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의 장면에 후각정보를 가진 구체적인 대상이 있을 때, 그 향을 제시함으로써 실감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가정은 상식적이다. 그러나 영상의 장면에 구체적인 후각정보가 없을 때 후각정보를 활용하여 영상에 대한 실감과 정서적 몰입감을 증대시키는 것에 대한 부분에 대해서는 아직 알려진 사실이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영상 자체가 제공하는 후각정보가 없을 때 후각정보를 통해 실감과 몰입감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탐색해보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는 특정 향과 어울리는 색이 있다는 것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토대로 영상이나 이미지의 색에 어울리는 향을 제공하면 실감과 몰입감을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할 것이라고 기대하였다. 이를 위해 마흔여덟가지 다양한 향에 어울리는 색을 조사하여 그 중에 어울리는 색이 가장 명확한 다섯 가지 향을 선정하였고, 각 향에 어울리지 않는 색은 어울리는 색의 보색으로 결정하였다 (실험 1). 그 다음 선정된 향과 어울리는 색을 이미지나 영상에 입힌 조건 (색-향 일치조건), 어울리는 색의 보색을 입힌 조건 (색-향 불일치조건), 그리고 채도를 제거한 중립적 색을 입힌 조건 (색-향 중립조건)에 대해 이미지와 향의 매칭, 해당 향을 통한 실감증대, 해당 향을 통한 몰입감증대, 해당 향에 대한 선호도를 평가하게 하였다 (실험2; 3). 그 결과 색-향 일치조건의 매칭, 실감증대, 몰입감증대, 선호도 평가가 색-향 불일치와 중립 조건의 평가보다 높은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는 장면에 구체적인 후각정보가 없을 때는 색-향일치가 영상이나 이미지의 내용 같은 시각적 정보보다 실감과 몰입감 증대에 더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향후 다양한 연구가 더해져 후각정보를 통해 더 나은 실감과 몰입감을 경험하게 되길 기대한다.
영상의 장면에 후각정보를 가진 구체적인 대상이 있을 때, 그 향을 제시함으로써 실감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가정은 상식적이다. 그러나 영상의 장면에 구체적인 후각정보가 없을 때 후각정보를 활용하여 영상에 대한 실감과 정서적 몰입감을 증대시키는 것에 대한 부분에 대해서는 아직 알려진 사실이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영상 자체가 제공하는 후각정보가 없을 때 후각정보를 통해 실감과 몰입감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탐색해보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는 특정 향과 어울리는 색이 있다는 것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토대로 영상이나 이미지의 색에 어울리는 향을 제공하면 실감과 몰입감을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할 것이라고 기대하였다. 이를 위해 마흔여덟가지 다양한 향에 어울리는 색을 조사하여 그 중에 어울리는 색이 가장 명확한 다섯 가지 향을 선정하였고, 각 향에 어울리지 않는 색은 어울리는 색의 보색으로 결정하였다 (실험 1). 그 다음 선정된 향과 어울리는 색을 이미지나 영상에 입힌 조건 (색-향 일치조건), 어울리는 색의 보색을 입힌 조건 (색-향 불일치조건), 그리고 채도를 제거한 중립적 색을 입힌 조건 (색-향 중립조건)에 대해 이미지와 향의 매칭, 해당 향을 통한 실감증대, 해당 향을 통한 몰입감증대, 해당 향에 대한 선호도를 평가하게 하였다 (실험2; 3). 그 결과 색-향 일치조건의 매칭, 실감증대, 몰입감증대, 선호도 평가가 색-향 불일치와 중립 조건의 평가보다 높은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는 장면에 구체적인 후각정보가 없을 때는 색-향일치가 영상이나 이미지의 내용 같은 시각적 정보보다 실감과 몰입감 증대에 더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향후 다양한 연구가 더해져 후각정보를 통해 더 나은 실감과 몰입감을 경험하게 되길 기대한다.
It is common sense that providing specific odor can increase the video reality when video scene has an object having specific odor. However, people still do not know how to increase video reality and emotional immersion when there is no information on specific odor in the scene. So, present study ex...
It is common sense that providing specific odor can increase the video reality when video scene has an object having specific odor. However, people still do not know how to increase video reality and emotional immersion when there is no information on specific odor in the scene. So, present study explores how we improve video reality and immersion when the scene has no concrete odor information from some objects. Especially, this research focuses on diverse previous studies about matching between odor and color and then we expect providing odor can increase video reality if the odor is well-matched with the video's color. To do this, we collected 48 odors and investigated which color was well-matched with each odor. As a result, we get 5 odors which had clearly well-matched colors and decide ill-matched colors of those 5 odors as complementary colors of well-matched colors (Experiment 1). After that, we organize 3 conditions such as coloring image and video clip with well-matched color (color-odor match condition), coloring those with ill-matched color (color-odor mismatch condition), and coloring those with achromatic color by removing color saturation (color-odor neutral condition). Under each of these three conditions, image-odor matching, increment of reality with the odor, increment of immersion with the odor, and odor preference are asked (Experiment 2; 3).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cores of all 4 questions in color-odor match condition were higher than color-odor mismatch condition and neutral condition. These results mean that providing matching odor with the scene's color in video is very effective to increase video reality and immersion. We expect experiencing better reality and immersion with olfactory information by adding various future research.
It is common sense that providing specific odor can increase the video reality when video scene has an object having specific odor. However, people still do not know how to increase video reality and emotional immersion when there is no information on specific odor in the scene. So, present study explores how we improve video reality and immersion when the scene has no concrete odor information from some objects. Especially, this research focuses on diverse previous studies about matching between odor and color and then we expect providing odor can increase video reality if the odor is well-matched with the video's color. To do this, we collected 48 odors and investigated which color was well-matched with each odor. As a result, we get 5 odors which had clearly well-matched colors and decide ill-matched colors of those 5 odors as complementary colors of well-matched colors (Experiment 1). After that, we organize 3 conditions such as coloring image and video clip with well-matched color (color-odor match condition), coloring those with ill-matched color (color-odor mismatch condition), and coloring those with achromatic color by removing color saturation (color-odor neutral condition). Under each of these three conditions, image-odor matching, increment of reality with the odor, increment of immersion with the odor, and odor preference are asked (Experiment 2; 3).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cores of all 4 questions in color-odor match condition were higher than color-odor mismatch condition and neutral condition. These results mean that providing matching odor with the scene's color in video is very effective to increase video reality and immersion. We expect experiencing better reality and immersion with olfactory information by adding various future research.
그러나 현재까지 발전한 실감효과는 대부분 시각과 청각이라는 일부 감각에 초점을 맞추었고, 인간의 정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알려진 후각정보를 활용하지 않았다(Lee, Choi, Ahn, Li, & Kim, 2013a). 후각정보를 활용하는데 필요한 기술과 기초연구의 부족도 후각정보를 통한 감성서비스의 상용화를 지연시키고 있는 요인이 되고 있다(Lee, Li, Ahn, Choi, & Kim, 2013b).
다양한 후각감성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것은 어떤 의미인가?
그 이유는 영상에 후각정보를 가진 구체적인 대상이 없을 때 후각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면, 보다 다양한 후각감성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즉 영상에 냄새를 가진 구체적인 대상이 있을 때만 후각정보를 제공하는 단조로움에서 벗어나 영상의 분위기나 색채감에 어울리는 냄새를 제공함으로써 후각정보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실제로 (2013a, b)은 그림 1의 영상의 색채감이 후각적 감성과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지는 것 같다고 제안하였다.
IRI색도판은 무엇인가?
참가자들의 과제는 그림 2와 같이 준비한 향 상자에서 향을 꺼내어 경험한 후, 그림 3과 같은 IRI색도판을 보면서 표 1의 설문에 응답하는 것이었다. IRI색도판은 색상, 명도, 채도의 삼차원 색 공간을 색상과 색조(명도+채도)의 이차원으로 단순화시킨 것으로 색 탐색을 용이하게 하는 장점을 가진다 (Kim, 2008; 2013). IRI색도판의 색조는 11가지 단계가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명확하게 구분이 가능한 Vivid(V), Bright(B), Pale(P), Light(L), Deep(D)의 5가지만 선택적으로 사용하였다 (e.
참고문헌 (14)
Berlin, B. & Kay, P. Basic color terms: Their universality and evolution.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69.
Dematte, M. L., Sanabria, D., & Spence, C. Cross-modal associations between odors and colors. Chemical Senses, 31(6), 531-538, 2006.
Gilbert, A. N., Martin, R., & Kemp, S. E. Cross-modal correspondence between vision and olfaction: the color of smells.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ology, 109(3), 335-351, 1996.
Gottfried, J. A. & Dolan, R. J. The nose smells what the eye sees: crossmodal visual facilitation of human olfactory perception. Neuron, 39(2), 375-386, 2003.
Hamasaki, K., Nishiguchi, T., Okumura, R., Nakayama, Y., & Ando, A. A 22.2 multichannel sound system for ultrahigh-definition TV (UHDTV). SMPTE Motion Imaging Journal, 117(3), 40-49, 2008.
Kim, Y. J. Cross-Modal Associations between Colors and Fragrances for Commercial Perfume Design.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11(3), 427-439, 2008.
Kim, Y. J. Can eyes smell? cross-modal correspondences between color hue-tone and fragrance family. Color Research and Application, 38(2), 139-156, 2013.
Lee, G., Choi, J., Ahn, C., Li, H. O., & Kim, S. Video Classification Based on Viewer Acceptability of Olfactory Information and Suggestion for Reality Improvement.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16(2), 207-220, 2013a.
Lee, G., Li, H. O., Ahn, C., Choi, J., & Kim, S. User Perception of Olfactory Information for Video Reality and Video Classification. Journal of the HCI Society of Korea, 8(2), 9-19, 2013b.
Lee, G., Choi, J., Ahn, C., Li, H. O., & Kim, S. Suggestion of Similarity-Based Representative Odor for Video Reality.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17(1), 39-52, 2014.
Park, S. K., Jo, Y. J., Kim, D. W., & Park, G. M. A Study on Terrestrial UHDTV Broadcasting and Construction of Direct Reception Environment by DVB-T2.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18(4), 572-588, 2013.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