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등도 이상의 통증을 호소하는 암환자의 통증간호기록 분석
Analysis of Pain Records for Cancer Patients Complaining of Moderate or Severe Pain 원문보기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17 no.4, 2014년, pp.270 - 277  

박란희 (서울성모병원 간호부) ,  조옥희 (제주대학교 간호대학) ,  유양숙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는 중등도 이상의 통증을 호소하는 암환자의 통증간호기록을 분석하여 통증의 특성과 통증완화를 위한 중재 및 중재의 효과를 조사하는 후향적 연구이다. 방법: 대상자는 2011년 2월 1일부터 2월 28일까지 서울시에 소재한 C 대학교 병원의 암병동에 입원 환자 중 재원일수가 3일 이상 30일 이하이며, 18세 이상의 성인으로 NRS로 측정한 통증의 강도가 4점 이상인 363명이었다. 결과: 입원 후 4점 이상의 통증을 호소한 건수는 1,394건이었다. 통증의 부위는 복부가 가장 많았고, 통증의 악화요인은 움직였을 때가, 완화요인은 진통제를 투여받았을 때가 가장 많았다. 통증의 유형은 돌발성 통증이 가장 많았다. 통증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한 비약물적 중재 중 온요법이 가장 많았다. 약물을 투여하기 전 통증의 강도는 평균 6.68점이었으며 약물투여 후 1시간에 평균 2.81점으로 감소되었다. 정규처방으로 진통제를 투여한 경우는 52.2%였으며, 마약성 진통제 중 Morphine sulfate가, 비마약적 진통제 중 Gabapentin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퇴원 시 통증의 강도는 3점 이하가 82.5%였다. 결론: NRS 4점 이상의 통증을 호소하는 암환자는 입원 초기부터 적극적으로 통증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마약성 진통제로 통증을 조절하는 암환자와 가족은 물론 간호사를 대상으로 약제의 효과와 부작용에 대하여 교육하고, 또한 퇴원 후 가정에서 환자와 가족이 통증을 평가하고 기록하여 추후 치료에 반영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is a retrospective study that investigated cancer patients' complaints of moderate or severe pain to analyze pain characteristics, pain relief interventions and their effects.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63 patients who were hospitalized in the cancer ward for three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중등도 이상의 통증을 호소하는 암환자의 통증간호기록을 분석하여 통증의 특성과 통증완화를 위한 중재 및 중재의 효과를 조사한 후향적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도 이상의 통증을 호소하는 암환자의 통증간호기록를 분석하여 통증관리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중등도 이상의 통증을 호소하는 암환자의 통증간호기록을 분석하여 통증관리 현황을 파악하고, 효율적인 통증관리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통증간호기록지란 무엇인가? 1) 통증간호기록지: 통증간호기록지는 보건복지가족부 에서 발간한 암성 통증관리지침 권고안(Cancer Pain Management Guideline) 4판(16)에서 제시한 초기통증 평가항목을 근거로 통증의 강도와 부위, 양상, 유형, 비약물 중재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우리나라의 암 발생률과 암환자의 생존율은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우리나라의 암 발생률은 1999년에 인구 10만 명당 214.2명에서 2010년 405.1명으로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으며, 암환자의 5년 생존율은 2000년 44.0%에서 2010년 64.1%로 최초 암 진단 이후 10명 중 6명이 5년 이상 생존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1).
암성 통증을 경험하는 환자는 어느정도인가? 통증은 급성기 치료를 받고 있는 암환자의 60%가 경험하며, 진행된 암환자의 64% 이상이 경험하는 흔한 증상이다(2). 국소암과 전이암 모두 통증과 관련되는데, 진단 당시 전이가 없는 암환자는 15% 정도가 통증을 호소하지만 암이 진행됨에 따라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가 급격히 증가한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National cancer registration and statistics in Korea [Internet]. Goyang: National Cancer Center; 2013. [cited 2014 Oct 10]. Available from: http://ncc.re.kr/english/infor/kccr.jsp. 

  2. Van den Beuken-van Everdingen MH, de Rijke JM, Kessels AG. Schouten HC, van Kleef M, Patijn J. Prevalence of pain in patients with cancer: a systematic review of the past 40 years. Ann Oncol 2007;18:1437-49. 

  3. Cleeland CS. Gonin R, Hatfield AK, Edmonson JH, Blum RH, Stewart JA, el al. Pain and its treatment in outpatients with metastatic cancer. N Engl J Med 1994;330:592-6. 

  4. Jacox A, Carr DB, Payne R. New clinical-practice guidelines for management of pain in patients with cancer. N Engl J Med 1994;330:651-5. 

  5. Caraceni A, Galbiati A, Brunelli C, Gorni G, Martini C, Zecca E, et al. Cancer patient compliance in the self-administration of a pain assessment tool. J Pain Symptom Manage 2004;27:417-24. 

  6.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Accreditation Criteria Collections. Seoul: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2010. 

  7. Joint Commission International. Joint Commission International accreditation standards for hospitals. 4th ed. Oakbrook Terrace, IL:Joint Commission Resources;2010. 

  8. Kim MJ, Park JA, Shin SJ. Pain and pain management in hospitalized cancer patiens. J Korea Acad Fundam Nurs 2008;15: 161-70. 

  9. Song SS. Pain management knowledge and attitude of internal medicine and surgery stream nurses [master's thesis]. Seoul: Catholic Univ.; 2010. Korean. 

  10. Kwon EJ. A comparative study on the knowledge and attitude of cancer pain management between nurses working in general units and cancer units [master's thesis]. Busan: Kosin Univ.; 2010. Korean. 

  11. Kim MY, Park YH, Park DL, Hwang YJ, Chang HK. Pain management knowledge and attitude of hospitalized patients with cancer and their family caregivers. J Korean Oncol Nurs 2009;9: 104-13. 

  12. Song HJ, Kim GS. Factors affecting nurses' pain management for cancer patients: personal and hospital institution aspects. J Korean Clin Nurs Res 2010;16:25-37. 

  13. Moon YM. Pain and pain management practices among home care patients with cancer [master's thesis]. Incheon: Inha Univ.; 2008. Korean. 

  14. Deandrea S, Corli O, Consonni D, Villani W, Greco MT, Apolone G. Prevalence of breakthrough cancer pain: a systematic review and a pooled analysis of published literature. J Pain Symptom Manage 2014;47:57-76. 

  15. McMillan SC, Tittle M, Hagan S, Laughlin J. Management of pain and pain-related symptoms in hospitalized veterans with cancer. Cancer Nurs 2000;23:327-36. 

  16. National Cancer Control Institute, Ministry of Health & Welfare. Cancer pain management guideline. 4th ed. Goyang:Ministry of Health & Welfare, National Cancer Center;2010. 

  17. Park MH, Baik SH, Kim NC, Song HH. Cancer pain express pattern of terminal cancer patient admitted to hospice unit. J Korean Clin Nurs Res 2002;8:147-61. 

  18. Bedard G, Hawley P, Zhang L, Slaven M, Gagnon P, Bisland S, et al. A survey of Canadian cancer patients' perspectives on the characteristics and treatment of breakthrough pain. Support Care Cancer 2013;21:2557-63. 

  19. Davies AN, Dickman A, Reid C, Stevens AM, Zeppetella G; Science Committee of the Association for Palliative Medicine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The management of cancer-related breakthrough pain: recommendations of a task group of Science Committee of the Association for Palliative Medicine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Eur J Pain 2009;13:331-8. 

  20. Park JS. Literature review of nonpharmacologic pain management and pain management program. Keimyung J Nurs Sci 2000;4: 33-54. 

  21. Chung Y, Na DM, Kim JS, Yang KM. Current status of symptom and pain control in cancer patients treated with chemotherapy.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03;6:144-51. 

  22. Kim YJ. Actual condition of pain and pain control and satisfaction of pain control in hospitalized cancer patients [master's thesis]. Busan: Kosin Univ.; 2007. Korean. 

  23. Yoon YR. A study on the pattern and management of pain in terminal cancer patients : based on patients at hospice facilities [master's thesis]. Gimhae: Inje Univ.; 2002. Korean. 

  24. Kim HE. Pattern, management and related factors of postoperative pain: through EMR analysis [master's thesis]. Daegu: Keimyung Univ.; 2011. Korean. 

  25. Weber M, Huber C. Documentation of severe pain, opioid doses, and opioid-related side effects in outpatients with cancer: a retrospective study. J Pain Symptom Manage 1999;17:49-5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