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상 실습과제 방법에 따른 간호학생의 셀프리더십, 팀효능감, 문제해결과정 및 과제만족도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n Self-leadership, Team Efficacy, Problem Solving Process and Task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in Response to Clinical Training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20 no.4, 2014년, pp.482 - 490  

김정효 (조선간호대학) ,  박미경 (남부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research compares self-leadership, team efficacy, problem solving processes and task satisfaction in response to teaching methods applied to nursing students, and determines whether variations exist. Method: This research experiments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of a nonequivalent gr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임상 실습 간호학생에게 적용한 문제해결과제 방법에 따라 셀프리더십과 팀 효능감, 문제해결과정 및 과제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임상 실습 간호학생에게 적용한 문제해결과제의 방법에 따라 셀프리더십과 팀 효능감, 문제해결과정 및 과제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고자 하였으며, 비동등성 집단 전․후 유사실험연구로 진행되었다. 문제해결과제 유형은 액션 러닝 방법과 간호과정 방법이었다.
  • 본 연구는 임상 실습을 하는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실습과 제의 방법에 따라 셀프리더십과 팀 효능감, 문제해결과정 및 과제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고자 실시된 비동등성 전․후 설계를 이용한 유사실험연구이다.
  • 본 연구는 임상 실습하는 간호학생에게 적용한 실습과제 방법에 따라 셀프리더십과 팀 효능감, 문제해결과정 및 과제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고자 실시하였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 실습과제 방법으로 일반적으로 적용되어 온간호과정 방법과 액션러닝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두 방법을 실습 전과 후에 비교한 결과에서 액션러닝 방법에 대한 효과가 입증되었다는 것에 연구의 의의를 두며, 임상 실습교육에서 과제 방법을 비교한 연구가 없어서 본 연구에서 측정한 변수에 대한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여성건강간호학실습 지도를 할 때 액션러닝이라는 새로운 과제 방법을 도입하여 간호과정 과제 방법과 함께 두 방법을 적용하였고 과제 방법에 따라 셀프리더십과 팀 효능감, 문제해결과정 및 과제 만족도 점수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1) 전혀 발휘하지 않았다 2) 거의 발휘하지 않았다 3) 약간 발휘하였다 4) 많이 발휘하였다 중 한 개에 답하도록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팀 수행의 예측요인인 팀 효능감은 무엇에 영향을 미치는가? Bandura (1997)는 팀 효능감을 팀 수행의 예측요인으로 보고하였다. 팀 효능감은 집단 효능감보다좀 더 규모가 작고, 보다 명확한 과제를 수행하는 소규모 집단에 적용되며, 팀에서 자신이 무슨 일을 할지를 선택하고 얼마만큼의 노력을 투입할 것인지를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치므로 팀 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간호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셀프리더십이 높은 사람의 특징은? 셀프리더십은 개인 스스로가 끊임없이 환경 변화에 적응하고 상황에 직면할 수 있도록 자신을 조절하고 리드할수 있게 한다(Neck, Stewart, Manz, 1995). 셀프리더십이 높은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성향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스스로 인식하므로, 과업을 할 때 혁신적 이고 창의적인 수행결과를 이끌어내며(Diliello & Houghton, 2006), 독립성, 자율성과 책임감, 통제성 발달에 도움을 준다고(Kim, B. K.
셀프리더십은 어떤 영향을 끼치는가? 현대사회에서 리더십은 자신의 처한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처리해 나갈 수 있도록 동력의 원천이 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리더십이 변화하고 발전되면서 셀프리더십이 강조되고 있다. 셀프리더십은 개인 스스로가 끊임없이 환경 변화에 적응하고 상황에 직면할 수 있도록 자신을 조절하고 리드할수 있게 한다(Neck, Stewart, Manz, 1995). 셀프리더십이 높은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성향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스스로 인식하므로, 과업을 할 때 혁신적 이고 창의적인 수행결과를 이끌어내며(Diliello & Houghton, 2006), 독립성, 자율성과 책임감, 통제성 발달에 도움을 준다고(Kim, B.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2012). Key competencies and learning outcomes. Retrieved November 5, 2012, from http://www.kabon.or.kr/HyAdmin/upload/goodFile/120121105102905.pdf 

  2. Bandura, A. (1997). Self-efficacy :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Worth. 

  3. Bong, H. C., & Yoo, P. J. (2001). Core factor and basic structure of action learning. Korean Society of Training and Development, 11, 57-82. 

  4. Bong, H. C. (2012). Do action learning for success. Seoul: Hangseong B wave. 

  5. Cho, K. H. (2003). The Influence of self-leadership about job-satisfaction and outcome of nursing practi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Korea University, Seoul. 

  6. Cho, K. T. (2008). Relations with Sternberg's thinking styles, learning styles and problems solv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7. Choi, S. H., Kim, M. J., Kim, S. O., Kim, H. S., Nam, J. R., Moon, H., et al., (2013). Nursing Process. Seoul: Hyunmoon Publishing Company. 

  8. Diliello, T., & Houghton, J. D. (2006). Maximizing organizational leadership capacity for the future.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21(4), 319-337. 

  9. Jang, K. S., & Park, S. J. (2012). Effects of action learning approaches on learning outcomes in nursing management co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8(4), 442-451. 

  10. Jin, K. C. (1996). The relationship of the social organization of schools on teachers' efficacy and satisfaction.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34(1), 367-384. 

  11. Lee, S. J. (2009). The effects of action learning program on nurses's problem solving and communication skill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12. Lee, M. S., & Hahn, S. W. (2011). Effect of simulation-based practice on clinical performance and problem solving process for nursing students.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7(2), 226-234. 

  13. Lee, Y. M., Kim, T. J., Kim, J. I., Jang, S. P., & Hong, J. Y. (2006). The effects of task types and collaboration procedures on task performance and group efficacy in web-based situational learning environment.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37(3), 47-75. 

  14. Kang, I, A. (2003). Problem based learning. Seoul. Moonumsa publishing Company. 

  15. Kang, S. Y., & Kim, H. S. (2012). Creative ability factors Influencing nursing students' problem solving proces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3(3), 1122-1128. 

  16. Kim, B. K. (2012). The casual relationship among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elf-leadership,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areer motivation of undergraduat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University, Seoul. 

  17. Kim, K. H. (2012). Development of the design guidance plan of integrated design education for creativity improv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Education, Seoul. 

  18. Kim, Y. H., & Lee, Y. M. (2012). Relationship of learning motivati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problem solving process of nursing students after practice evaluation of fundamentals of nursing course using role pla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3(1), 147-155. 

  19. Kim, Y. M., & Kim, Y. K. (2010).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ction learning in clinical practice of nursing management.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0(6), 312-322. 

  20. Kim, J. H., & Park, M. K. (2012). Factors influencing the process of problem solving in nursing students during clinical practic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8(1), 34-42. 

  21. Kweon, H. S. (2014). Development and effects of nursing process simulation scenario.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22. Manz, C. C. (1983). The art of self-leadership : strategies for personal effectiveness in your life and work. Prentice-Hall, Englewood Cliffs, N. J. 

  23. Neck, C. P., Stewart, G. W., & Manz, C. C. (1995). Thought self-leadership as a framework for enhancing the performance of the performance appraisers. Journal of Applied Behavioral Science, 31(3), 278-302. 

  24. Oh, H, K., & Han, Y, I. (2012). Effects of nursing simulation-based education on problem solving process and self-efficacy of nursing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6(4), 245-254. 

  25. Park, J. M., Choi, D. S., Yang, D. M., Choi, K. J., Noe, H. J., Gim, H. J. (2011). Relationship of goal self-concordance to goal commitment: The mediating effect of self leadership. The Korean Journal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13(1), 117-138. 

  26. Riggs, M. L., & Knight, P. A. (1994). The impact of perceived group success-failure on motivational beliefs and model.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9(5), 755-766. 

  27. Seomun, G. A., Chang, S. O., Cho, K. H., Kim, I. A., & Lee, S. J. (2006). The relation between self-leadership and outcome of nursing practice.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2(1), 151-158. 

  28. Smith-stoner, M., & Molle, M. E. (2010).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implementation of cooperative learning. Journal Nursing Education, 49(6), 312-318. 

  29. Woo, O. H., & Park, J. H. (1999). The effects of PBL (Problem-Based Learning) on problem solving process by learner's metacognitive level.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15(3), 55-8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