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탐색과 디스커버리 기능 평가 연구 - 공공도서관 OPAC과 인터넷 서점을 중심으로 -
Evaluating and Comparing the Search & Discovery Features: Focusing on the Public Libraries OPACs and the Internet Bookstores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50 no.1, 2016년, pp.493 - 511  

한승희 (서울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디스커버리는 차세대 도서관 목록과 더불어 도서관 자원의 탐색 기능을 향상하기 위해 대두된 개념이다. 이 논문에서는 정보탐색행태 관점에서 디스커버리 기능을 정의하고, 그 기능을 구성하는 요소를 도출한 후, 공공도서관을 대표하는 11개의 지역대표도서관의 온라인 목록과 3개의 인터넷 서점을 대상으로 탐색과 디스커버리 기능을 평가하여 비교하였다. 평가 결과, 디스커버리를 구성하는 모든 기능에서 인터넷 서점이 도서관 온라인 목록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공공도서관 온라인 목록은 여전히 알고 있는 자료 탐색에 집중하고 있으며, 이용자는 디스커버리 기능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우연한 발견의 기회를 갖기 어렵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iscovery is an emerging concept to enhance the search capabilities of library resources with the Next Generation Library Catalog. This paper defined the Discovery feature based on the information search behavior, and then derived the elements that make up its function. After that, the 11 regional 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일반적인 디스커버리 도구들이 도서관 외부에 존재하는 학술정보자원의 탐색과 발견을 중심으로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기 때문에 디스커버리 기능에 대한 기존 연구는 주로 학술정보자원의 이용이 가장 활발한 관종인 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의 온라인 목록과 인터넷 서점을 대상으로 탐색과 디스커버리 기능을 비교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학도서관이 아닌 공공도서관을 비교 대상으로 삼은 이유는, 서점과 공공도서관은 일반 대중이 주된 이용자층인데, 이들은 다양한 요구, 목적과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단행본 중심의 정보탐색행위가 주로 일어난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 먼저, 차세대 도서관 목록은 OPAC 2.0이라고도 하는데, 검색엔진이나 인터넷 서점 등에서 Web 2.0의 새로운 기술들을 적용하여 검색이나 사용성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킨 것과 마찬가지로, 이러한 기술들을 OPAC에 적용함으로써 도서관 자원에 대한 이용자의 접근과 활용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 개념이 실제 디지털 도서관 시스템에 적용되는 과정에서 도서관 목록의 본질에 대한 변화보다는 이용자 관점에서 도서관 목록에 접근하는 방법을 중심으로 하여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는데, 그렇기 때문에 Breeding(2010)은 디스커버리 인터페이스(discovery interface)라는 용어가 더 적절하다고 하였다.
  • 디스커버리는 정보검색 분야에서 오래전부터 언급되어 왔으나, 목록의 탐색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도서관 환경에 적용하기 시작한 것은 차세대 도서관 목록(next generation library catalog)과 더불어 비교적 최근에 도입된 개념으로, 이를 대학도서관 환경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영리·비영리적 성격의 도구들이 개발 되고 이들을 평가하는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이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 온라인 목록의 탐색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출발점으로 이용자의 정보탐색행태의 관점에서 공공도서관 온라인 목록과 인터넷 서점의 디스커버리 기능을 평가 하여 비교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정보탐색행태의 관점에서 디스커버리의 기능을 정의하고, 이 기능의 구성 요소를 도출한 후, 이를 이용하여 공공도서관 온라인 목록과 인터넷 서점의 기능을 비교 평가한다.
  • 그렇기 때문에 이 둘의 시스템을 직접적으로 비교하는 것에 대한 타당성에 대해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유사 연구들과 마찬가지로 도서관과 서점의 영리성 여부를 고려하지 않고 이들이 수행하는 기능적 요소에만 집중하여 비교 평가하고자 하였다. 셋째, 정보탐색행태는 실제 정보탐색환경에서 서로 독립적이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탐색과 디스커버리 기능을 4가지 행태별로 구분지어 독립적으로 평가한 것은 이 연구의 한계점이 될 수 있다.
  • 정보탐색에서 디스커버리는 우연한 발견에 기인하여 ‘알아감’과 ‘찾아냄’을 목적으로 하는 모든 행위를 포함하는 거시적인 개념이며, 정보탐색행태의 관점에서 탐색, 브라우징, 모니터링과 우연한 발견은 정보탐색의 과정에서 개별적으로 일어날 수도 있으나, 탐색에서 디스커버리로 진화하는 연속체의 관점 역시도 고려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탐색과 디스커버리의 기능을 평가를 위해, 이들을 구성하는 기능 요소를 도출하였다. 디스커버리 평가와 관련된 3개의 기존 연구를 참조하여 정보탐색행태의 평가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탐색과 디스커버리 기능 요소를 1차적으로 선정 하여 이를 4개의 정보탐색행태에 매핑한 후 파일럿 테스트를 거쳐 새로운 기능요소를 추가 하여 최종적으로 18개의 기능 요소를 도출하였다.
  • 문헌정보학적 관점에서 발견의 개념은 이용자가 정보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정보를 얻고 이를 활용하여 궁극적으로는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 전체라고 할 수 있다(이은주 2014). 이러한 관점에서 이 연구에서는 디스커버리의 개념을 정보탐색행태의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 그러나 지칭하는 용어의 다양성과 개념의 모호성 때문에 디스커버리의 본질적인 의미를 파악하는데에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사전적 의미를 통해 디스커버리의 기본적인 개념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둘째, 접근할 수 있는 컨텐츠의 범위가 광범위해야 한다. 디스커버리 시스템에서는 전 세계에 흩어져 있는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통합색인 시스템을 활용함으로써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도서관 내·외부 자원을 탐색할 수 있게 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서관에서 새로운 탐색도구로서의 진화에는 한계가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도서관과 서점은 다양한 요구와 특성을 가진 일반 대중을 서비스 대상으로 하며 이용자의 도서 탐색을 지원한다는 유사점이 있으나, 정보기술의 변화에 대한 대응방식에 있어서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단적인 예로, 인터넷 서점은 영리적 속성을 기반으로 고객의 요구에 적극적으로 반응하며 도서 탐색에 필요한 여러 가지 기능들을 제공하기 위해 새로운 웹 기술 들을 끊임없이 적용하고 있는 반면, 도서관 온라인 목록은 여전히 복잡한 탐색 인터페이스와 익숙하지 않은 용어를 제공하는 등 도서관 서지정보의 구조적 특성이 갖고 있는 틀에 갇혀 새로운 탐색도구로서의 진화에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
디스커버리란 무엇인가? 디스커버리 또는 발견이란, ‘처음으로 어떤 것을 찾거나 배운 행위’를 말하며(MerriamWebster dictionary),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 대사전 에 의하면, ‘미처 찾아내지 못하였거나 아직 알려지지 아니한 사물이나 현상, 사실 따위를 찾아냄’을 의미한다. 이 두 가지 사전적 정의를 통해, 디스커버리는 ‘알아감’과 ‘찾아냄’이라는 두 개념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서관이 다른 정보제공자와 경쟁하며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할 필요가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Merčun and Zŭmer(2008)는 정보기술의 수용이 보편화된 오늘날의 도서관 이용자의 특징을 분석하였는데, Y세대, N세대, M세대, 디지털 네이티브 등으로 불리는 이들은 웹과 모바일에 능통하고, 이전 세대의 이용자에 비해 다양한 방법으로 정보를 다루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 과거에는 도서관이 거의 유일한 정보 제공 채널이었으나, 정보의 양과 범위가 증가함에 따라 오늘날에는 도서관 이외에도 다양한 정보 제공자가 존재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오늘날의 도서관 이용자는 과거 이용자(patron)에 비해 적극적으로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정보제공자를 선택하는 적극적인 이용자(customer)의 개념으로 진화하고 있다. 그러므로 도서관은 다른 정보제공자와 경쟁하며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도태현, 정영미. 2013. 대학도서관의 차세대 OPAC 기능 채택과 확산 현황.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4(2): 197-215.(Doh, Tae-Hyun and Jung, Young-Mi. 2013. "A Study on the Next Generation OPACFunctionalities Diffusion Status and Adoption by Academic Libraries." Journal of Korean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4(2): 197-215.) 

  2. 오경은, 김기영. 2008. 문헌분류방식에 따른 도서탐색용이성에 관한 연구: 공공도서관과 대형서점의 분류방식을 중심으로. 정보관리학회지, 25(4): 25-42.(Oh, Kyong-Eun and Kim, Gi-Yeong. 2008. "A Study on the Convenience in Finding BooksAccording to Classifications: Focused on the Classifications in Public Libraries and Bookstores."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5(4): 25-42.) 

  3. 이성숙. 2012. 트랜잭션 로그 분석을 통한 웹기반 온라인목록의 검색행태 추이 분석.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3(2): 209-233.(Lee, Sung-Sook. 2012. "Trends of Web-Based OPAC Search Behavior via Transaction Log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3(2):209-233.) 

  4. 이은주. 2014. 디스커버리(Discovery) 통합색인의 품질평가에 관한 연구: EDS를 사례로 하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5(3): 415-440.(Lee, Eun-Ju. 2014. "A Study on Quality Evaluation of Discovery Central Index: The Caseof EDS (EBSCO Discovery Service)."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Society, 45(3): 415-440.) 

  5. 한승희, 이지연. 2006. 과학기술분야 연구자의 정보요구별 탐색행태 분석. 제13회 한국정보관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06년 8월 1일, 17-22.(Han, Seung Hee and Lee, Jee Yeon. 2006. "Searching Behavior of Scientists and TechnologistsBased on Their Information Needs." In Proceedings of the 13th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Management, August 1, 2006, 17-22.) 

  6. Baker, S. L. and Shepherd, G. W. 1987. "Fiction Classification Schemes: The Principles Behind Them and Their Success." RQ, 27(2): 245-251. 

  7. Bates, M. J. 2002. "Toward an Integrated Model of Information Seeking and Searching." New Review of Information Behaviour Research, 3: 1-15. 

  8. Booth, M. et al. 2012. "From Search to Discovery." In Proceedings of ALIA Biennial Conference 2012, July 10-13, 2012, Sydney: Hilton Hotel. [online] [cited 2015. 6. 14.] 

  9. Breeding, M. 2010. "The State of the Art in Library Discovery 2010." Computers in Libraries, 30(1): 31-34. 

  10. Case, D. O. ed. 2012. Looking for Information: A Survey of Research on Information Seeking, Needs and Behavior. UK: Emerald Group Pub. 

  11. Chang, S. and Rice, E. 1993. "Browsing: A Multidimensional Framework." Annual Review of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8: 231-76. 

  12. Chickering, W. and Yang, Q. 2014. "Evaluation and Comparison of Discovery Tools: An Update." Information Technology and Libraries, 33(2): 5-30. 

  13. Foster, A. and Ford, N. 2003. "Serendipity and Information Seeking: An Empirical Study." Journal of Documentation, 59(3): 321-340. 

  14. Macgregor, G. and McCulloch, E. 2006. "Collaborative Tagging As a Knowledge Organisation and Resource Discovery Tool." Library Review, 55(5): 291-300. 

  15. Mercun, T. and Zumer, M. 2008. "New Generation of Catalogues for the New Generation of Users: A Comparison of Six Library Catalogues." Program, 42(3): 243-261. 

  16. Merriam-Webster. 1828. Merriam-Webster Dictionary. Springfield, MA: Merriam-Webster. [online] . 

  17. Pradhan, D. R., Trivedi, K. and Arora, J. 2011. "Searching Online Resources in New Discovery Environment: A State-of-the-Art Review." In Proceedings of the 8th International CALIBER, March 2-4, 2011, Goa: Goa University. [online] [cited 2015. 12. 1.] 

  18. Sadeh, T. 2013. "From Search to Discovery." In Proceedings of IFLA WLIC 2013, Aug 19, 2013, Singapore. [online] [cited 2015. 7. 7.] . 

  19. Stohn, C. 2015. How Do Users Search and Discover?: Findings from Ex Libris User Research. Jerusalem: EX Libris. [online] [cited 2015. 8. 23.] 

  20. Woodward, A. 2005. Creating the Customer-Driven Library: Building on the Bookstore Model. Chicago: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