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색보리 분말을 첨가한 식빵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Pan Bread Added with Color Barley Powder 원문보기

한국조리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v.20 no.4, 2014년, pp.127 - 143  

정현철 (영동대학교 호텔외식조리학과) ,  유승석 (세종대학교 조리외식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물질이 함유된 유색보리와 유색보리 분말을 첨가한 식빵 반죽 및 식빵을 제조하여 이화학적, 관능적 특성을 첨가량을 달리하여 측정하였다. 유색보리 분말의 수분함량은 9.35%, 조단백은 9.37%, 조지방은 1.64%, 조회분은 2.96%로 나타났다. 수용성 식이섬유 함량은 3.21 g/100 g, 불용성 식이섬유 함량은 4.91 g/100 g, 총 식이섬유 함량은 8.12 g/100 g으로 나타났고, ${\beta}$-glucan 함량은 49.31 mg/g으로 나타났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56.76%로 나타났고, 총 페놀 함량은 234.34 mg/100g으로 나타났다. 유색보리 분말을 첨가한 식빵 반죽의 farinograph 측정 결과 consistency, water absorption, development time, time breakdown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tolerance index는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Alveogram 측정 결과 overpressure P값, extensibility L값, swelling index G값, deformation energy W값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Amylograph 측정 결과 pasting temp. T값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peak viscosity P값, hot past viscosity H값, breakdown P-H값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유색보리 분말을 첨가한 식빵의 굽기 손실률, 비용적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색도 L값, b값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a값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유색보리 분말 첨가한 식빵의 texture 경도, 점착성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응집성, 탄력성, 씹힘성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기호도는 맛, 부드러움, 씹힘성은 10% 첨가군이 높게 나타났고, 전반적인 기호도도 10% 첨가군이 5.0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color barley powder substituted for wheat flour in bread recipes with the amounts of 0%, 5%, 10%, 15% and 20%. Color barley powder consisted of 9.35% of moisture content, 9.37% of crude protein, 1.64% of crude fat and 2.96% of crude ash. Water soluble dietary fiber is 3.21,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심장질환과 성인병을 예방하고 면역력 증강, 항산화 효과 등에 뛰어난 유색보리의 수요를 증진하고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하여 유색보리 분말의 이화학적 특성, 반죽 물성 및 식빵을 제조하고 실험을 분석하여 유색보리 분말을 첨가한 식빵의 최적의 배합비를 찾고, 유색보리를 이용한 기능성 식빵 상품을 개발하여 유색보리 수요증진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리는 껍질 유무에 따라 어떻게 나뉘는가? 보리(barley, Hordeum vulgare L.)는 외떡잎식물 벼목 화본과에 속하며 과피, 종피, 배유와 배아로 되어 있으며 보리알이 배열된 열 수에 따라 2조맥과 6조맥으로 분류하고 껍질 유무에 따라 겉보리와 쌀보리로 나뉜다(석문호 2010). 보리는 쌀 다음으로 우리 식생활에서 중요한 기본 식량으로 단백질, 칼슘 및 식이섬유 등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고, 보리쌀, 압맥, 할맥의 형태로 혼반용으로 소비되고 있다(Park SM et al 2011).
유색보리가 다른 보리에 비해 더 많이 갖고 있는 폴리페놀의 특징은 무엇인가? 안토시아닌 색소는 식물체에서 적색, 자색 및 청색을 내는 수용성 색소로 항산화 기능과 심혈관계 질환, 암, 당뇨병과 같은 질병 예방에도 효과가 있다(Konczak I & Zhang W 2004). 폴리페놀은 인체 내에서 항산화제로 작용함으로서 질병의 예방과 회복에 도움을 주고(Kumar A et al 2006) 항암, 항고혈압, 항염증, 항당뇨 등의 생리적 효능이 있다(Nozaki K 1986).
안토시아닌 색소는 무엇인가? 또한 유색보리는 다른 보리에 비해 안토시아닌 색소,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아 항산화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알려졌다(Park SM et al 2011). 안토시아닌 색소는 식물체에서 적색, 자색 및 청색을 내는 수용성 색소로 항산화 기능과 심혈관계 질환, 암, 당뇨병과 같은 질병 예방에도 효과가 있다(Konczak I & Zhang W 2004). 폴리페놀은 인체 내에서 항산화제로 작용함으로서 질병의 예방과 회복에 도움을 주고(Kumar A et al 2006) 항암, 항고혈압, 항염증, 항당뇨 등의 생리적 효능이 있다(Nozaki K 198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2)

  1. 김성곤, 조남지, 김영호 (1999) 제과제빵과학. 비앤씨월드, 서울. pp 87-94. 

  2. 석문호 (2010) 보리의 식품학적 특성. 한국식품연구원, 서울. pp 303. 

  3. 송재철 (1995) 식품물성학. 울산대학교 출판부, 울산. pp 1301-1306. 

  4. AACC (2000) Approved method of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 10th. ed., Association. St. Paul. MN USA. 

  5.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USA. 

  6. Baik BK, Park EY (2010) Implication of phenolic compounds and polyphenol oxidase to barley food discoloration. Food Science and Industry. 43(3): 48-54. 

  7.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8. Bollain C, Collar C (2004) Dough viscoelastic response of hydrocolloid/enzyme/surfactant blends assessed by uni-and bi-axial extension measurements. Food hydrocolloids 18: 499-507. 

  9. Choi JS, Park SJ, Joung YM, Kim JG, Won MH, Kang MH (2006)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reeding lines of colored Barleys. Korean J Crop Sci 51: 125-132. 

  10. Choi SN, Kim HJ, Chung NY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added with paprika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8(6): 839-846. 

  11. Folin O, Denis W (1915) A colorimetric method for determination of phenols(phenol derivatives) in urin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2: 305-308. 

  12. Han GS, hwang SY, Rho SJ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bread with arrowroot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3(6):778-788. 

  13. Hwang ES, Lee YJ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yanggaeng with aronia ju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8): 1220-1226. 

  14. Hwang SH (2011) Analytical comparison of antioxidative properties of hullness barley grown from different regions in Korea. M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pp 50-52. 

  15. Ju HW, An HL, Lee KS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added with black garlic powder. Korean J Culinary Research 16(4): 260-273. 

  16. Ju WT, Min KS, Park RD (2003) Characteristics of pigments extracted from grains colored barley.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6(4): 338-343. 

  17. Kalra S, Jood S (2000) Effect of dietary barley ${\beta}$ -glucan on cholesterol and lipoprotein fractions in rats. J Cereal Sci 31: 141-145. 

  18. Kim JK, Kim YH, Oh JC, Yu HH (2012) Optimization of white pan bread preparation via addition of purple barley flour and olive oil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12): 1813-1822. 

  19. Kim JK, Kim YH, Oh JC, Yu HH (2013) Optimization of white pan bread preparation by addition of black barley flour and olive using reponse surface methodology. Korean J Food Sci Technol 45(2): 180-190. 

  20. Kim KH, Hwang HR, Yun MH, Jo JE, Kim MS, Yook HS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und cakes prepared with flowering cherry fruit powder during stor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7): 926-934. 

  21. Kim MJ, Park JC, Hyun JN, Kim JT, Kim SL (2012) Malting and brewing quality of colored barley. Korean J Crop Sci 57(1): 16-21. 

  22. Kim MK, Paek JE (1997) Effects of dietary fibers in rice and barley on lipid and Cadmium Metabolism in the Rat. Korean Journal of Nutrition 30(3): 252-265. 

  23. Kim SK (1979) Physicochemical studies on the hard and soft wheats flours. Korean J Food Sci Technol 11(1): 13-17. 

  24. Kim SK, Cheigh HS, Kwon TW, Marston PE (1978) Rheological and baking studies of composite flour Wheat and Naked Barley. Korean J Food Sci Technol 10(1): 247-251. 

  25. Kim WM, Lee YS (2011)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loaf bread added with waxy black rice flour by storage peroid. Korean J Culinary Research 17(1): 248-258. 

  26. Kim YE, Paik HD, Kim SY, Lee JH, Lee SK (2011) Effects of liquid broth cultured with red koji on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white pan bread dough. Korean J Sci Technol 43(2):235-239. 

  27. Ko SH, Seo EO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 containing purple colored sweetpotato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2):272-278. 

  28. Konczak I, Zhang W (2004) Anthocynins-more than natures colors. J Biomed Biotechnol 5: 239-240. 

  29. Kumar A, Pant P, Basu S, Rao G, Khanna HD (2006) Oxidative stress in neonatal hyperbilirubinemia. Journal of Tropical Pediatrics 53(2): 95-102. 

  30. Lee CH, Kim JJ, Kwon J, Youn Y, Kim YS (2013) Instant gruel from colored barley and oats for improving diabetic condit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6): 885-891. 

  31. Lee JH, Kwak EJ, Kim JS, Lee YS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added with mesangi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3(1): 83-89. 

  32. Lee JY, Lee KA, Kwak EJ (2009)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bread added with pleurotus eryngii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6): 757-765. 

  33. Lee MH, Byun JB, Kim SK, Choi YS (2012) The Physicochemical and quality properties of the bread added with soy fiber powder. Korean J Culinary Research 18(1): 1-14. 

  34. Lee SJ, Paik JE, Han MR (2008) Effect of xylitol on bread properties. Korean J Food & Nutr 21(1): 56-63. 

  35. Lee WJ (1992) Changes in dietary fiber content of barley during pearling and cook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24(2): 180-182. 

  36. Lee YT (1996) ${\beta}$ -glucans in Barley and Oat and their changes in solubility by processing. Agricultural Chemistry and Biotechnology 39(6):482-487. 

  37. Lee YT (2001) Dietary fiber compositon and viscosity of extracts from domestic Barley, Wheat, Oat, and Rye. Korean J Food & Nutr 14(3): 233-238. 

  38. Lee YT, Chang HG (2003) Effects of waxy and normal hullless barley flour on bread-making properti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918-923. 

  39. Lim JK, Park IK, Kim YH, Kim SD (2003) Effect of pigmented rice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guett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3(2): 130-135. 

  40. Mo EK, Kim SM, Jegal SA, Choi YS, Song CS, An SL, Lee MH, Sung CK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dinner roll added with lyophilized sweet potato powder powder and its effect on the blood glucose level. Korean J Food Sci Technol 45(1): 40-46. 

  41. Nozaki K (1986) Current aspect and future condition of phytogenic antioxidants. Fragrance J 6: 99-106. 

  42. Onyango C, Mutungi C, Unbehend G, Lindhauer MG (2011) Modification of gluten-free sorghum batter and bread using maize, potato, cassava or rice strach. LWT-Food Sci Technol 44: 681-686. 

  43. Park SM, Choi YM, Kim HM, Jeong HS, Lee JS (2011) Antioxidant content and activity in methanolic extracts from colored barley.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043-1047. 

  44. Park TS, Lee SY, Kim HJ, Kim KT, Kim YJ, Jeong IH, Do WN, Lee HJ (2009) Extracts of adlay, barley and rice bran have antioxodant activity and modulate fattty acid metabolism in Adipocytes. Korean J Food & Nutr 22(3):456-462. 

  45. Rasper VF (1992) Dough rheology and physical testing of dough. Advances in baking technology, USA. pp 107-110. 

  46. SAS (1998) SAS user's guide. Version 6.03, SAS Institute. Cary, NC. USA. 

  47. Song ES, Park SJ, Woo NRA, Won MH, Choi JS, Kim JG, Kang MH (2005) Antioxidant capacity of colored barley extracts by variet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10): 1491-1497. 

  48. Suh KH, Kim KH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added with helianthus tuberosus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4(1):126-135. 

  49. Sung JE, Lee YT, Seog HM, Kim YS, Ko YS (1999) Characteristics of ${\beta}$ -glucan gums from normal and Waxy Hull-less barleys. Korean J Food Sci Technol 31(3): 644-650. 

  50. Tong Q, Zhang X, Wu F, Tong J, Zhang P, Zhang J (2010) Effect of honey powder on dough rheology and bread quality. Food Res Int 43: 2284-2288. 

  51. Yook HS, Kim YH, Ahn HJ, Kim DH (2000) Rheological properties of wheat flour dough and qualities of bread prepared with dietary fiber purified from ascidian tunic.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387-395. 

  52. Yoon SB, Hwang SY, Chun DS, Kong SK, Kang KO (2007). An investig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with ginseng powder. Korean J Food Nutr 20(1): 20-2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