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소마취 환자의 수술시 손잡아주기, 내관지압이 불안과 통증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Hand Holding and Nei-Guan Acupressure on Anxiety and Pain under Local Anesthetic Patients during Surgery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4 no.11, 2014년, pp.378 - 388  

박선희 (한림대학교 성심병원 회복실) ,  장희정 (한림대학교 간호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은 국소마취 환자의 수술시 불안과 통증을 경감시키기 위해 손잡아주기, 내관지압의 간호중재를 통해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기간은 2013년 7월부터 10월까지이며 연구대상은 H대학교 병원에서 국소마취를 통해 외래수술을 시행한 총 7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설계는 비동등성대조군 사전사후 시차설계로 이루어졌다. 실험군1, 실험군2, 대조군 각 26명이었으며 외래수술환자를 대상으로 실험군1은 손잡아주기, 실험군2는 내관지압 간호중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세 군 간의 사전 동질성은 검증되었으며 간호중재 후 불안, 간호중재 후 통증이 실험군1, 실험군2에서 대조군보다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었다. 결과에 근거하여 수술시 불안과 통증감소의 효과를 나타낸 손잡아주기와 내관지압의 효과가 시간과 경제적 측면에서 수술실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간호중재로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is to figure out the influence of hand holding and Nea-Guan acupressure to anxiety and pain that local anesthesia patients feel in out patient operation room. Non 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time series design was adopted and the data had been collected from Jul. to Oc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에는 수술 후 또는 항암요법 시 오심과 구토 증상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22][27][28]. 국소마취 수술환자를 대상으로 손목 횡선 내측끝의 두상골(pisiform) 전면 오목한 곳인 신문혈과 내관혈 자극이 수술 중 불안과 통증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29]는 결과가 있어 이를 근거로 본 연구는 국소마취 환자의 수술 중 손잡아주기와 내관지압이 불안과 통증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여 근거중심 실무를 수행하기 위한 효율적인 간호중재개발의 기틀을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시차 설계(Non 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time series design)이다.
  • 본 연구는 손잡아주기와 내관지압이 국소마취 수술 환자의 불안과 통증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외래 수술실에서 국소마취 하에 수술을 받은 7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손잡아주기 실험군1, 내관지압 실험군2에 각각 간호중재를 실시하여 간호중재 전, 간호중재 후 불안과 통증을 측정하여 자료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팔의 손목관절에서 안쪽으로 손가락 2마디만큼 올라온 경혈에 엄지손가락을 사용하여 압력을 이용한 자극을 주는 것을 의미하며 좌측 또는 우측내관에 수술시작 5분전부터 수술시작 5분후까지 총 10분 동안 시행한 것을 말한다.
  • 최저 20점에서 최고 80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불안 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수술 전 기질불안은 대기실에서 조사하였는데 조사한 이유는 수술에 대한 불안에 기질적인 불안이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기질적으로 개인의 특성상 불안을 느끼는 정도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사전에 세 군간의 기질적 불안정도가 동질한지를 검증하고자 측정하였다. 선행연구에서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 .

가설 설정

  • 1) 가설 1 : 손잡아주기군, 내관지압군, 대조군간 불안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1) 가설 1 : 손잡아주기군, 내관지압군, 대조군간 불안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2) 가설 2 : 손잡아주기군, 내관지압군, 대조군간 통증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2) 가설 2 : 손잡아주기군, 내관지압군, 대조군간 통증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내관혈은 신체의 어디에 위치하는가? 최근 현대의학의 발달에도 불구하고 국내외적으로 보완, 대체요법이 많이 연구되고 있는데 대체요법 중의 하나인 지압에 대한 효과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내관지압은 내관혈(Nei-Guan Point)을 지압하는 것[25]으로 내관혈은 팔안쪽 요골측 수근굴근(flexor carpi radialis muscle)과 손바닥 쪽 장근(Palmaris longus muscle)의 인대사이에 위치하며, 손목 횡선에서 팔굽쪽으로 2촌이 되는 지점이다[26]. 동양의학에서 안정작용이 매우 강하고 심혈관계, 신경계, 소화기계 질환 완화에 많이 사용되었으나 통증감소에 효과적이었다는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어서 최근 내관혈의 지압이나 침을 통한 자율신경계 조절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수술환자의 불안과 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한 간호중재로 임상에서 적용되고 있는 중재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시행되고 있는가? 수술환자의 불안과 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한 간호중재로 임상에서 적용되고 있는 중재방법으로는 지지간호[9], 음악요법[7][10-12], 손 마사지나 손잡아주기[13-17], 사전정보[18], 가온요법[19], 동영상 교육프로그램[20], 웃음요법[21]등 많은 방법들이 시행되고 있다. 최근에는 두 가지 이상의 중재를 병행한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는데 사전정보제공과 보호자상주[18], 통증 교육과 내관지압[22], 정보제공과 손 마사지[15]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는 간호중재 연구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나 대부분 전신마취수술환자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부분마취 환자의 가장 대표적인 불안요인은 마취 시 주사바늘의 침습과 수술 중 지속적으로 의식이 있다는 점인데 이를 완화하기 위하여 어떤 약물을 사용하는가? 부분마취 환자의 가장 대표적인 불안요인은 마취 시 주사바늘의 침습이며[4], 수술 중 지속적으로 의식이 있다는 점이다[5]. 이러한 이유로 부분마취 환자에게 수술 중 환자의 불안완화와 기억상실을 유도하기 위한 다양한 보조약물Midazolam, Propofol, Pentotal Sodium 등을 사용하는데 이는 호흡수의 저하와 혈압, 맥박, 산소포화도 등 호흡기계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꼭 필요한 경우에만 사용하여야 하며, 부분마취 하에 수술을 받는 환자에게 진정제의 사용을 억제하여야 한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J. M. White, "Music therapy: an intervention to reduce anxiety in the myocardial infarction patient," Clinical Nurse Specialist, Vol.6, pp.58-63, 1992. 

  2. V. M. Steelman, "Intraoperative music therapy. effects on anxiety, blood pressure," AORN Journal, Vol.52, pp.1026-1034, 1990. 

  3. 대한마취과학회, 마취통증의학, 여문각, 2003. 

  4. J. De Andres, J. C. Valia, A. Gil, and R. Bolinches, "Predictors of patient satisfaction with regional anesthesia," Regional Anesthesia, Vol.20, pp.498-505, 1995. 

  5. M. Mitchell, "Conscious surgery: influence of the environment on patient anxiety,"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64, pp.261-71, 2008. 

  6. C. T. Hung, Y. F. Chow, C. F. Fung, C. H. Koo, K. C. Lui, and A. Lam, "Safety and comfort during sedation for diagnostic or therapeutic procedures," Hong Kong Medical Journal, Vol.8, pp.114-22, 2002. 

  7. 신효연, 이명선, "수술 중 음악요법이 국소마취 수술환자의 불안에 미치는 효과", 기본간호학회지, Vol.12, pp.131-138, 2005. 

  8. 손근숙, 이혜원, 최성욱, 임혜자, 윤석민, 장성호, "임상연구: 중등도 진정상태의 성형외과 수술 환자에서 국소마취제 침윤에 의한 통증에 대한 Remifentanil의 효과",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Vol.53, pp.318-324, 2007. 

  9. 조미자, 홍미순, "수술실에서의 지지간호가 수술 직전 환자의 불안감소에 미치는 영향", 성인간호학회지, Vol.13, pp.632-640, 2001. 

  10. 이지민, 홍해숙, "선호음악요법이 방광경시술시 불안, 통증 및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기초간호자연과학회지, Vol.13, pp.44-52, 2011. 

  11. 채수정, 양수, 박호란, "음악요법이 국소마취 요관부목술 환자의 불안과 통증에 미치는 효과", 기본간호학회지, Vol.14, pp.173-180, 2007. 

  12. 현신숙, 김은경, 김은정, 채혜정, 고윤희, 이미영, "음악요법이 근골격계 외상 수술환자의 CPM운동 후 통증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 임상간호연구, Vol.9, pp.93-106, 2004. 

  13. 오현정, 박정숙, "손 마사지와 손잡아주기가 국소마취 수술환자의 불안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34, pp.924-933, 2004. 

  14. 조경숙, "손마사지 프로그램이 백내장 수술환자의 불안과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29, pp.97-106, 1999. 

  15. 홍정연 , 윤희조, "임상연구 : 척추-경막외 병용 마취하 제왕절개술 시 수술과 마취에 대한 정보제공과 손마사지가 술 후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Vol.45, pp.492-497, 2003. 

  16. 윤진희, 김영선, 유상화, 고성미, 오경순, 박인애, et al., "손반사 마사지 요법이 척추수술 후 환자의 통증과 기분상태에 미치는 효과", 간호과학, Vol.15, pp.1-17, 2003. 

  17. 김정미, "손마사지가 자궁절제술 환자의 수술직전 불안에 미치는 효과,"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30, pp.476-487, 2000. 

  18. 유제복, 김민정, 조수현, 신유정, 김남초, "회복실에 대한 사전 정보제공과 보호자 상주 중재가 수술 직후 각성 시소아 청소년 환아의 불안, 섬망 및 통증에 미치는 효과,"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42, pp.333-341, 2012. 

  19. 박옥분, 최희정, "Forced-air Warming System 을 이용한 수술 전 가온이 복부 수술 환자의 체온, 불안, 통증 및 온도 편안감에 미치는 효과",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40, pp.317-325, 2010. 

  20. 권수영, 이지아, "위내시경 수술을 받는 조기 위암 대상자를 위한 동영상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성인간호학회지, Vol.25, pp.494-503, 2013. 

  21. 유은숙, 최연희, "웃음요법이 유방절제술 후 환자의 통증과 상태불안에 미치는 영향,"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8, pp.47-52, 2012. 

  22. 신철희, 자궁적출술 환자의 통증자가조절 교육과 내관지압이 수술 후 통증, 오심 및 구토에 미치는 영향, 경상대학교 대학원, 진주, 2004. 

  23. 김만조, 이동준, 한미애, 하경호, 김문철, 조강희, "임상연구 : 부분마취 환자에서 수술 중과 수술 후의 음악이 수술 후 불안과 긴장 완화에 미치는 영향",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Vol.50, pp.444-448, 2006. 

  24. 김윤아, 성미혜, "향요법 손 마사지가 국소마취 부인과 수술 환자의 불안과면역기능에 미치는 효과", 여성건강간호학회지, Vol.20, pp.126-136, 2014. 

  25. 이명윤, 민혜숙, "손목밴드를 이용한 내관지압이 중이수술 후 오심과 구토에 미치는 효과",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38, pp.503-512, 2008. 

  26. 김남초, 유제복, 조명숙, 신은주, 함태수, "내관혈 지압이 통증 자가 조절(PCA)을 하는 부인과 수술환자의 오심과 구토 억제 및 환자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40, pp.423-432, 2010. 

  27. A. G. Hickman, D. M. Bell, and J. C. Preston, "Acupressure and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AANA Journal, Vol.73, pp.379-85, 2005. 

  28. 유제복, 장희정, 나은희, 김선영, 신동수, "내관지압이 슬관절 전치환술 받은 노인 환자의 오심, 구 토 및 통증에 미치는 효과",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7, pp.96-102, 2011. 

  29. 하소영, 神門穴과 內關穴 白芥子 자극이 국소마취하 감마나이프수술 환자의 상태불안과 통증에 미치는 효과, 부산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원, 국내 석사학위논문, 부산, 2007. 

  30. S. M. Auerbach and C. D. Spielberger, "The assessment of state and trait anxiety with the Rorschach test,"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36, pp.314-35, 1972(8). 

  31. 김정택, 신동균 "STAI의 한국표준화에 관한 연구", 최신의학, Vol.21, pp.69-75, 1978. 

  32. M. E. Cline, J. Herman, E. R. Shaw, and R. D. Morton, "Standardization of the visual analogue scale," Nursing Research, Vol.41, pp.378-80, 1992. 

  33. 이상건, "통증에 대한 재활의학과적 견해," 대한의사협회지, Vol.39, pp.1467-1483, 1996. 

  34. N. Bolognini, A. Rossetti, M. Fusaro, G. Vallar, and C. Miniussi, "Sharing social touch in the primary somatosensory cortex," Current Biology, Vol.24, pp.1513-7, 2014(7). 

  35. 조영수, 김미숙. 정경희, 김은정, 변은정, 김경아, 염선주, "정형외과 수술 환자의 통증 자가 조절 교육과 Wrist Band를 이용한 내관 지압이 수술 후 통증, 오심 및 구토에 미치는 영향", 중앙간호논문집, Vol.12, pp.55-63, 2008. 

  36. 정종희, 강희영, "수술실 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와 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pp.291-298, 2013(1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