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차 양상과 부정 정서에서의 정서 불일치 효과에 따른 기억의 차이
Effect of Emotional Incongruence in Negative Emotional Valence & Cross-modality 원문보기

감성과학 =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v.17 no.3, 2014년, pp.107 - 116  

김소연 (연세대학교 대학원 인지과학 협동 과정) ,  한광희 (연세대학교 문과대학 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정서를 두 양상(청각, 시각)으로 제시할 시, 두 양상의 정서가 일치 혹은 불일치 할 경우 각성과 재인 기억, 회상 기억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첫 번째 가설은 교차 양상에서의 정서 불일치는 일치 할 때 보다 각성 뿐만 아니라 재인, 회상 기억 모두 높을 것이라는 것이다. 두 번째 가설은 각성이 회상 기억과 재인 기억을 modulate한다는 것이다. 가설을 증명하기 위해 시각과 청각의 정서를 긍정 정서와 부정 정서로 조작하여 일치 조건과 불일치 조건으로 조작하였다. 각 조건에서는 재인 기억과제와 회상 기억 과제의 정확도를 종속 변인으로 측정하였으며, PAD(Pleasure-arousal-dominance) 척도를 이용하여 참가자의 각성 수준을 측정하였다. 또한 8일이 지난 후, 참가자 모두에게 실험 자극으로 쓰인 영상에 대해 재인 기억 과제를 통해 다시 검사하였다. 연구 결과, 각성의 경우 영상을 본 후의 각성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지만(p<.001), 일치와 불일치 조건 간의 각성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정서가 일치하는 조건과 불일치하는 조건에서 재인 기억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지만, 영상 정서의 주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로 인해 두 가지 정서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부정 정서 영상에 노출된 조건에서만 일치 조건과 불일치 조건에서의 재인 기억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 .044). 사후 분석 결과, 불일치 조건에서 일치 조건 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다. 회상 기억의 경우, 영상 정서조건과 일치, 불일치 조건 간의 상호작용이 나타났다(p=.039).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정 정서에서의 불일치 효과는 증명하였지만, 각성으로 인한 효과는 증명하지 못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current study, it is suggested that when two emotions are presented through cross-modality, such as auditory and visual, incongruence will influence arousal, recognition, and recall of subjects. The first hypothesis is that incongruent cross-modality does not only increase arousal more than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Lang(2000) 에 따르면 재인(Recognition) 기억을 통해 정보의 입력단계가 성공적으로 일어났는지를 알아볼 수 있으며, 자유회상(Free-recall)을 통해서는 저장된 정보의 인출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는지 알아보기 위한 지표라고 한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재인기억과 회상기억을 모두 측정하여 교차 양상에서의 정서 불일치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재인 기억에서는 선다형 문항을, 회상 기억에서는 기억나는 모든 것을 적게 하는 자유 회상 측정치를 사용하였다.
  •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평소 미디어를 접하는 상황과 비슷하도록 영화의 한 부분을 발췌하여 음악과 함께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두 양상인 시각과 청각을 통해 정서가 일치하는 조건과 불일치하는 조건으로 나누어 각성 수준이 달라지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재인 기억과 회상 기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두 양상인 시각과 청각을 통해 정서가 일치하는 조건과 불일치하는 조건으로 나누어 각성 수준이 달라지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재인 기억과 회상 기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 본 연구는 영상과 음악의 정서 일치 조건과 불일치 조건에 따라 각성이 달라지고, 달라진 각성으로 인해 재인 기억과 회상 기억에 차이가 난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영상과 음악의 정서가 일치, 불일치가 되도록 조작하여 조건 간 각성의 차이를 유도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교차 양상에서의 정서 일치와 불일치로 인한 지각 차이가 각성과 기억력에도 영향을 미치는지와 정서의 유인가와 각성의 상호 작용 역할이 기억력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재인 기억에 대한 천장 효과를 줄이기 위해 주의를 통제하였다. 이를 위해, 일차 과제는 영상 속에 나타나는 문자(T)에 관하여 검은 색 T가 나올 때는 2번 키를, 흰 색 T가 나올 때는 3번 키를 누르게 하였다.

가설 설정

  • 1) 정서 불일치 조건에서의 각성은 일치 조건일 때보다 높을 것이다.
  • 2) 정서 불일치 조건에서의 재인 기억은 일치 조건에서의 재인 기억 보다 높을 것이다.
  • 3) 정서 불일치 조건에서의 회상 기억은 일치 조건에서의 회상 기억 보다 높을 것이다.
  • 4) 정서 불일치 조건에서의 8 일 후의 재인 기억은 일치 조건에서의 재인 기억 보다 적게 사라질 것이다.
  • 5) 정서 불일치 조건에서의 8 일 후의 회상 기억은 일치 조건에서의 회상 기억 보다 적게 사라질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서적인 사건들은 사건에 대한 기억을 어떻게 만드는가? 심리학에서 정서적 사건에서의 기억이 중성적 사건에서의 기억 보다 높다는 것은 많은 연구들에서 증명이 된 현상이다(Davidson & Vanegas, 2014; Levine & Edelstein, 2009; Levine & Pizarro, 2004; Reisberg & Heuer, 2004). 정서적인 사건들은 사건에 대한 기억을 생생하고 선명하게 만들고 기억하게 되는 확률을 증가 시킨다고 한다(Kensinger & Schacter, 2008).
각성 수준이 높다는 것은 무엇을 뜻하는가? 또한 Sharot과 Phelps(2004)의 연구에서는 각성 수준이 높은 단어를 외우게 한 경우, 중립단어를 외우게 한 경우보다 기억을 잊는, 망각하는 시간이 늦춰 졌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러한 결과들이 나온 이유는 각성 수준이 높다는 것 자체가 진화 심리학적으로 생존의 중요성과 연관이 되는 정서적인 정보 처리가 강화된다는 뜻이기 때문이다(Spreckelmeyer, Kuta, Urbach, Altenülle, &Münte, 2005).
정서의 일치 조건과 불일치 조건의 차이점은 각각 어떠한가? 그의 주장에 따르면, 정서의 일치 조건과 불일치 조건에 따라 정보를 부호화(encoding)하는 전략과 기억을 위한 전략이 달라진다는 것이다. 정서의 일치조건의 경우, 청각 정보에서의 주의가 시각적 정보로 바로 도달하여 영상의 부호화가 보다 정교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두 양상의 정보가 통합적으로 저장, 표상되어 회상 기억이 더 높다는 것이다. 반면, 불일치 조건의 경우 주의가 독립적으로 도달하여 영상의 부호화가 독립적으로 이루어져 정보의 저장, 표상도 통합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정보의 인출이 낮다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Bae, E. Y. (2009). The Effect of Type of Harmony and Tempo on Emtional Response Evaluation (화음의 종류와 템포의 변화가 정서반응 평가에 미치는 영향), Unpublished master's degree dissertation, Sookmyung Woman's Graduate School of Music Therapy, Seoul. 

  2. Bolivar, V. J., Cohen, A. J., & Fentress, J. C. (1994). Semantic and formal congruency in music and motion pictures: Effects on the interpretation of visual action. Psychomusicology, 13, 28-59. 

  3. Boltz, M. G., Schulkind, M., & Kantra, S. (1991). Effects of background music on the remembering of filmed events. Memory & Cognition, 19, 593-606. 

  4. Boltz, M. G. (2004). The cognitive processing of film and musical soundtracks. Memory& Cognition, 32(7), 1194-1205. 

  5. Bordwell, D. & Thompson, K. (1979). Film art: An introduction.reading, MA: Addison-Wesley. 

  6. Bower, G. H. (2001). Mood and social memory. In J. P. Forgas (Ed.), Handbook of affect and social cognition. Mahwah: Erlbaum, 95-120. 

  7. Cohen, A. J. (2001). Music as a source of emotion in film. In P. N. Juslin & J. A. Sloboda (Eds.), Music and emotion: Theory and research.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49-272. 

  8. Davidson, D. & Vanegas, S. B. (2014). The role of emotion on the recall of central and peripheral information from script-based text. Cognition & Emotion, http://dx.doi.org/10.1080/02699931.2014. 896319 

  9. Eich, E. Kihlstrom, J. F., Bower, G. H., Forgas, J. P., & Niedenthal, P. M. (2000). Cognition and emotion.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10. E.Ronald de Kloet. (1995). Steroids, stability and stress. Frontiers in Neuroendocrinology, 16, 416-425. 

  11. Forgas, J. P. & Bower, G. H. (1987). Mood effects on person--perception judgments. Journal of Personality & Social Psychology, 53, 53-60. 

  12. Giannetti, L. D. (1982). Understanding movies (3rd ed.). Englewood Cliffs: Prentice-Hall. 

  13. Greene, C. M., Bahri, P., & Soto, D. (2010). Interplay between Affect and Arousal in Recognition Memory. Plos One, 5(7), e11739. 

  14. Gold, P. E., Van Buskirk, R. B., & McGaugh, J.L. (1975). Effects of hormones on time dependent memory storage processes. Progress in Brain Research, 42, 210-211. 

  15. Hevner, K.(1935). The affective character of the major and minor modes in music. American Journal of Psychology, 47, 186-204. 

  16. Jefferies, L. N., Smilek, D., Eich, E.,& Enns, J.T. (2008). Emotional Valence and Arousal Interact in Attentional Control. Psychological science, 19(3), 290-295. 

  17. Kensinger, E. A. & Schacter, D. L. (2008). Memory and emotion. In M. Lewis, J. M. Haviland-Jones, & L. Feldman Barrett (Eds.), Handbook of emotions. New York: The Guildford Press, 601-.617. 

  18. Kim, S. G. & Yi, H. U. (2009). The Effects of the Mood Valence and Arousal Level of TV Programs on Ad Cognitive Response: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Affect Intensity (TV 프로그램의 무드 극성과 각성 수준이 광고 인지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 Korean Strategic Marketing Association, 17(1), 1-30. 

  19. Ko, H. E. (2004). Study on role of Modern music in Movie (영화 속 현대음악의 역할 가능성 연구), Unpublished master's degree dissertation, Chung-Ang Graduate school of art, Seoul. 

  20. Kring, A. M. & Neale, J. M. (1996). Do schizophrenic patients show a disjunctive relationship among expressive, experiential, and psychological components of emotion?.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5, 249-257. 

  21. Lang, A. (2000). The limited capacity model of mediated message processing. Journal of Communication, 50, 46-70. 

  22. Lee, S. J. (2001). Study of Musical Emotional Response Focused on Major key and Minor key (장조와 단조를 중심으로 한 음악적 정서 반응에 관한 연구), Unpublished master's degree dissertation, Ewh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oul. 

  23. Levine, L. J. & Edelstein, R. S. (2009). Emotion and memory narrowing: A review and goal-relevance approach. Cognition and Emotion, 23, 833-875. 

  24. Levine, L. J. & Pizarro, D. A. (2004). Emotion and memory research: A grumpy overview. Social Cognition, 22, 530-554. 

  25. Lim, S. H. (2009). Fact versus Fiction: The Effect of Perceived Realism on the Viewer's Psychological Responses (영상 콘텐츠의 사실성과 유인가가 수용자의 심리적 반응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Korean Association for Broadcasting & Telecommunication Studies, 23(5), 339-379. 

  26. Lupien, S. J. & McEwen, B.S. (1997). The acute effects of corticosteroids on cognition: integration of animal and human model studies. Brain Research Reviews, 24, 1-27. 

  27. Marshall, S. & Cohen, A. J. (1988). Effects of musical soundtracks on attitudes toward animated geometric figures. Music Perception, 6, 95-112. 

  28. Mehrabian, A. & Russell, J.A. (1974). An Approach to Environmental Psychology, Massachusetts: MIT Press. 

  29. Murdock, B. B. (1960). The distinctiveness of stimuli. Psychological Review, 67, 16-31. 

  30. Neath, I., Brown, G. D. A., McCormack, T., Chater, N., & Freeman, R. (2006). Distinctiveness models of memory and absolute identification: Evidence for local, not global, effect. The Quarterly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59, 121-135. 

  31. Quevedoa, J., Anna, M. K. S., Madruga, M., Lovato, I., De-Paris, F., Kapczinski, F., Izquierdo, I., & Cahill, L. (2003). Differential effects of emotional arousal in short- and long-term memory in healthy adults. Neurobiology of Learning and Memory, 79, 132-135. 

  32. Reisberg, D. & Heuer, P. (2004). Memory for emotional events. In D. Reisberg & P. Hertel (Eds.), Memory and emo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3-41. 

  33. Schiffenbauer, A. I. (1974). Effect of observer''s emotional state on judgments of emotional state of others. Journal of Personality & Social Psychology, 30, 31-35. 

  34. Sharot, T. & Phelps. E. A. (2004). How arousal modulates memory: Disentangling the effects of attention and retention. Cognitive, Affective, & Behavioral Neuroscience, 4(3), 294-306. 

  35. Spreckelmeyer, K. N., Kutas, M., Urbach T. P., Altenuller, E., &Munte, T.F. (2005). Combined perception of emotion in pictures and musical sounds. Brain research, 1070(2006), 160-170. 

  36. Teasdale, J. D. & Fogarty, S. J. (1979). Differential effects of induced mood on retrieval of pleasant and unpleasant events from episodic memory.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88, 248-257. 

  37. Von Restorff, H. (1933). Analyse von Vorgangen im Spurenfeld. I. Uber die Wirkung von Bereichsbildungen im Spurenfeld (Analysis of processes in the memory trace. I. On the effect of group formations on the memory trace). Psychologische Forschung, 18, 299-342. 

  38. Woloszy, M. R. & Ewert, R. (2012). Memory for facial expression is influenced by the background music playing during study. Advances in Cognitive Psychology, 8(3), 226-23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