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근거이론을 적용한 집단독서치료 참여자들의 변화경험과 과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hanges Experienced and Processes of the Participants in Group Bibliotherapy by Grounded Theory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45 no.3, 2014년, pp.463 - 488  

박명희 (평택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집단독서치료에 참여한 참여자들의 변화경험과 과정을 탐색하고 이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동료지명방법에 의해 가장 유능한 독서치료 전문가로 선정된 2인이 운영한 집단에 집단원으로 참여한 성인 14명을 대상으로 개별면담을 실시하고, 질적 연구방법 중 하나인 근거이론 접근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집단독서치료 참여자들의 경험을 근거이론 접근방법을 통하여 심층적으로 탐색하여 집단독서치료의 변화경험과 과정을 밝힘으로써 집단독서치료의 실체를 이해할 수 있는 기틀을 제공해 주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understand changes experienced by participants in group bibliotherapy. For this purpose,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4 adults who were chosen by the best bibliotherapists through peer nomination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grounded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근거이론이란? 이러한 질적 연구방법에는 내러티브 연구, 현상학적 연구, 근거이론 연구, 문화기술지 연구, 사례연구 등이 있다. 이 중 근거이론(grounded theory)은 상징적 상호작용주의 관점에서 상징을 통해 인간이 상호작용함으로써 일어나는 사회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Glaser와 Strauss 두 사회학자에 의해 개발되고 발전된 질적 연구의 한 방법으로 연구 주제에 대해 알려진 것이 없고, 집단행동을 설명하거나 예측하기 위해 어떤 적절한 이론이 존재하지 않을 때 특히 유용하다(신경림 외, 2004). 그러므로 근거이론은 어떤 현상에 속한 자료를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하여 귀납적으로 이끌어냄으로써 특별한 현상을 이론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신경림 외 2004).
본 연구에서 나타난 중재적 조건은? 중재적 조건(intervening condition)은 참여자가 경험한 현상의 강도를 완화시키거나 변화를 유도하는 조건으로써, 작용/상호작용을 촉진하거나 방해하는 역할을 하는 요인들을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참여자들이 경험한 당혹스럽고 두려움을 극복하고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데 중재한 요인 들은 ‘참여자 개인요인’, ‘매체요인’, ‘집단원요인’, ‘매체를 통한 집단원과의 상호작용요인’, ‘치료자 요인’, ‘집단요인’으로 나타났다.
현상이란? 현상(phenomenon)은 인과적 조건의 영향으로 참여자들이 경험한 문제를 말한다. 본 연구의 현상은 ‘통찰로 인한 혼란스러움과 두려움’이라는 범주로 요약되었고, 구체적인 참여자들의 경험은 ‘내 고통의 이유를 깨달음’과 ‘몰랐던 내 문제를 발견하고 당혹스럽고 혼란스러움’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강신호. 2009. 집단상담자의 발달특성 분석-박사과정에 있는 상담자를 중심으로. 석사학위 논문, 광운대학교 정보복지대학원.(Kang, Shin-Ho. 2009. Analysis of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Group Counselors-focusing on Internship Counselo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Kwangwoon University.) 

  2. 권경인, 김창대. 2007. 한국 집단상담 대가의 특성 분석. 상담학연구, 8(3): 979-1010.(Kwon, Kyung-In, Kim, Chang-Dai . 2007.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Master Group Counselor". Korea Journal of Counseling, 8(3): 979-1010.) 

  3. 김갑선. 2007. 독서치료 관련 학위논문의 연구 경향 분석; 1984-2006. 독서문화연구, 6: 153-187(Kim, Kap-Seon . 2007. "Research Trend in the Korean Theses of Bibliotherapy: 1984-2006". Reading Culture Research Institute Journal, 6: 153-187.) 

  4. 김경선, 성승연. 2012. 독서치료를 경험한 중년여성의 삶의 인식변화에 대한 현상학적연구. 한국심리학회지, 17(3): 475-516.(Kim, Kyong-Sun, Sung, Seoung-Yun. 2012. "A Phenomenological Study on Middle-aged Women's Change in the Understanding Life Through Bibliotherapy." The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7(3): 475-516.) 

  5. 김길자. 2008. 독서치료를 통한 여대생의 부정적 정서 회복과정에 대한 근거이론적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3): 103-131(Kim., Kil-Ja 2008. "The Grounded Theoretical Study on Negative Emotion Recovery Process of Female College Students Through Bibliotherapy".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2(3): 103-131) 

  6. 김수경. 2006. 주부의 마음상함과 독서치료 프로그램 적용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Kim, Soo-Kyoung. 2006. A Study on the use of Bibliotherapy Program and Wounded Emotion of Housewives. Department of Library, Ph. D. Diss., The Graduat School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7. 김수경. 2010. 비행청소년 교정교육을 위한 독서치료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사례 연구. P소년원을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1(2): 27-60.(Kim, Soo-Kyoung. 2010. The Case Study on the Creation and the Use of the Bibliotherapy Program for the Correctional Education of Juvenile Delinquents : Focus on the Juvenile Correctional School at P City.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1(2): 27-60.) 

  8. 김은엽. 2005. 20대 여성의 상처와 독서를 통한 치유에 관한 연구: K의이야기를 중심으로. 석사학위 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Kim, Eun Yeop . 2005. A Study of Wounded Hearts of Women in Their 20s and the Experience of Healing Through Reading : The Story of 'K'. Thesis, The Graduat School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9. 김현희 외. 2004. 독서치료. 서울: 학지사. 

  10. 박승민, 김창대. 2005. 온라인게임 과다사용 청소년의 게임행동 조절과정과 개입요인. 상담학연구, 6(4): 1281-1305.(Park, Seung-Min, Kim Chang-Dai. 2005. "The Regulation Process of Adolescent On-line Game Overuser's Behavior and Intervening Factors". Korea Journal of Counseling, 6(4): 1281-1305.) 

  11. 박재식. 2009. 독서치료를 통한 이혼여성의 부정적 정서 회복과정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 논문, 평택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Park, Jae-Sik. 2009. Bibliotherapy for Divorced Women in Negative Emotional Recovery Process. Ph. D. Diss., The Graduate School of Pyongtaek University.) 

  12. 박준희. 2007. 국내 독서치료의 현실과 전망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상명대학교정치경영대 학원. 

  13. 신경림, 조명옥, 양진향. 2004. 질적 연구방법론.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4. 안주현. 2005. 상담과정 중 내담자의 자기 정서수용에 관한 질적 연구. 석사학위논문, 카톨릭대학교 대학원.(Ahn, Ioo-Hyun. 2005. A Qualitative Study of Client's Self Emotion Acceptance in Counseling Process. Thesis Graduate School of Catholic University.) 

  15. 연문희, 박남숙. 2001. 교육과 상담에서의 질적연구. 연세교육연구, 14(1): 243-263. 

  16. 유성경. 1988. 상담자와 내담자의 언어적 상호작용과 상담의 효율성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1): 79-92.(Yoo, Sung-Gyeong. 1988. "The Relation Between Counselor - Client Verbal Interaction and Counseling Effectivenes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logy, 1(1): 79-92.) 

  17. 유중희. 1964. 도서관과 비브리오세라피. 국회도서관보, 1(3): 133-139. 

  18. 이기숙. 2004. 중년여성의 사회심리적 위기감과 독서치료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Lee, Kee-Sook. 2004. A Study on Bibliotherapy and Socio-psychological Crisis of Middle-aged Women.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Dong-A University.) 

  19. 이무석. 2003. 정신분석에로의 초대. 서울: 이유. 

  20. 이수림. 2008. 상담자의 지혜와 상담과정 및 성과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카톨릭대학교대학원.(Lee, Su-Lim. 2008. Counselor's Wisdom, Counseling Processes, and Outcomes. Ph. D. Diss., The Graduate School of the Catholic University.) 

  21. 이연옥. 2009. 역기능 가정 자녀를 위한 독서치료 프로그램에 대한 질적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1): 405-431.(Lee, Yeon-Ok. 2009. "A Qualitative Study on Bibliotherapy Program for the Sons and Daughters of the Dysfunctional Family".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0(1): 405-431.) 

  22. 이형득 외. 2002. 집단상담.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23. 이희자. 2006. 공공도서관 독서치료 참여자의 치유효과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경기대학교 대학원.(Lee, Hui-Ja. 2006. Research on a Public Library Reading Medical Treatment Program Participant's Recovery Effect.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Kyonggi University.) 

  24. 정춘순. 2009. 기독청년들의 대인관계향상을 위한 집단독서치료 경험 및 치료요인 연구. 박사학위 논문, 백석대학교 대학원.(Chung, Choon-Soon. 2009. A Study of Young Christians' Interpersonal Enhancement and Therapeutic Factors from Group Bibliotherapy Experiences. Ph. D. Diss., The Graduate School of Baekseok University.) 

  25. 조병주. 2010. 내담자가 체험한 상담자의 자기개방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박사학위논문, 숙명여 자대학교 대학원.(Joh, Byeong-Joo. 2010. A Phenomenological Study on Client Lived-Experiences of Counselor Self-Disclosure. Ph. D. Diss., The Graduate School of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6. 최태산외. 2006. 국내독서치료 연구동향: 독서치료 관련 논문을 중심으로(1988-2005). 상담놀이치료 연구, 9(1): 17-31(Choi-Tae San etc. (2006). "The Trends of Bibliotherapy Study in Korea-Based on Published Articles about Bibliotherapy(1988-2005)."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Play Therapy, 9(1): 17-31.) 

  27. 황금숙. 2005. 국내독서치료 연구동향 분석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6(1): 117-130.(Hoang, Gum-Sook. 2005. An Analytical Study on Research Trends of Bibliotherapy in Kore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6(1): 117-130.) 

  28. Cohen, L. 1992. Bibliotherapy: The Experience of Therapeutic Reading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dilt Reader. Ph. D. dissertation. New York University. 

  29. Corey, G., Corey, M. S. 2006. 집단상담 과정과 실제. 김진숙, 김창대, 박애선, 유동수, 전종국, 천성문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30. Golden, K. 2000. The use of Collaborative Writing to Enhance in Poetry Therapy Group. Journal of Poetry Therapy, 13(3): 125-138. 

  31. Guba, E. G., & Lincoln, Y. S. 1981. Effective Evaluation. San Francisco, CA :Jossey-Bass. 

  32. Hynes, A. M. & Hynes-Berry, M. 1994. Biblio/Poetry Therapy: The Interactive Process; A Handbook. Boulder: Westview Press. 

  33. Schreiber, R. S., Stern, P. N. 2001. Using Grounded Theory in Nursing. New York: Springer. 

  34. Strauss, A., & Corbin, J. 1996. 근거이론의 이해. 김수지, 신경림 역. 서울: 한울 아카데미. 

  35. Strauss, A., &Corbin, J. 1998. Basic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Thousand Oakes, CA: Sage.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