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프린터와 스케이터를 이용한 고유수용성촉진법 패턴 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보행 기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PNF) Pattern Exercise Using the Sprinter and the Skater on Balance and Gait Function in the Stroke Patients 원문보기

대한물리치료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v.26 no.4, 2014년, pp.249 - 256  

임재길 (가천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s of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PNF) pattern exercise using sprinter and skater on balance and gait in the stroke patients. Methods: Twenty-two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n=11) and the control gro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균형 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FRT 검사와 BBS 검사를 수행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FRT 검사는 고유수용성촉진법을 이용한 패턴 운동을 수행한 실험군에서 중재 전 19.
  • 본 연구는 뇌졸중환자를 대상으로 스프린터와 스케이터를 이용한 고유수용성촉진법 패턴 운동이 균형 능력과 보행 기능의 개선이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시행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입증하였다. 첫째, 스프린터와 스케이터를 이용한 고유수용성촉진법 패턴 운동은 뇌졸중 반신마비 환자의 균형 능력을 유의하게 개선시켰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으로 인한 반신마비 환자에게 스프린터와 스케이터를 이용한 고유수용성촉진법 패턴 운동이 균형 및 보행 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 것이다.
  • 하지만 두 그룹간 사후 수치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던 반면, 변화 및 개선된 수치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비록 두 그룹간의 사전 운동기능이 동질하지만, 수치의 차이는 분명히 있기 때문에 운동의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차이값에 기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으로인해 운동기능의 장애가 동반되면 무엇을 초래하는가? 뇌졸중은 중추신경계인 뇌의 손상에 의하여 신경학적 결함이 나타나는 질환질환으로, 의식 및 지각 능력의 장애, 언어기능 장애, 감각과 운동기능의 장애가 동반된다. 이러한 장애는 신체의 비대칭적인 자세, 비정상적인 균형, 체중을 이동하는 능력의 결함 및 다양한 보행 능력의 결손을 초래한다.1 보행 및 균형 능력의 결손은 뇌졸중 환자의 이동제한 및 낙상과 같은 이차적 손상 유발의 주된 원인으로서, 두 기능의 회복은 뇌졸중 재활의 주된 목표로 간주되고 있다.
뇌졸중란 무엇인가? 뇌졸중은 중추신경계인 뇌의 손상에 의하여 신경학적 결함이 나타나는 질환질환으로, 의식 및 지각 능력의 장애, 언어기능 장애, 감각과 운동기능의 장애가 동반된다. 이러한 장애는 신체의 비대칭적인 자세, 비정상적인 균형, 체중을 이동하는 능력의 결함 및 다양한 보행 능력의 결손을 초래한다.
보행이란 무엇인가? 보행은 균형에 기인한 패턴 움직임으로서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몸을 움직이는 행동유형의 한 양식으로 인간이 삶을 영위하는데 가장 기본적인 방식이며, 일상생활동작과 기능적인 활동을 비롯해 삶의 질을 평가하는데 가장 기본적인 요소이다.3 보행은 디딤기 및 흔듦기의 보행주기로 구분되며, 디딤기에서 발뒤꿈치, 발바닥, 발끝으로 이어지는 진행과 정은 발뒤꿈치로부터 체중이 이동되면서 자연스럽게 발의 엎침이 발생하게 되어 지면과의 충격력을 흡수해 주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Carr JH, Shepherd RB, Nordholm L et al. Investigation of a new motor assessment scale for stroke patients. Phys Ther. 1985;65(2):175-80. 

  2. Belda-Lois JM, Mena-del Horno S, Bermejo-Bosch I et al. Rehabilitation of gait after stroke: a review towards a top-down approach. J Neuroeng Rehabil. 2011;8:66. 

  3. Perry J. Gait Analysis: Normal and Pathological Function. 2nd ed. Slack Incorporated, 2010:19-47. 

  4. Dedieu P, Zanone PG. Effects of gait pattern and arm swing on intergirdle coordination. Hum Mov Sci. 2012;31(3):660-71. 

  5. Zakaria Y, Usama Rashad U, Mohammed R. Assessment of malalignment if trunk and pelvis in stroke patients. Egypt J Neurol Psychiat Neurosurg. 2010;47(4):599-604. 

  6. Saltzman CL and Nawoczenski DA. Complexities of foot architecture as a base of support. J Orthop Sports Phys Ther. 1995;21(6):354-60. 

  7. Moseley A, Walws A, Herbert R et al. Observation and analysis of hemiplegic gait: stance phase. Aust physiother. 1993;39(4):259-67. 

  8. Pyoria O, Era P, Talvitie U. Relationships between standing balance and symmetry measurements in patients following recent strokes (3 weeks or less) or older strokes (6 months or more). Phys Ther. 2004;84(2):128-36. 

  9. Cho HY, In TS, Cho KH, Song CH. A single trial of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ENS) improves spasticity and balance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Tohoku J Exp Med. 2013;229(3):187-93. 

  10. Adler SS, Beckers D, buck M. PNF in practice: an illustrated guide. 3rd ed. Springer, 2007:1-4. 

  11. Munn J, Herbert RD, Gandevia SC. Contralateral effects of unilateral resistance training: a meta-analysis. J Appl Physiol. 2004;96(5):1861-6. 

  12. Choi YK, Nam CW, Lee JH et al. The Effects of Taping Prior to PNF Treatment on Lower Extremity Proprioception of Hemiplegic Patients. J Phys Ther Sci. 2013;25(9):1119-22. 

  13. Wicke J, Gainey K, Figueroa M. A comparison of selfadministered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to static stretching on range of motion and flexibility. J Strength Cond Res. 2014;28(1):168-72. 

  14. Dietz B, Kim T, Lang E et al. Let's sprint, let's skate. Innovationen im PNF-Konzept. 2009 ed. Springer, 2009:44-45. 

  15. Duncan PW, Weiner DK, Chandler J et al. Functional reach: a new clinical measure of balance. J Gerontol. 1990;45(6):M192-7. 

  16. Berg K, Wood-Dauphin S, Williams JI. The Balance Scale: reliability assessment with elderly residents and patients with an acute stroke. Scand J Rehabil Med. 1995;27(1):27-36. 

  17. Blum L, Korner-Bitensky N. Usefulness of the Berg Balance Scale in stroke rehabilitation: a systematic review. Phys Ther. 2008;88(5):559-66. 

  18. Podsiadlo D, Richardson S. The timed "Up & Go": a test of basic functional mobility for frail elderly persons. J Am Geriatr Soc. 1991;39(2):142-8. 

  19. Ng SS, Hui-Chan CW. The timed up & go test: its reliability and association with lower-limb impairments and locomotor capacities in people with chronic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2005;86(8):1641-7. 

  20. Ryan EE, Rossi MD, Lopez R. The effects of the contract-relaxantagonist- contract form of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stretching on postural stability. J Strength Cond. 2010;24(7):1888-94. 

  21. Klimkiewicz P, Kubsik A, Jankowska A et al. The effect of standard kinesiotherapy combined with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method and standard kinesiotherapy only on the functional state and muscle tone in patients after ischaemic stroke. Pol Merkur Lekarski. 2013;35(209):268-71. 

  22. Jung K, Kim Y, Chung Y et al. Weight-shift training improves trunk control, proprioception, and balance in patients with chronic hemiparetic stroke. Tohoku J Exp Med. 2014;232(3):195-9. 

  23. Lord SR, Clark RD, Webster IW. Physiological factors associated with falls in an elderly population. J Am Geriatr Soc. 1991;39(12):1194-200. 

  24. Janwantanakul P, Magarey ME, Jones MA et al. Variation in shoulder position sense at mid and extreme range of motion. Arch Phys Med Rehabil. 2001;82(6):840-4. 

  25. Akosile C, Adegoke B, Johnson O et al. Effects of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technique on the functional ambulation of stroke survivors. J Nige Soc Physio. 2011;18&19:22-7. 

  26. Kumar S, Kumar A, Kaur J. Effect of PNF technique on gait parameters and functional mobility in hemiparetic patients. J Exer Sci Physio. 2012;8(2):67-73. 

  27. Balaban B, Tok F. Gait disturbances in patients with stroke. PMR. 2014:1-8. 

  28. Ribeiro T, Britto H, Oliveira D et al. Effects of treadmill training with partial body weight support and the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method on hemiparetic gait: a randomized controlled study. Eur J Phys Rehabil Med. 2013;49(4):451-6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