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돌발성 암성 통증
Breakthrough Cancer Pain 원문보기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18 no.1, 2015년, pp.1 - 8  

서민석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강남세브란스병원 가정의학과) ,  심재용 (연세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돌발성 암성 통증은 상대적으로 기저 통증이 규칙적인 진통제 사용으로 잘 조절됨에도 발생하는 일시적인 통증의 악화이다. 돌발성 통증은 암성 통증을 가진 환자에게서 매우 흔하여, 전체적으로 70~90%의 유병률을 보인다. 이는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데, 일상 생활 능력의 감소나, 사회적인 관계성 저하를 비롯하여 우울과 불안의 유병률이 높아진다. 게다가 가족과 사회, 건강 보험 재정에도 큰 부담을 준다. 돌발성 통증은 병태학적 기전에 따라 특발성(또는 자발성) 통증과 사건 통증으로 나눌 수가 있다. 각각의 돌발성 통증 삽화는 전형적인 특징을 보이는데 5~10분 이내에 통증이 최대가 되며, 심한 통증 강도, 30-60분 이내에 소실되는 짧은 지속시간 등이 있다. 그러나 지속시간과 통증의 강도에는 환자마다, 같은 환자라도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그러므로 매 통증마다 철저한 평가가 필요하고, 치료 계획은 최적의 치료를 위해 개별화가 되야 한다. 옥시코돈, 모르핀, 하이드로모르폰과 같은 여러 속효성 경구 제제들이 상대적으로 느린 진통 효과에도 불구하고 널리 사용되어 왔다. 점막 흡수형 펜타닐 제제는 경구 마약성 진통제의 이런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여러 연구에서도 점막 흡수형 펜타닐 제제가 돌발성 통증 조절에 좀 더 빠른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저자들은 각각의 환자와 통증삽화에 따른 좀 더 효율적인 진통제를 사용함으로 돌발성 통증 조절이 개선되기를 기대한다. 그리고 한국인들을 대상으로 각각의 마약성 진통제의 효과와 비용 대비 효율성을 평가하는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reakthrough cancer pain is a transient exacerbation of pain that occurs despite relatively well controlled background pain with around-the-clock analgesia. It is highly prevalent in patients with cancer pain, with an overall prevalence of 70~90%. Breakthrough cancer pain has several negative effe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평가도구는 약 10분 정도 소요되며, 의료진이 환자와의 면담을 통해 규칙적으로 진통제를 복용하는 환자에서 최근 3일간의 통증 강도와 면담 전 24시간 동안 최소한 1번 이상의 통증 악화가 있었는지를 평가하게 된다. 돌발성 통증이 있었던 경우에는 횟수와 지속시간, 강도와 통증이 발생한 위치, 악화 요인과 가장 심했던 통증에 대한 완화 방법 등에 대해 확인하게 된다. 만성 암성 통증을 가진 환자에서 임상적 진단과 비교하여 QUDEI가 유용한 도구인지를 평가한 이탈리아 다기관 연구에서는 86%의 진단 일치도를 보였으나, 기저 통증이 6점인 환자를 돌발성 통증으로 포함시킨 부분은 연구의 한계점으로 생각 된다(18).
  • 만성 암성 통증으로 마약성 진통제를 사용하고 있는 환자에서 급성 통증이 발생했을 때는 돌발성 암성 통증 외에도 기존의 통증과는 다른 새로운 암성 통증의 발생이나 마약성 진통제의 내성(opioid tolerance), 마약성 진통제에 의해 유발된 통각과민(opioid-induced hyperalgesia), 지속성 진통제의 예상된 약효 지속시간이 끝나기 전에 통증이 악화되는 현상(end-of-dose failure)과 중독(addiction)의 가능성 등을 고려해야 한다. 본고에서 저자들은 급성 암성 통증을 유발할 수 있는 다른 요인들을 배제한 돌발성 암성 통증에 대해서만 논의하고자 한다. 암성 통증 중에서 돌발성 암성 통증은 아직까지는 효과적으로 조절하기 어려운 부분 중에 하나로 인식 되고 있다.
  • 또한 경제적 비용도 증가하게 되는데, 2002년 미국의 연구에 따르면 돌발성 통증과 관련한 입원, 응급실 방문 및 외래 진료비는 환자 당 연간 12,000달러로 돌발성 통증이 없는 환자의 환자 당 연간 비용 2,400달러에 비해 훨씬 많았다(6). 이에 저자들은 문헌 고찰을 통해 돌발성 통증의 정의와 특징을 알아보고, 이를 평가하는 방법과 약물치료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재 가장 많이 인용되는 돌발성 통증의 정의는 무엇인가? 현재 가장 많이 인용되는 돌발성 통증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돌발성 통증은 기저 통증(background pain)이 충분히 조절됨에도 불구하고 자발적이거나(spontaneously), 예측 가능한 또는 예측 불가능한 유발요인(trigger)에 의해 일시적으로 악화되는 통증이다.”(11) Corli 등은 최근에 이탈리아 완화의료 전문가들의 대규모 조사를 바탕으로 개정된 돌발성 암성 통증의 정의를 제시하였으며, 이는 다음과 같다.
돌발성 통증의 특징은 무엇인가? 돌발성 통증은 중증도 이상의 통증이 급성으로 발현 되어 짧은 기간 동안 지속되는 것이 특징이다. 여러 연구 결과에 따르면 통증은 5∼10분 이내에 최고조에 이르러 평균 30∼60분 정도 지속되었고, 매일 3∼4회 정도의 빈도를 보였다(13,14).
영국/아일랜드 완화의료 협회에서 제시한 권고안에서 돌발성 통증은 병태 생리학적 기전에 따라 어떻게 분류되는가? 1) 특발성/자발성 통증(Idiopathic/Spontaneous pain): 확인할 수 있는 유발 요인이 없이 통증이 발생하여, 예측이 불가능한 통증 2) 사건 통증(Incident pain): 확인할 수 있는 유발 요인으로 인해 통증이 발생하여, 다소 예측이 가능한 통증 (1) 의지적 행동으로 인한 통증(Volitional incident pain): 걷기 (2) 비의지적 행동으로 인한 통증(Non-volitional incident pain): 기침, 구토 3) 시술에 의한 통증(Procedural pain): 상처소독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Foley KM. Acute and chronic cancer pain syndromes. In: Doyle D, Hanks G, Cherny N, Calman K, eds. Oxford textbook of palliative medicine. 3rd ed. New York:Oxford University Press; 2004. p. 298-316. 

  2. van den Beuken-van Everdingen MH, de Rijke JM, Kessels AG, Schouten HC, van Kleef M, Patijn J. Prevalence of pain in patients with cancer: a systematic review of the past 40 years. Ann Oncol 2007;18:1437-49. 

  3. Deandrea S, Corli O, Consonni D, Villani W, Greco MT, Apolone G. Prevalence of breakthrough cancer pain: a systematic review and pooled analysis of published literature. J Pain Symptom Manage 2014;47:57-76. 

  4. Hong SH, Roh SY, Kim SY, Shin SW, Kim CS, Choi JH, et al. Change in cancer pain management in Korea between 2001 and 2006: results of two nationwide surveys. J Pain Symptom Manage 2011;41:93-103. 

  5. Caraceni A, Martini C, Zecca E, Portenoy RK, Ashby MA, Hawson G, et al. Breakthrough pain characteristics and syndromes in patients with cancer pain. An international survey. Palliat Med 2004;18:177-83. 

  6. Fortner BV, Okon TA, Portenoy RK. A survey of pain-related hospitalizations, emergency department visits, and physician office visits reported by cancer patients with and without history of breakthrough pain. J Pain 2002;3:38-44. 

  7. Haugen DF, Hjermstad MJ, Hagen N, Caraceni A, Kaasa S; European Palliative Care Research Collaborative (EPCRC). Assessment and classification of cancer breakthrough pain: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Pain 2010;149:476-82. 

  8. Portenoy RK, Hagen NA. Breakthrough pain: definition, prevalence and characteristics. Pain 1990;41:273-81. 

  9. Walsh D, Rivera NI, Davis MP, Lagman R, Legrand SB. Strategies for pain management: cleveland clinic foundation guidelines for opioid dosing for cancer pain. Support Cancer Ther 2004;1: 157-64. 

  10. Zucco F, Bonezzi C, Fornasari D. Breakthrough cancer pain (BTcP): a synthesis of taxonomy, pathogenesis, therapy, and good clinical practice in adult patients in Italy. Adv Ther 2014;31:657-82. 

  11. Davies AN, Dickman A, Reid C, Stevens AM, Zeppetella G; Science Committee of the Association for Palliative Medicine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The management of cancer-related breakthrough pain: recommendations of a task group of the Science Committee of the Association for Palliative Medicine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Eur J Pain 2009;13:331-8. 

  12. Corli C, Pizzuto M; OICP Research Group. Per qualche dolore in meno. Capire e trattare il breakthrough cancer pain. Roma: CIC Edizioni Internazionali;2011. 

  13. Davies A, Buchanan A, Zeppetella G, Porta-Sales J, Likar R, Weismayr W, et al. Breakthrough cancer pain: an observational study of 1000 European oncology patients. J Pain Symptom Manage 2013;46:619-28. 

  14. Portenoy RK, Bruns D, Shoemaker B, Shoemaker SA. Breakthrough pain in community-dwelling patients with cancer pain and noncancer pain, part 1: prevalence and characteristics. J Opioid Manag 2010;6:97-108. 

  15. Hagen NA, Stiles C, Nekolaichuk C, Biondo P, Carlson LE, Fisher K, et al. The Alberta Breakthrough Pain Assessment Tool for cancer patients: a validation study using a delphi process and patient think-aloud interviews. J Pain Symptom Manage 2008; 35:136-52. 

  16. Sperlinga R, Campagna S, Berruti A, Laciura P, Ginosa I, Paoletti S, et al. Alberta Breakthrough Pain Assessment Tool: A validation multicentre study in cancer patients with breakthrough pain. Eur J Pain 2014 Nov 5. Epub 2014 Nov 5. 

  17. Fainsinger RL, Nekolaichuk C, Lawlor P, Hagen N, Bercovitch M, Fisch M, et al. An international multicentre validation study of a pain classification system for cancer patients. Eur J Cancer 2010;46:2896-904. 

  18. Caraceni A, Bertetto O, Labianca R, Maltoni M, Mercadante S, Varrassi G, et al. Episodic (breakthrough) pain prevalence in a population of cancer pain patients. Comparison of clinical diagnoses with the QUDEI--Italian questionnaire for intense episodic pain. J Pain Symptom Manage 2012;43:833-41. 

  19. Zeppetella G, Ribeiro MD. Episodic pain in patients with advanced cancer. Am J Hosp Palliat Care 2002;19:267-76. 

  20. Raj SX, Thronaes M, Brunelli C, Hjermstad MJ, Klepstad P, Kaasa S. A cross-sectional study on prevalence of pain and breakthrough pain among an unselected group of outpatients in a tertiary cancer clinic. Support Care Cancer 2014;22:1965-71. 

  21. Breakthrough cancer pain survey fact sheet [Internet]. Baltimore: American Pain Foundation (US); 2010. Apr 26 [cited 2015 Jan 2]. Available from: http://www.harrisinteractive.com/vault/Client_News_AmericanPainFoundation_Fact_2010_01.pdf. 

  22. Breivik H, Cherny N, Collett B, de Conno F, Filbet M, Foubert AJ, et al. Cancer-related pain: a pan-European survey of prevalence, treatment, and patient attitudes. Ann Oncol 2009;20:1420-33. 

  23. Portenoy RK. Treatment of temporal variations in chronic cancer pain. Semin Oncol 1997;24(5 Suppl 16): S16-7-12. 

  24. Caraceni A, Hanks G, Kaasa S, Bennett MI, Brunelli C, Cherny N, et al. Use of opioid analgesics in the treatment of cancer pain: evidence-based recommendations from the EAPC. Lancet Oncol 2012;13:e58-68. 

  25. Hanks G. Oral transmucosal fentanyl citrate for the management of breakthrough pain. Eur J Palliat Care 2001;8:6-9. 

  26. Zeppetella G, Davies AN. Opioids for the management of breakthrough pain in cancer patients.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3;10:CD004311. 

  27. Bennett D, Burton AW, Fishman S, Fortner B, McCarberg B. Consensus panel recommendations for the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breakthrough pain: Part II - management. P&T 2005;30:354-61. 

  28. Davies AN. Breakthrough cancer pain. Curr Pain Headache Rep 2014;18:420. 

  29. Current state and improvement plan of cancer pain management: focused on opioid analgesics [Internet]. Seoul: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2012. Dec 31 [cited 2015 Jan 8]. Available from: http://www.neca.re.kr/center/researcher/report_view.jsp?boardNoGA&seq71&q6 26f6172644e6f3d4741. 

  30. Bedard G, Davies A, McDonald R, Hawley P, Buchanan A, Popovic M, et al. Breakthrough cancer pain: a comparison of surveys with European and Canadian patients. Support Care Cancer 2015;23:791-6. 

  31. Jandhyala R, Fullarton JR, Bennett MI. Efficacy of rapid-onset oral fentanyl formulations vs. oral morphine for cancer-related breakthrough pain: a meta-analysis of comparative trials. J Pain Symptom Manage 2013;46:573-80. 

  32. Bhatnagar S, Devi S, Vinod N, Jain P, Durgaprasad G, Maroo SH, et al. Safety and efficacy of oral transmucosal fentanyl citrate compared to morphine sulphate immediate release tablet in management of breakthrough cancer pain. Indian J Palliat Care 2014;20:182-7. 

  33. Darba J, Kaskens L, Sanchez-de la Rosa R. Budget impact analysis of the fentanyl buccal tablet for treatment of breakthrough cancer pain. Clinicoecon Outcomes Res 2013;6:1-9. 

  34. Yamaguchi T, Shima Y, Morita T, Hosoya M, Matoba M; Japanese Society of Palliative Medicine. Clinical guideline for pharmacological management of cancer pain: the Japanese Society of Palliative Medicine recommendations. Jpn J Clin Oncol 2013;43:896-909. 

  35. Poulain P, Michenot N, Ammar D, Delorme C, Delorme T, Diquet B, et al. Mise au point sur l'utilisation du fentanyl transmuqueux: chez le patient presentant des douleurs d'origine canc?reuse. Douleurs Analg 2012;25:102-17. 

  36. NCCN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in Oncology: Adult Cancer Pain Version 2. [Internet]. Washington, PA: National Comprehensive Cancer Network (US); 2014. May 11 [cited 2014 Dec 29]. Available from: http://www.nccn.org/professionals/physician_gls/pdf/pain.pdf. 

  37. Guidelines & protocols: palliative care for the patient with incurable cancer or advanced disease - Part 2: pain and symptom management [Internet]. Victoria, B.C.: British Columbia. Ministry of Health; 2011. Sep 30 [cited 2015 Jan 5]. Available from: http://www.bcguidelines.ca/guideline_ palliative2.htm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