 메타검색을 시작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불편함을 토로하였다. 그리고 메타검색엔진이 여러 DB에 각각 접근하여 얻은 검색결과를 통합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이용자들은 검색결과를 얻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며 검색결과가 중복적이고 신뢰성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을 지적하였다(심경 2008, 31-38; 남영준, 양지안 2010, 310-311; Way 2010, 215-216). 그 결과, 2000년대 중반부터 다양한 벤더들이 메타검색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3세대 검색방식인 ‘디스커버리’를 출시하기 시작하였다.
미국 대학도서관에서 디스커버리에 대한 관심은 어떠한가? ‘차세대 통합검색시스템’, ‘차세대 도서관목록’이라 불리며 등장한 디스커버리(discovery)는 2000년대 중후반부터 북미 지역의 대학도서관에 폭 넓게 도입되고 있다. 미국 정보표준화기구(NISO)의 ODI(Open Discovery Initiative)1)가 2013년 1월에 조사한 바에 따르면 미국 대학도서관의 74%가 해당 서비스를 도입하여 운영 중이고, 17%가 향후 1-2년 안에 도입할 예정이라고 응답하여 이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여주고 있다(NISO ODI Working Group 2013, 7). 국내 도서관계도 예외는 아니어서, 2010년 말부터 디스커버리의 도입과 관련된 고민을 시작하였고, 그 결과, 최근 2-3년 만에 약 50여 개의 기관에서 디스커버리를 도입하거나 적극적으로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구중억, 곽승진. 2007. 차세대 OPAC의 인터페이스와 기능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8(2): 61-88.(Gu, Jung-Eok and Kwak. Seung-Jin. 2007. "A Study on Next Generation OPAC's Interface and Function."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18(2): 61-88.) 

  2. 김예린, 정영미. 2011. 대학도서관의 차세대 OPAC 체크리스트 개발. 한국정보관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1년 8월 26일.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53-58(Kim, Ye-Rin and Jung, Young-Mi. 2011a.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Checklist for Next generation OPAC of University Library." Proceedings of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53-58.) 

  3. 김왕종. 2004. 통합정보시스템의 품질평가.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Kim, Wang-Jong. 2004. Quality Evaluation on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s. M. A.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4. 남영준, 양지안. 2010. 대학도서관 이용자의 메타서치시스템 이용행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7(3): 307-323.(Nam, Young-Joon and Yang, Ji-Ann. 2010. "A Study on User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of Metasearch System in the Academic Libra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7(3): 307-323.) 

  5. 도태현, 정영미. 2013. 대학도서관의 차세대 OPAC 기능 채택과 확산 현황.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4(2): 197-215.(Doh, Tae-Hyun and Jung, Young-Mi. 2013. "A Study on the Next Generation OPAC Functionalities Diffusion Status and Adoption by Academic Librari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4(2): 197-215.) 

  6. 심경. 2008a. 차세대 도서관 목록. 도서관문화, 49(9): 22-28.(Shim, Kyung. 2008a. "Next Generation Library Catalog." KLA Journal, 49(9): 22-28.) 

  7. 심경. 2008b. 통합검색시스템. 도서관문화, 49(12): 31-38.(Shim, Kyung. 2008b. "Federated Searching." KLA Journal, 49(12): 31-38.) 

  8. 윤정옥. 2010. 차세대 도서관 목록 사례의 고찰.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1(1): 5-28.(Yoon, Cheong-Ok. 2010. "A Case Study on the Next Generation Library Catalog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1(1): 5-28.) 

  9. 윤정옥. 2013. 차세대 도서관 목록의 제반 기능에 관한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7(4): 5-23.(Yoon, Cheong-Ok. 2013. "An Analysis on the Functions of the Next Generation Library Catalog: With a Focus on SearchWorks."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7(4): 5-23.) 

  10. 이제환. 2002. 공동목록 DB의 품질평가와 품질관리: KERIS의 종합목록 DB를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6(1): 61-89.(Lee, Jae-Whoan. 2002. Quality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a Shared Cataloging DB: the Case of KERIS UNICAT DB.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6(1): 61-89.) 

  11. 조종민. 2011. 차세대 전자자료 통합검색 솔루션(discovery solution) 도입 검토 사례연구. 사대도협회지, 12: 41-57. 

  12. 최성진, 김태수. 2010. 연구도서관 디스커버리 환경에서의 MARC의 역할 연구. 지식처리연구, 11(1/2): 33-47.(Choi, Sung-Jin and Kim, Tae-Soo. 2010. A Study on the MARC's Role of Discovery Environment in the Library. Journal of Knowledge Processing and Management, 11(1/2): 33-47.) 

  13. 홍현진. 2005. 웹 기반 데이터베이스의 품질평가 기준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9(2): 211-235.(Hong, Hyun-Jin. 2005.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Quality Evaluation Standard of Web-Based Databases."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9(2): 211-235.) 

  14. Babu, Preedip Balaji and M. Krishnamurthy. 2013. "Library Automation to Resource Discovery: a Review of Emerging Challenges." The Electronic Library, 31(4): 433-451. 

  15. Breeding, Marshall. 2007. "Thinking about your next OPAC." Computers in Libraries, 27(4): 28-30. 

  16. Breeding, Marshall. 2010. "The State of the Art in Library Discovery 2010." Computers in Libraries, 30(1): 31-34. 

  17. Clarke, Eddie. 2006. Resource Discovery Tools Guide and Evaluation. [cited 2014. 7. 28]. 

  18. Chickering, F. William and Sharon Q. Yang. 2014. "Evaluation and Comparison of Discovery Tools: An Update." Information Technology and Libraries, 33(2): 5-30. 

  19. DeFelice, Barbara et al. 2009. An Evaluation of Serials Solutions Summon As a Discovery Service for the Dartmouth College Library. Dartmouth College Library. 

  20. Delone, William H. and McLean, E. R. 2004. "Measuring e-commerce success: Applying the DeLone & McLean Information Systems Success Model." International Journal of Electronic Comerce, 9(1): 31-47. 

  21. Emanuel, Jenny and Guest Columnist. 2009. "Next Generation Catalogs : What do They do and Why Should We Care?" Reference & User Services Quarterly, 49(2): 117-120. 

  22. Fagan, Jody Condit et al. 2012. "Usability Test Results for a Discovery Tool in an Academic Library." Information technology and libraries, 31(1): 83-112. 

  23. Foster, Anita K. and Jean B. MacDonald, 2013. "ATale of Two Discoveries : Comparing the usability of Summon and EBSCO Discovery Service." Journal of Web Lirarianship, 7(1): 1-19. 

  24. Granick, Lois. 1991. "Assuring the Quality of Information Dissemination." Information Services and Use, 11(3): 117-136. 

  25. Grophy, Jan and David Bawden. 2005. "Is Google enough? Comparison of an Internet Search Engine with Academic Library Resources." Aslib Proceedings: New Information Perspectives, 57(6): 498-512. 

  26. Nagy, Andrew. 2009. "A Conversation With Karen Schneider: VuFind and Summon." [cited 2014. 7. 20]. 

  27. NISO ODI Working Group. ODI Survey Report: Reflections and Perspectives on Discovery Services. [cited 2014. 7. 17]. 

  28. OCLC. 2005. Perceptions of Libraries and Information Resources. Dublin, Ohio: OCLC Online Computer Library Center, Inc. 

  29. OCLC. 2010. Perceptions of Libraries, 2010: Context and Community. Dublin, Ohio: OCLC Online Computer Library Center, Inc. 

  30. Philip, Martin. 2010. Do Students Wants a One-stop-shop to Help Them Navigate Their Way Around the Maze of Library Resources? M. A. thesis. The university of sheffield. 

  31. Pradhan, Dinesh R., Kruti Trivedi and Jagdish Arora. 2011. "Searching Online Resources in New Discovery Environment: A state-of-the-Art review." Proceedings of the 8th International Caliber, 132-145. 

  32. Vaughan, Jason. 2011. "Web Scale Discovery: What and Why?" Library Technology Reports, 47(1): 5-11. 

  33. Vaughan, Jason. 2012. "Investigations into Library Web Scale Discovery Service", Information Technology & Libraries, 31(1): 32-82. 

  34. Way, Dong. 2010. "The Impact of Web-scale Discovery on the Use of a Library Collection." Serials Review, 36(4): 214-220. 

  35. Williams, Sarah C. and Anita K. Foster. 2011. "Promise Fulfilled? An EBSCO Discovery Service Usability Study." Journal of Web Librarianship, 5(3): 179-198. 

  36. Yang, Sharon Q. and Kurt Wagner. 2010. "Evaluating and Comparing Discovery Tools: How Close are We Towards Next Generation Catalog?" Library Hi Tech, 28(4): 690-709. 

  37. Yang, Sharon Q. and Melissa A. Hofmann. 2010. "Evaluating and Comparing Discovery Tools: How Close AreWe Towards Next Generation Catalog?" Library Hi Tech, 28(4): 690-709. 

  38. A도서관 디스커버리 업무담당 사서. 2014. 7. 28, 부산, [인터뷰].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