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 기장, 수수를 이용한 식혜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ikhye (Korean Traditional Rice Beverage) Using Foxtail Millet, Proso Millet, and Sorghum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3 no.11, 2014년, pp.1785 - 1790  

정미선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고지연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송석보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이재생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정태욱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윤영호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오인석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우관식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잡곡을 이용한 식혜의 제조 적성을 확인하기 위해 조, 기장, 수수를 이용하여 식혜를 제조하고 제조된 식혜의 이화학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잡곡 원료의 일반성분은 멥쌀과 찹쌀에 비해 수분 함량은 적지만 회분과 조단백, 조지방 함량은 높았다. 원료곡의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동안메가 일품과 백옥찰보다 2배 이상 높았고, DPPH 및 ABTS radical 소거 활성 또한 동안메가 높게 나타났다. 잡곡별로 제조된 식혜의 pH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탁도는 대부분 0.5 이하의 값을 나타낸 반면 동안메는 1.07로 높게 나타났다. 당도는 찹쌀과 멥쌀에 비해 낮았으며 기장, 수수, 조 순으로 나타났다. 명도와 적색도는 동안메가 가장 높았고, 황색도는 노란색을 띠는 삼다메가 높은 수치를 보였다. 식혜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동안메와 삼다메 식혜가 각각 258 및 $241{\mu}g\;GAE/mL$로 높게 나타났으며,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동안메 식혜가 $54.30{\mu}g\;CE/mL$로 높았다. 식혜의 DPPH radical 소거 활성은 동안메가 16.85 mg TE/100 mL로 다른 잡곡류에 비해 2배 이상 높았으며, 백옥찰과 일품쌀에 대해서는 약 10~15배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ABTS radical 소거 활성은 동안메가 가장 뛰어났으며 삼다메가 그 뒤를 이었다. 따라서 잡곡 원료 간의 일반성분 함량차이는 크지 않았으며, 잡곡 원료와 잡곡 식혜에서 동안메로 제조한 식혜가 가장 항산화력 및 radical 소거능이 뛰어났음을 알 수 있었다. 더불어 잡곡으로 제조한 식혜의 관능평가에서는 삼다메가 일품과 백옥찰에 색과 향에 유사한 선호도를 나타내었기에 동안메를 중심으로 레시피를 보완하여 식혜로 개발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sensory qualities of Sikhye (Korean traditional rice beverage) prepared with foxtail millet, proso millet, and sorghum. The cultivated varieties were Setaria italica Beauv. cv. Samdamae (SDM) and Samdachal (SDC), Panicum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식혜의 열량 또는 단맛 제공의 제한된 식품영양학적 가치에 부가하여 전통음료인 식혜의 보급화, 고급화, 다양화 등을 위해 생리활성물질이 강화된 식혜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7). 따라서 웰빙 먹거리로써 다양한 영양성분과 생리활성성분을 공급할 수 있는 기능성을 가진 잡곡류를 이용하여 식혜를 제조함으로써 그에 따른 이화학적 품질 특성과 항산화력을 확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잡곡의 정의는 무엇인가? 잡곡의 정의는 넓은 의미에서 식량작물 중 쌀을 제외한 보리, 율무, 콩, 조, 기장, 수수, 옥수수 등을 말하고, 좁은 의미에서는 벼, 맥류, 두류를 제외한 곡류를 의미한다. 예전에는 쌀과 비교하여 열등 작물로서 여겨져 왔으나 비타민, 무기질 및 식이섬유 등의 기능성 성분 함량이 높고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건강을 유지시키는 보조식량으로서의 역할이 중요시되고 있다(3).
한의학적으로 식혜는 어떤 질환을 치료하는 음료인가? 식혜는 백미의 전분을 맥아 효소(β-아밀라제)로 당화시킨 당류(maltose)를 주성분으로 하기 때문에 독특한 풍미를 지니고 있다(1). 한의학적으로 성질이 달고 따뜻한 맥아로 만들어져 소화불량, 복부팽만, 식욕부진, 구토, 설사를 치료하는 정장작용의 효과가 높은 음료이다(2)
조의 효능은 무엇인가? 예전에는 쌀과 비교하여 열등 작물로서 여겨져 왔으나 비타민, 무기질 및 식이섬유 등의 기능성 성분 함량이 높고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건강을 유지시키는 보조식량으로서의 역할이 중요시되고 있다(3). 조는 배변을 쉽게 하여 변비를 예방하고 대장암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으며, 기장은 단백질, 지방질, 비타민 A 등이 풍부하고 떡을 만들면 소화율이 향상된다(4). 그리고 수수는 식이섬유, 폴리페놀 화합물 등의 기능성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5), 폴리페놀 화합물의 대부분은 플라보노이드로 알려져 있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Kim HH, Park GS, Jeon JR.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torage properties of sikhe prepared with extracts from Hovenia dulcis THUNB.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848-857. 

  2. Ahn DK. 1998. Illustrated book of Korean medicinal herbs. Kyohak Publishers Co., Ltd., Seoul, Korea. p 496-630. 

  3. Kim YS, Lee GC. 2006. A survey on the consumption and satisfaction degree of the cooked rice mixed with multi-grain in Seoul.Kyeonggi and Kangwon area. Korean J Food Culture 21: 661-669. 

  4. Ha YD, Lee SP. 2001. Characteristics of proteins in Italian millet, sorghum and common millet.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8: 187-192. 

  5. Chae KY, Hong JS.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with different amounts of waxy sorghum flour. Korean J Food Cookery Sci 22: 363-369. 

  6. Kim KO, Kim HS, Ryu HS. 2006. Effect of Sorghum bicolor L. Moench (sorghum, su-su) water extracts on mouse immune cell activation. J Korean Diet Assoc 12: 82-88. 

  7. Park SI. 2006. Application of green tea powder for sikhe preparation. Korean J Food & Nutr 19: 227-233. 

  8. Ryu BM, Kim JS, Kim MJ, Lee YS, Moon GS. 2008. Comparison of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ikhye made with $N^2$ -circulated low-temperature dry malt and commercial mal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311-315. 

  9. Chang HK. 2005. Effect of processing methods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Panax ginseng leaf tea. Korean J Food & Nutr 18: 63-71. 

  10. Dewanto V, Wu X, Liu RH. 2002. Processed sweet corn has higher antioxidant activity. J Agric Food Chem 50: 4959-4964. 

  11. Choi Y, Lee SM, Chun J, Lee HB, Lee J. 2006. Influence of heat treatment on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polyphenolic compounds of shiitake (Lentinus edodes) mushroom. Food Chem 99: 381-387. 

  12. Kim GO, Lee YC. 1993. Sensory test of food. Hakyeon Publisher, Seoul, Korea. p 179-182. 

  13. Kang YH, Park YK, Lee GD. 1996. The nitrite scavenging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phenolic compoun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232-239. 

  14. Kim MR, Seo JH, Heo OS, Oh SH, Lee KS. 2002. Physiochemical and sensory qualities of commercial Sikh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728-732. 

  15. Kim KJ, Woo KS, Lee JS, Chun A, Choi YH, Song J, Seo SJ, Kim SL, Jeong HS. 2008.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ikhye (Korean traditional rice beverage) with specialty rice variet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523-1528. 

  16. Nam SJ, Kim KO. 1989. Characteristics of Sikhye (Korean traditional drink) made with different amount of cooked rice and malt and with different sweeteners. Korean J Food Sci Technol 21: 197-202. 

  17. Kaur C, Kapoor HC. 2002.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 content of some Asian vegetables. Int J Food Sci Tech 37: 153-161. 

  18. Machowetz A, Poulsen HE, Gruendel S, Weimann A, Fito M, Marrugat J, de la Torre R, Salonen JT, Nyyssonen K, Mursu J, Nascetti S, Gaddi A, Kiesewetter H, Baumler H, Selmi H, Kaikkonen J, Zunft HJ, Covas MI, Koebnick C. 2007. Effect of olive oils on biomarkers of oxidative DNA stress in Northern and Southern Europeans. FASEB J 21: 45-5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