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서관 디스커버리의 평가요소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 분석
Analysis of Relative Importance on Evaluation Elements of Library Discovery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54 no.2, 2020년, pp.399 - 417  

김성희 (중앙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디스커버리가 제공하고 있는 다양한 기능들에 대해 평가요소를 선정하여 그 상대적 중요성을 분석하였다. 먼저, 선행연구를 통해 선정된 다양한 평가항목들에 대해 콘텐츠, 탐색기능, 우연한 발견, 상호작용성, 사용의 편리성 등 다섯 개 카테고리로 구분하고 이들을 다시 36개의 세부 평가항목으로 구성하였다. 각 평가요소들의 상대적 중요성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 AHP 기법을 채택하였다. 평가결과 상위 항목에서는 사용의 편리성이 가장 중요하고 이어서 콘텐츠, 탐색기능, 상호작용성, 우연한 발견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체 36개의 하위 평가항목에 대한 중요도 분석결과 콘텐츠 통합데이터 품질이 가장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추후 디스커버리를 도입하거나 선정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tried to analyze the relative importance of features for various functions provided by Discovery. We identified a total of 36 assessment items in five categories including contents, search function, serendipity, interactivity, and ease of use based on literature review. In order to...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존의 디스커버리와 관련해 서는 주로 디스커버리의 소개, 탐색기능분석 및 기존의 목록시스템과 비교하는 연구들이 진행 되어 왔으나 평가요소에 대한 기준은 마련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도 서관의 디스커버리를 선정 또는 개발하고자 할 경우 고려해야 하는 다양한 평가항목들을 객관 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 하고, 지표 간 상대적 중요도를 결정하는 AHP 기법을 채택하였다.
  • 본 연구는 도서관의 디스커버리를 선정 또는 개발하고자 할 경우 고려해야 하는 다양한 평가 항목들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하고, 지표 간 상대적 중요도를 결정하는 AHP 기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 입장에서 도서관 디스커버리의 평가기준을 도출하기 위해 이은주 (2014)의 선행연구를 통한 분석기준과 한승희 (2016)의 탐색기능 평가항목 및 국외의 디스커버리 시스템의 다양한 기능에 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도서관 디스커버리에 적합한 평가요 소를 도출 하였다(Chikering and Yang 2014; Deodato 2015). 선정된 평가요소는 콘텐트, 탐색기능, 우연한 발견, 상호작용성, 사용의 편의성 등 다섯 개 영역으로 구분하여 평가요소를 선정하였고 이러한 평가요소는 의사결정방법 론인 AHP이론을 적용하기 위해 평가요소들을 계층화하고 쌍대비교를 통해 상대적 중요도를 도출하여 평가 모형을 개발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선행연구를 토대로 도서관 디스커버리 시스템에 대해 선정된 평가항목들을 계층적 분석기법(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으로 분석하여 상대적인 중요도를 도출 하고자 하였다. 디스커버리의 평가항목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하여 전문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가설 설정

  • 이를 위해서 검색인터페이스는 심플하고 탐색과정을 단순하게 하며 직관적이어야 한다. 둘째, 접근할 수 있는 콘텐츠의 범위가 포괄적으로 제공된다는 것이다. 디스커버리 시스템은 도서관내 소장 자료, 기관 리포지토리 뿐만 아니라 외부의 자원 까지도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하기 용이하면서도 통합적으로 자원을 탐색할 수 있으며 콘텐츠의 표지이미지, 초록, 저자사항 등 다양한 요소들을 제공함으로써 자원 발견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디스커버리가 등장한 배경은? 오늘날과 같이 거의 모든 정보를 온라인으로 검색하는 인터넷 정보탐색 환경에서 도서관에서 접근 가능한 정보자원의 유형도 도서관 소장자원은 물론 전자저널, 웹상의 라이선스를 받지 않은 정보까지도 다양해졌다. 그러나 기존의 도서관 목록은 검색기능이 정보자원의 유형에 따라 다르게 검색해야 하는 등 다소 복잡 하고 이용가능한 자원의 유형도 제한되어 있어 이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찾기 위해서는 불편함이 있는 게 사실이다. 이런 이유 등으로 도서관 이용자들은 정보를 찾기 위해 도서관보다는 구글이나 기타 인터넷 검색엔진 등을 이용하는 것이 더 편리하다고 인식되어왔다(Breeding 2010). 이러한 이용자의 요구에 적극적으로 대처하여 이용자 중심의 정보자원 발견시스템으로 개발되기 시작한 것이 바로 디스커버리라고 할 수 있다.
디스커버리란? 디스커버리는 이용자들이 원하는 정보를 탐색하고 식별하고 접근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시스템으로 2000년대 중․후반부터 미국을 중심으로 도서관 내. 외부의 다양한 자원 을 통합적으로 검색하여 제공하는 솔루션으로 제공되기 시작하였다.
디스커버리의 발전 방향은? 이러한 이용자의 요구에 적극적으로 대처하여 이용자 중심의 정보자원 발견시스템으로 개발되기 시작한 것이 바로 디스커버리라고 할 수 있다. 디스커버리는 정보자원을 탐색하고 접근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법 및 이론을 적용하는 정보검색 분야에서 사용되어 왔으나, 기존의 목록시스템의 복잡한 검색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도서관에 적용하기 시작한 것은 차세대 도서관 목록(next generation library catalog) 시스템의 개발과 함께 도입된 개념이라고 할수 있으며 그 동안 디스커버리는 도서관 환경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상업용 및 오픈소스 성격의 소프트웨어들이 개발되고 이와 관련된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Gu, Jung-Eok and Kwak, Seung-Jin. 2007. "A Study on Next Generation OPAC's Interface and Function."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18(2): 61-88. 

  2. Kwak, Seung-Jin, Shin, Jae-Min and Kim, Bo-Young. "Comparative Study of Discovery Service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7(4): 5-20. 

  3. Kim, Seong-Hee and Nam, Jae-Woo. 2011. "A Study on Information Architecture for Mobile Library Websites."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42(1): 1-23. 

  4. Lee, E. J. 2014. "A Study on Quality Evaluation of Discovery Central Index: the Case of EDS(EDSCO Discovery Service."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5(3): 415-440. 

  5. Cho, Geun-tae, Cho, Yong-geun and Kang, Hyun-soo. 2003. Decision making with Analytic Hierarchy Process. Dong Hyun Publisher. 

  6. Jeong, D., Choi, Y. and Chon, J. 2019. "Analysis of Importance in Available Space for Creating Urban Forests to Reduce Particulate Matter: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J. KILA, 47(6): 103-114. 

  7. Doh, Tae-Hyun and Jung, Young-Mi. 2013 "A Study on the Next Generation OPAC Functionalities Diffusion Status and Adoption by Academic Librari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4(2): 197-215. 

  8. Han, Seung-Hee. 2016. "Evaluating and Comparing the Search & Discovery Features: Focusing on the Public Libraries OPACs and the Internet Bookstor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0(1): 493-511. 

  9. Breeding, M. 2010. "The State of the Art in Library Discovery 2010." Computers in Libraries, 30(1): 31-34. 

  10. Chickering, W. and Yang, Q. 2014. "Evaluation and Comparison of Discovery Tools: An Update." Information Technology and Libraries, 33(2): 5-30. 

  11. Deodato, J. 2015. "Evaluating Web-Scale Discovery Services: A Step-by-Step Guide." Information Technology and Libraries, 34(2): 19-75. 

  12. Foster, A. and N. Ford 2003 "Serendipity and Information Seeking: An Empirical Study." Journal of Documentation, 59(3): 321-340. 

  13. OCLC. 2010. Perceptions of Libraries, 2010: Context and Community. Dublin, Ohio: OCLC Online Computer Library Center, Inc 

  14. Sadeh, T. 2013. "From Search to Discovery." In Proceedings of IFLA WLIC 2013, Aug19, 2013, Singapore. [online] [cited 2020. 4. 20.] . 

  15. Sonawane, Chetan S. 2017. "Library Discovery System: An integrated approach to resource discovery." Informatics Studies, 4(3): 27-3. 

  16. Stohn, C. 2015. How Do Users Search and Discover?: Findings from Ex Libris User Research. Jerusalem: EX Libris. [online] [cited 2020. 4. 20.] 

  17. Wind, Y. and T. L. Saaty. 1980. "Marketing applications of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Management Science, 26(7): 641-65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