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디스커버리 서비스는 이용자가 최대한으로 도서관의 장서를 이용할 수 있도록 검색과 색인, 인터페이스를 한 단계 더 발전시켜서 이용자의 정보 요구에 보다 더 효율적으로 대처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디스커버리 서비스는 검색 결과를 적합성에 따라서 순위화하며, 검색 결과를 패싯으로 세분하여 내비게이션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시각적으로 풍부한 디스플레이, 검색어 추천, 연관 자원 추천 등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디스커버리 서비스 제품들과 이용현황, 특징 등 디스커버리 서비스 현황을 소개하고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3개의 디스커버리에 대한 사용기관, 콘텐츠 현황, 주요기능, 특장점 등에 대해 비교 분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iscovery service has as its object to cope with the user to take advantage of the collection of the library as possible to index and search, one step further, the interface by more efficiently to the user's information needs. Discovery service has features such as providing a ranking and navigati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디스커버리 서비스는 여러 자원에 대한 메타데이터의 통합색인 및 통합검색 환경을 구축하여, 도서관 이용자들이 학습활동과 관련한 자료를 탐색하고 접근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디스커버리 서비스는 도서관 이용자를 위한 자료 접근을 용이하게 하며, 자료의 탐색 및 검색 기능뿐만 아니라 이용자서비스 및 기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에서 주로 활용되는 디스커버리 서비스 현황을 조사하여 비교 분석을 진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첫째, 다양한 유형으로 제공되는 디스커버리 서비스의 현황을 살펴보고, 둘째, 국내에서 서비스되고 있는 디스커버리 서비스의 사용기관, 콘텐츠 현황, 주요기능, 특장점 등을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해외 도서관에서 사용하는 디스커버리 제품들과 그 특징, 각각의 제품들을 사용하고 있는 도서관들에 대해 정리하였으며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10개의 디스커버리 제품들에 대해 조사, 분석하였다. 각각의 디스커버리 제품들을 살펴봄에 앞서 각각의 벤더와 벤더들이 제공하는 통합도서관시스템, 디스커버리 서비스들을 정리하면 <표 1>과 같다.
  • 이 논문은2011~2012년에 라이더 대학도서관(Rider University Libraries, RUL)에서 실시한 웹스케일 디스커버리의 연구 결과를 참고로, 북미지역 대학도서관에서 주로 이용하고 있는 14개의 디스커버리를 대상으로 16개의 평가 범주를 이용하여 그 기능을 평가하였다. 이 연구는 디스커버리 서비스를 비교, 평가하여 최신 개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서들이 자관에 적합한 디스커버리 서비스를 채택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표 2>는 16개의 평가 범주에 따른 디스커버리 서비스의 기능 평가 결과이다.
  • 이은주는 디스커버리 등장 배경과 개념 및 유형 등 디스커버리의 실체를 살펴보고 디스커버리 통합색인의 품질평가를 위하여 최신성, 중복성, 완전성, 정확성, 중복성 등의 기준을 마련하여 지표를 개발하였다. 도출된 기준과 지표에 따라 디스커버리에서 제공하는 통합색인의 질적 수준 평가를 통해 전자자원의 통합탐색도구로서는 매우 유용하지만 탐색결과 내에서 많은 노이즈와 업데이트 되지 않은 이전 자료가 존재할 수 있다는 일부 통합색인의 문제점도 발견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디스커버리 서비스의 목적은 무엇인가? 디스커버리 서비스는 여러 자원에 대한 메타데이터의 통합색인 및 통합검색 환경을 구축하여, 도서관 이용자들이 학습활동과 관련한 자료를 탐색하고 접근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디스커버리 서비스는 도서관 이용자를 위한 자료 접근을 용이하게 하며, 자료의 탐색 및 검색 기능뿐만 아니라 이용자서비스 및 기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디스커버리 서비스는 개발 관점에 따라 어떻게 구분될 수 있는가? 디스커버리 서비스는 개발관점에 따라 로컬디스커버리 제품과 웹 스케일(web-scale) 디스커버리 제품으로 구분되고, 개발주체에 따라 상용 패키지 제품과 오픈소스 개발 제품으로 구분할 수 있다. 로컬 디스커버리 제품은 통합검색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기술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AquaBrowser, Encore, Endeca ProFind등이 이에 해당되며, 웹 스케일 디스커버리 제품은 통합검색과 함께 통합색인 구축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Summon, EBSCO Discovery Service(EDS), WorldCat Local 등이 대표적인 제품이라 할 수 있다.
VuFind의 인터페이스에서 지원하는 언어는 무엇이 있는가? VuFind는 Solr Energy에서 구동되며, GPL 오픈소스 라이센스를 통해 무료로 제공된다. 인터페이스는 포르투갈어, 중국어, 네덜란드어,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일본어, 스페인어 등의 언어를 지원하고 있으며, 일리노이대학 도서관, 런던대학도서관 등 600여개의 다양한 도서관과 컨소시엄에서 도입하여 사용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곽승진, 신재민. 2014. 도서관 정보시스템의 발전 방안 연구. "사회과학연구", 25(4): 499-518. (Kwak Seung-Jin and Jae-Min Shin. 2014. "Study on Development Measures for the Library Information System." Journal of Social Science, 25(4): 499-518.) 

  2. 곽철완, 곽승진, 강현우. 2012. 공공도서관 KOLAS 보급 및 유지 보수체계에 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6(3): 297-317. (Kwak Chul-Wan, Seung-Jin Kwak, and Hyun-Woo Kang. 2012. "The Study of the Distribution and Maintenance System of the KOLAS for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6(3): 297-317.) 

  3. 구중억, 곽승진. 2007. 차세대 OPAC의 인터페이스와 기능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8(2): 61-88. (Gu, Jung-Eok and Seung-Jin Kwak. 2007. "A Study on Next Generation OPAC's Interface and Function."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18(2): 61-88.) 

  4. 김용. 2012.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도서관 서비스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3(3): 57-84. (Kim Yong. 2012. "A Study on the Introductionof Library Services Based on Cloud Computing."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3(3): 57-84.) 

  5. 도태현, 정영미. 2013. 대학도서관의 차세대 OPAC 기능 채택과 확산 현황.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4(2): 197-215. (Doh, Tae-Hyun and Young-Mi Jung. 2013. "A Study on the Next Generation OPAC Functionalities Diffusion Status and Adoption by Academic Librari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4(2): 197-215.) 

  6. 윤정옥. 2013. 차세대 도서관 목록의 제반 기능에 관한 분석 - SearchWorks를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7(4): 5-23. (Yoon Cheong-Ok. 2013. "An Analysis on the Functions of the Next Generation Library Catalog: With a Focus on Search Works."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ty, 47(4): 5-23.) 

  7. 이은주. 2014. 디스커버리(Discovery) 통합색인의 품질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5(3): 415-440. (Lee Eun-Ju. 2014. "A Study on Quality Evaluation of Discovery Central Index - the Case of EDS (EBSCO Discovery Service)."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5(3): 415-440.) 

  8. 조재인. 2011. 오픈소스 ILS 실현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8(1): 69-88. (Cho Jane. 2011. "A Study on the Integrated Library System Based on Open Source Softwar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8(1): 69-88.) 

  9. 한승희. 2016. 탐색과 디스커버리 기능 평가 연구: 공공도서관 OPAC과 인터넷 서점을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50(1): 493-511. (Han Seung-Hee. 2016. "Evaluating and Comparing the Search & Discovery Features: Focusing on the Public Libraries OPACs and the Internet Bookstor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0(1): 493-511.) 

  10. BiblioCommons Homepage [online]. [cited 2016.10.12]. . 

  11. Diedrichs, C. P. 2009. "Discovery and Delivery: Making it Work for Users." Serials Librarian, 56(1): 79-93. 

  12. Chickering, F. William and Sharon Q. Yang. 2014. "Evaluation and Comparison of Discovery Tools: An Update." Information Technology and Libraries, 33(2): 5-30. 

  13. Library Technology Guides [online]. [cited 2016.10.11]. . 

  14. Marshall Breeding. 2015. The Future of Library Resource Discovery [online]. [cited 2016.10.12]. . 

  15. Marshall Breeding. 2014. "Major Discovery Product Profiles." Library Technology Reports, 50(1): 33-52 [online]. [cited 2016.10.13]. . 

  16. Marshall Breeding. Library Systems Report 2015, American Libraries Magazine [online]. [cited 2016.10.12]. . 

  17. Matt Enis. Library Systems Landscape 2015. 2015 Library Journal [online]. [cited 2016.10.11]. . 

  18. Hofmann, M. A. and Sharon Q. Yang. 2010. "How Next-Gen R U? A Review of Academic OPACS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Computers in Libraries, 31(6): 26-29. 

  19. OCLC WorldShare Management Services [online]. [cited 2016.9.12]. . 

  20. Priscilla Caplan. 2012. "On Discovery Tools, OPACs and the Motion of Library Language." Library Hi Tech, 30(1): 108-115. 

  21. Williams, S. C. and Anita K. Foster. 2011. "Promise Fulfilled? An EBSCO Discovery Service Usability Study." Journal of Web Librarianship, 5(3): 179-198. 

  22. Yang, S. Q. and Kurt Wagner. 2010. "Evaluating and Comparing discovery tools: how close are we towards next generation catalog?" Library Hi Tech, 28(4): 690-709. 

  23. Stohn, C. 2015. "How Do Users Search and Discover?: Findings from Ex Libris User Research." Jerusalem: EX Libris [online]. [cited 2016.11.14]. .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