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응급실 간호사의 환자안전 위험요인에 대한 위험성 인식과 안전 간호활동
Perception of the Patient Safety Risk Factors and Safety Management by Nurses in Emergency Service, Hospitals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21 no.4, 2014년, pp.380 - 391  

윤정미 (부산대학교병원 응급실) ,  박형숙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wa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examine the patient safety risk factors and the level of safety management of nurses in emergency service, hospitals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factors. Method: Data for analysis were collected from 232 nurses in emergency serv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과는 달리, 실제로 간호사들이 어떤 요인을 가장 위험하다고 인식하는지 그 내용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이에 따른 안전 간호활동을 동시에 분석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의의에도 불구하고, 위험요인의 인식과 안전 간호활동 간의 관련성을 파악한 선행 연구가 부족하여 서로간의 연관성을 논의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의 환자 안전을 위협하는 위험요인의 위험성 인식과 환자안전을 위한 간호활동 수행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련성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응급실 간호사들은 환자안전을 위협하는 위험요인에 대해 위험하다고 인식하는 것보다 안전 간호활동을 더 잘 수행하고 있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응급실 간호사의 환자안전 위험요인에 대한 위험성의 인식수준과 안전을 위한 간호활동 수행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련성을 규명함으로써, 응급실 환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며,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목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의 설계는 응급실 간호사가 인식하는 환자 안전 위험요인에 대한 위험성의 인식수준과 환자안전을 위한 간호활동을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련성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자는 응급실 간호사의 환자 안전을 위협하는 위험요인의 인식정도와 안전을 위한 간호활동 수행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련성을 규명함으로써 응급실 환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연구한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자는 응급실 간호사의 환자안전을 위협하는 위험요인에 대한 위험성의 인식수준과 안전을 위한 간호활동을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련성을 규명하여 응급실 환자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건감시시스템의 분류체계는 어떻게 이루어져있는가? 환자안전과 관련된 위험요인의 분류는 호주의 사건감시시스템의 분류체계[3]가 있으며, 이는 환자 안전에 관련된 위험요인을 치료용 물질, 행동·수행·폭력·공격·보안 및 안전, 병원 감염, 상해 및 욕창, 임상과정과 절차, 물류·조직·기록 및 기반구조 기술, 치료기기·장비·서비스 및 기반구조, 전문가영역 및 기타 등의 9개 위험유형으로 나누고 있다.
응급실에서 환자안전이 위협받는 상황은 어떤것들이 있는가? 응급실은 혈액을 다루는 일이 많고[4], 고위험약물이나 응급약물의 사용이 빈번하여 수혈사고와 투약오류의 발생 위험이 높다. 폭력적인 환경[5]과 보호자의 부재상황, 간호사의 업무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환자는 위험상황에 놓이게 되며, 개방적인 공간에 많은 환자가 상주하므로 감염에 노출 되기 쉽고[6], 낙상과 억제대 사용 등으로 인한 상해 또한 환자안전을 위협하기도 한다.
국내에서 주로 제시되는 환자안전을 위한 간호활동에는 어떤것들이 있는가? 국내에서 주로 제시되는 환자안전을 위한 간호활동으로는 대상자 교육, 대상자 식별, 낙상예방, 감염관리, 투약오류 예방, 수혈사고 예방, 의사소통, 시설점검 및 소방관리 등이 있다[10]. 이러한 안전 간호활동이 전개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응급실은 여전히 안전사고 발생률이 높은 실정이고[11], 환자 안전이 매우 취약한 곳이므로 응급실 간호사들의 안전 위험요인에 대한 인식과 안전 간호활동을 권장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은 중요하며, 이를 위한 체계적이고 집중적인 연구가 매우 필요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Lee SI. Improve quality of care through the patient safety. Paper presented at: Hospital care policy in Spring 2012 Symposium; 2012 May 22;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eoul. 

  2. Wang LM, How CK, Yang MC, Su S, Chern CH. Evaluation of clinically significant adverse events in patients discharged from a tertiary-care emergency department in Taiwan. Emergency Medicine Journal. 2013;30(3):192-197. 

  3. Aspden P, Corrigan JM, Wolcott J, Erickson SM. Patient safety: Achieving a new standard for care.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2004. 

  4. Kim MH, Kim MH, Park JH. Characteristics and nursing activities of severe trauma patients regarding the main damaged body part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013;15(4):210-218. http://dx.doi.org/10.7586/jkbns.2013.15.4.210 

  5. Park EY. Predictors of violent behavior by patient or caregiver of patient in the emergency department [dissertation]. Busan: Dong-A University; 2013. 

  6. Al-Damouk M, Pudney E, Bleetman A. Hand hygiene and aseptic technique in the emergency department. Journal of Hospital Infection. 2004;56(2):137-141. 

  7. Elder NC, Brungs SM, Nagy M, Kudel I, Render ML. Nurses' perceptions of error communication and reporting in the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Patient Safety. 2008;4(3):162-168. 

  8. Fordyce J, Blank FS, Pekow P, Smithline HA, Ritter G, Gehlbach S, et al. Errors in a busy emergency department. Annals of Emergency Medicine. 2003;42(3):324-333. 

  9. Glancy GD, Chaimowitz G. The clinical use of risk assessment. Canadian Journal of Psychiatry. 2005;50(1):12-17. 

  10.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guideline [Internet].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2011 [cited 2013 December 20]. Available from: http://www.koiha.or.kr/home/data/legis/doList.act?boardtype 04. 

  11. Ahn KO, Jung JH, Eo EK, Cheon YJ, Jung, KY. Medical error reporting system in the emergency depart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2007;18(3):218-226. 

  12. Ahn SH. Analysis of risk factors for patient safety management.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2006;12(3):373-384. 

  13. Sklar DP, Crandall CS, Zola T, Cunningham R. Emergency physician perceptions of patient safety risks. Annals of Emergency Medicine. 2010;55(4):336-340. http://dx.doi.org/10.1016/j.annemergmed.2009.08.020 

  14. Scalise D. Patient safety in the ED: 14 common risk factors in the ED [Internet]. Chicago: Hospitals & Health Networks magazine; 2006 May [cited 2013 December 20]. Available from: http://www.hhnmag.com. 

  15. Kim MS. Perception and influencing factors for patient safety among emergency room nurses [master's thesis]. Ulsan: Ulsan University; 2012. 

  16. Lee JE. Perceptions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performance for safety management activity in emergency department nurses [master's thesis]. Busan: Dong-A University; 2013. 

  17. Shirley. 10 Best practices for patient safety [Internet]. San Diego: AMN Healthcare; 2010 March 18 [cited 2013 December 20]. Available from: http://www.nursezone.com/Nursing- News-Events/more-news/The-10-Best-Practices-for-Patient-Safety_33666. 

  18. Cho HJ.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Safety leadership and Safety management system perceived by nurses [master's thesis]. Busan: Pusan National University; 2013. 

  19. Park SJ. A study on hospital nurse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care activity [master's thesis]. Busan: Dong-A University; 2009. 

  20. United States Pharmacopeia. Top five medications involved in errors [Internet]. South Dakota: United States Pharmacopeia; 2004 [cited 2013 December 20]. Available from: http://www.usp.org. 

  21. Runciman WB, Roughead EE, Semple SJ, Adams RJ. Adverse drug events and medication errors in Australia. International Journal for Quality in Health Care. 2003;15(Suppl 1):i49-i59. 

  22. Schubert M, Glass TR, Clarke SP, Aiken LH, Schaffert-Witvliet B, Sloane DM, et al. Rationing of nursing care and its relationship to patient outcomes; The Swiss extension of the international hospital outcomes study. International Journal for Quality in Health Care. 2008;20(4):227-237. http://dx.doi. org/10.1093/intqhc/mzn017 

  23. Kettles AM, Moir E, Woods P, Porter S, Sutherland E. Is there a relationship between risk assessment and observation level?. Journal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04;11(2):156-164. http://dx.doi.org/10.1111/j.1365-2850.2003.00699.x 

  24. Han NJ. The awareness on patient safety culture and the degree of safe nursing activity of hospital nurses [master's thesis]. Daegu: Kyungbook National University; 2012. 

  25. Lee NJ, Kim JH.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care activity among nurses in small-medium sized general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1;17(4):462-473. 

  26. Jo YS. The changing needs of new nurses in clinical practice skills. Paper presented at: Basic nursing association winter conference; 2013 November 30; Korea University. Seoul. 

  27. Moon JM. Knowledge of and compliance with standard precautions among nurses in a university hospital [master's thesis]. Busan: Inje University; 2011. 

  28. Lee YJ. Patient safety culture and management activities perceived by hospital nurses [master's thesis]. Daejeon: Eulji University; 2011. 

  29. Westbrook JI, Woods A, Rob MI, Dunsmuir WT, Day RO. Association of interruptions with an increased risk and severity of medication administration errors.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2010;170(8):683-690. http://dx.doi.org/10.1001/archinternmed.2010.6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