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술 전 수술실간호사의 동영상 프로그램을 활용한 지지간호중재가 자궁적출술 환자의 불안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upportive Nursing Intervention Using Video-Program of Operating Room Nurses before Operation on Laparoscopic Hysterectomy Patient's Anxiety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4, 2015년, pp.2639 - 2646  

어용숙 (동의대학교 간호학과) ,  이내영 (신라대학교 간호학과) ,  이지원 (부산가톨릭대학교 간호학과) ,  차현진 (좋은문화병원 간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수술 전 수술실 간호사의 지지간호중재가 자궁적출술 환자의 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기 위한 유사실험 연구이다. 2013년 5월 1일부터 6월 20일까지 불안, 혈압, 맥박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고, 통계 검정은 SPSS 20.0을 이용하여 $x^2-test$, Fisher's exact test, t-test를 수행하였다. 대조군 25명은 기존의 간호중재를 받았고 실험군 25명은 지지간호중재를 받은 자궁적출술 환자이다. 불안(p=.002), 이완기혈압(p=.012), 수축기 혈압(p=.045)은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이 유의하게 낮았고 맥박수는 대조군과 실험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과적으로 수술 전 지지간호중재가 환자의 불안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supportive nursing intervention using video-program of operating room nurses before operation on laparoscopic hysterectomy patient's anxiety. This study was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desig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1 to Jun 20, 2013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수술 전 수술실간호사의 동영상 프로그램을 활용한 지지간호중재가 자궁적출술 환자의 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고자 하며, 이에 따른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수술 전 수술실간호사의 지지간호중재가 자궁적출술 환자의 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기 위한 유사실험연구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를 이용하였다.
  • 본 연구는 수술실간호사의 지지간호중재가 자궁적출술 환자의 상태불안, 혈압 및 맥박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시도되었으며,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 불안은 다른 형태의 정서적 반응에 비하여 현저한 생리적 변화를 수반하므로[21] 자가보고에 의한 주관적 측정과 생리적 측정을 통하여 중재의 효과를 검정[22]하고자 하였으며, 수술환자의 불안은 입원실에서보다 수술직전 대기하는 동안 더 높으므로[23] 불안에 대한 중재의 효과를 수술실 현장에서 생리적 측정으로 검정하고자 하였다.
  • 임상에서 수술 환자의 불안에 대한 수술 전 간호중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최근 간호교육시 교육매체로서 시청각 매체를 사용한 간호중재의 효과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수술 전 수술실간호사의 동영상 프로그램을 활용한 지지간호중재가 자궁적출술 환자의 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시도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의 유사실험연구이다. 본 연구 결과 주관적 지표인 상태불안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생리적 지표인 수축기혈압과 이완기혈압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맥박수는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이에 본 연구는 수술 전 수술실간호사의 동영상을 활용한 지지간호중재가 자궁적출술 환자의 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지간호중재를 위해 정보적 지지를 제공할 때 무엇을 활용했는가? 지지간호중재로 정보적, 정서적 및 신체적 지지를 제공하였다. 정보적 지지를 제공하기 위하여 동영상 프로그램과 소책자를 활용하였다. 동영상 프로그램과 소책자는 수술실간호사인 연구자가 선행연구 및 임상경험을 토대로 구성한 후 모성간호학 교수 1인, 산부인과 의사 1인, 산부인과병동 간호사 1인, 자궁적출술을 받은 대상자 2인의 의견을 수렴하여 수정 보완하였다. 동영상 프로그램의 내용은 수술실 대기상황, 수술실 환경, 무통시술방법, 수술진행과정, 내시경 수술장면 및 회복실에서의 간호를 포함하며, 총 8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술을 앞둔 환자가 받는 심리적 압박은 어떤 것이 있는가? 자궁적출술은 여성 생식기질환으로 인한 수술 중 가장 흔하며, 우리나라 여성의 자궁적출술 시행빈도는 증가하는 추세인데[3], 2008년에 여성인구 10만 명당 198명으로 추정되는데, 이는 국내에서 시행된 수술 중 다섯번째로 흔한 수술이다[4]. 수술은 현대의학의 발달로 인해 일생동안 누구나 한번쯤은 경험할 수 있는 과정이며, 수술을 앞둔 환자는 수술에 대한 불확실성, 마취, 죽음 및 수술 후 통증이나 합병증에 대한 두려움 등으로 심한 심리적 압박감을 받게 된다. 이런 심리적 부담에 의한 스트레스로 교감신경계가 흥분되고 노어에피네프린과 에피네프린 분비가 증가되어 심박출량 증가, 혈당 증가, 기관지 확장, 말초혈관 수축, 혈압 상승 및 피부 창백 등의 생리적 반응이 나타나고[5,6], 이로 인해 수술이나 회복 과정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7].
자궁은 어떤 장기인가? 자궁은 임신과 출산을 가능하게 하는 생식, 분비기관의 기능, 성기능, 사회적 역할, 모성애, 성적매력, 여성스러움을 나타내는 완전한 여성으로서의 자부심과 상징성이 직결되는 장기이다[1]. 이와 같이 여성에게 자궁이 주는 상징적 의미로 인해 자궁을 제거한 여성은 상실감과 함께 다양한 신체적 및 정신심리적 변화를 경험하게 된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H. S. Lim, E. K. Yoo, "A comparative study on sexual life between woman and their spouses after",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9, 2, pp. 189-200, 2003. 

  2. A. K. Uskul, F. Ahmad, N. A. Leyland, D. E. Stewart, "Women's hysterectomy experiences and decision marking", Women Health, 38, 1, pp. 53-67, 2003. DOI: http://dx.doi.org/10.1300/J013v38n01_04 

  3. K. O. No, "The critical pathway development for the hysterectomy patients and its applied effect",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6, 2, pp. 234-257, 2000. 

  4.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Health Insurance Statistics of major Operation: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c2010[cited 2010 May 10], Available From : http://kosis.kr/nsportal/wnsearch//totalSearch.jsp. (accessed May., 10, 2010) 

  5. H. S. Park, "Information and Meditation on Anxiety in Patients underwent Laparoscopic Surgery", Journal of Chungnam National Nursing University, 8, 2, pp. 63-75, 2003. 

  6. A. M. Lindsey, V. K. Carrieri, M. W. Claudia(Eds), Pathophysiological Phenomena in Nursing : Human Respons To Iilness, p. 397-419, W. B. Saunders. 1993. 

  7. M. S. Lee, M. J. Suh, "The effect of prepatory information and purposeful touch or the anxiety level of the patients before surgery", The Seoul Journal of Nurse, 9, 1, pp. 107-122, 1995. 

  8. H. S. Kim, C. J. Chang, "The effect of foot massage on anxiety response in preoperative patients undergoing total hysterectomy",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6, 4, pp. 579-593, 2000. 

  9. M. J. Cho, M. S. Hong, "A study on the effect of supportive nursing care to anxiety reduction of the patient immediately before surgery in the operating room",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13, 4, pp. 632-640, 2001. 

  10. J. H. Kim, The Effects of Pre-operational Education Using Audio-visual Medium on the State Anxiety, Sleeping Satisfaction, Momentum and abount of Residual Urine of Hysterectomy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005. 

  11. S. Y. Kwon, J. A. Lee, Effects of a simulation-based educational program for gastroendoscopic surgery patients. Korean Journal Adult Nursing, 25, 50, pp. 494-504, 2013. DOI: http://dx.doi.org/10.7475/kjan.2013.25.5.494 

  12. H. S. Yoo, The Effects of Informing of the Procedures of Operation and Anesthesia, and Providing Warmer Therapy on the Preoperative Anxiety of Surgical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2003. 

  13. G. S. Kang, E. M. Jun, The effects of the video education program on the residual urine, gas passing and state anxiety of hysterectomy patie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6, 3, pp. 409-418, 2010. DOI: http://dx.doi.org/10.4069/kjwhn.2010.16.4.409 

  14. M. J. Lee, E. S. Kim, H. Kim, M. M. Lee, Effects of a video exercise program for spinal surgery patients on pain, daily living function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5, 3, pp. 39-48, 2009. 

  15. P. Callaghan, H. C. Chan, The effect of videotape or written information on Chinese gastroscopy patients' clinical outcomes,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42, 3, pp. 225-230, 2001. DOI: http://dx.doi.org/10.1016/S0738-3991(00)00125-7 

  16. C. D. Spielberger, Anxiety on Emotional State, Anxiety, Current Trends in Theory and Research 1. New York: Academic Press, 1972. 

  17. J. T. Kim, D. G. Sin, A study based on the standardization of the STAI for Korea. The New Medical Journal, 21, 11, pp. 69-75, 1978. 

  18. E. Y. Kim, E. S. Choi, Effects of head and neck massage on anxiety, pain, and discomfort in hysterectomy patie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16(1), pp. 60-68, 2010. DOI: http://dx.doi.org/10.4069/kjwhn.2010.16.1.60 

  19. J. Cohen,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New Jersey: Lawrence Erlbaum, 1988. 

  20. E. R. Babbie, The practice of social research. Belmont, CA: Thomson Wadsworth, 2007. 

  21. S. Y. Park, Comparison of surgical patients' state anxiety by sex, area of operation and family plann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9, 1, pp. 9-21, 1979. 

  22. K. A. Oh, C. J. Ahn, The effects of nursing information and short-term relaxation technique on anxiety level and physiologic data in endoscopy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9, 3, pp. 462-478, 1997. 

  23. M. J. Cho, M. S. Hong, A study on the effect of supportive nursing care to anxiety reduction of the patient immediately before surgery in the operating room.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13, 4, pp. 632-640, 2001. 

  24. H. J. Choi, The Effects of Preoperative Education Using Movies on Anxiety in the Patients Undergoing Total Hysterectomy,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guk University, Seoul, 2006. 

  25. B. H. Kim, Y. Jung, H. J. Kang, S. W. Lee, J. S. Kim, M. S. Lee. The effect of preoperatio teaching on the emotional status of patients prior to surgery.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2, 3, pp. 407-417, 2000. 

  26. D. D. Grabee, J. A. Gentry, Coping with the stress of surgery. AORN Journal, 73, 5, pp. 940-951, 2001. 

  27. K. H. Kim, The Effect of Supportive Nursing Intervention on the Operation Room in Immediately prior to Surgery. Unpublished master thesis. Kosin University, Busan, 1997. 

  28. K. A. Oh, C. J. Ahn, The effects of nursing information and short-term relaxation technique on anxiety level and physiologic data in endoscopy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9, 3, pp. 462-478, 1997. 

  29. Y. R. Han, The effect of AIDs education on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1, 3, pp. 467-476,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