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메타분석을 이용한 교통안전성의 거시적 분석에 대한 실험적 고찰 :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Macroscopic Analysis of Traffic Safety Using Meta Analysis Focused on Busan Metropolitan City 원문보기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35 no.6, 2015년, pp.1339 - 1345  

박종서 (동아대학교 대학원 도시계획.조경학과) ,  오윤표 (동아대학교 도시계획공학과) ,  김회경 (동아대학교 도시계획공학과) ,  안우성 (동아대학교 대학원 도시계획.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은 교통안전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228개 기초자치단체를 대상으로 교통안전지수를 산정하여 매년 발표하고 있다. 하지만 교통안전지수는 공간적으로 거시적인 관점에서 관련 자료를 취합하여 도출되기 때문에 개별 교통사고발생 지점의 현장상황의 파악 부재, 교통안전지수 산정기법의 정확성 및 신뢰성이 담보되지 않는 위험성, 그리고 해당 연도와 과거연도의 교통사고자료를 시계열적으로 연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메타분석을 이용하여 교통안전시설(도심형 중앙분리대)의 설치에 따른 시계열적 교통안전성을 부산광역시 구 군을 대상으로 거시적 관점에서 분석한 결과, 사하구, 북구, 동구, 부산진구를 제외한 모든 구 군에서 도심형 중앙분리대의 설치 후 교통사고 수가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어 교통안전성의 거시적 분석의 개선에 대한 보완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Korean government annually estimates and reports the traffic safety index to evaluate the traffic safety of 228 Gu Gun. However, since the traffic safety index is derived from the spatially macroscopic perspective based on collected relative data, there are a couple of problems such as inability to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본적으로 메타분석은 동일한 주제에 대한 다수의 선행연구들을 통합적으로 분석하는 통계기법이지만 본 연구에서는 개별 구·군을 도심형 중앙분리대의 설치를 통한 안전성평가에 관한 개별 연구로 간주하여 거시적인 관점에서 도심형 중앙분리대의 설치가 구·군의 교통사고 감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연구를 수행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특정 교통안전시설의 적용을 통해 교통안정성의 향상 여부를 연구대상 광역자치단체를 구성하는 기초자치단체 단위, 즉 거시적인 공간단위로 판단하는 것에 대한 위험성을 교통사고자료에 근거한 통계분석을 통해 검증하고자 한다. 다시 말하면 도심 간선도로에서 중앙선침범이나 무단횡단 등으로 발생하는 교통사고 수와 그 심각성을 줄이기 위해 도입된 새로운 개념의 교통안전시설인 도심형 중앙분리대(urban median)의 안전성을 메타분석(meta analysis)을 통해 대상지 내 구·군에서 거시적인 관점에서 평가하고 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계열적 교통안전도를 부산광역시 구·군을 대상으로 거시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그 결과를 근거로 교통안전지수의 산정 및 적용에 대한 잠재적 위험성을 지적하고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특정 교통안전시설의 설치에 따른 시계열적 교통안전도의 향상 정도를 거시적인 관점 즉 부산광역시를 구성하는 16개 구·군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일반적인 기대와는 상반되는 결과가 도출되어 교통안전도의 거시적인 평가에 대한 위험성을 목격할 수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교통안전시설의 제공에 따른 거시적 관점에서 교통안전도의 개선 정도를 메타분석을 통해 파악하고자 한다. 부산광역시 도심형 중앙분리대의 안전성 평가를 위해 연구대상지의 도로망 GIS 도면, 도심형 중앙분리대의 현황, 대상지의 교통사고 자료와 개별사고의 GIS 좌표 값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효과크기란? 효과크기란 실험집단의 평균치가 통제집단의 평균치에 비해 얼마나 더 효과적이었는가의 크기를 표준편차라는 공통의 척도로 변환시켜 놓은 것을 의미한다. 사용빈도가 높은 x2 통계치는 x2을 효과크기로 직접 변환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우선 상관계수로 바꾼 뒤 상관계수 r을 효과크기로 변환하는 절차를 밟는다.
본 연구의 결과에 근거한 시사점은 무엇인가? - 산정된 교통안전지수를 통해 기초자치단체의 서열화는 가능하지만 지수 값이 의미하는 내용 파악이 어려움 - 교통사고의 시계열적 관계를 고려하지 않을 경우, 전년대비 교통안전지수의 변화폭이 큰 지자체의 교통안전정책의 수립 및 집행이 어려움 - 거시적인 교통안전평가를 보완하기 위하여 개별 교통사고 현장의 자료는 아니더라도 일정한 구간의 특성 등 현장상황의 반영이 요구됨
메타분석은 어떤 방법인가? 메타분석(meta analysis)이라는 용어는 1976년 Gene Glass가 통계학적 방법이 아닌 철학적 개념으로 이 용어를 사용하면서 처음으로 언급되었다. 메타분석은 분석들의 분석(analysis of analyses)을 한다는 것으로, 동일한 주제로 수행된 다수의 연구결과들을 통합할 목적으로 활용 가능한 많은 연구들의 장점 및 제한점들에 기초하면서 모든 연구결과를 융합하여 거시적이며 포괄적이고 일반적인 결론을 도출하는 통계적 방법을 말한다(Kontopantelis and Reeves,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Bahar, G., Masliah, M., Wolff, R. and Park, P. (2007). Desktop reference for crash reduction factors,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FHWA-SA-07-015. 

  2. Choi, E. J., Lee, D. M. and Kim, E. C. (2010). "A study of the meta-analysis on the accident reduction effect of the median." Proc. of the KOR-KST Conference,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pp. 383-388 (in Korean). 

  3. Choi, J. S. (1998). "Development of a traffic safety index for urban arterial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ol. 16, No. 3, pp. 47-56 (in Korean). 

  4. Elvik, R. (1994). "The safety value of guardrails and crash cushions: A Meta-analysis of Evidence from Evaluation Studie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Elsevier, Vol. 27, No. 4, pp. 523-549. 

  5. Elvik, R. (1996). "A meta-analysis of studies concerning the safety effects of daytime running lights on car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Elsevier, Vol. 28, No. 6, pp. 685-694. 

  6. Elvik, R. (1997). "Effects on accidents of automatic speed enforcement in Norway."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No. 1595, pp. 14-19. 

  7. Elvik, R. (1998). "The effects on accidents of studded tires and laws banning their use: A Meta-analysis of Evaluation Studie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Vol. 31, No. 1, pp. 125-134. 

  8. Elvik, R. (2000). "Area-wide urban traffic calming schemes: A Meta-analysis of Safety Effect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Elsevier, Vol. 33, No. 3, pp. 327-336. 

  9. Elvik, R. (2013). "Risk of road accident associated with the use of drug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Evidence from Epidemiological Studie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Elsevier, Vol. 60, pp. 254-267. 

  10. Elvik, R. and Greibe, P. (2005). "Road safety effects of porous asphalt: A Systematic Review of Evaluation Studie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Elsevier, Vol. 37, No. 3, pp. 515-522. 

  11. Kim, K. Y., Kim, W. C. and Chang, M. (2013). "Evaluation of the highway traffic safety exposure measur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ol. 31, No. 5, pp. 26-36 (in Korean). 

  12. Kontopantelis, E. and Reeves, D. (2009). "MetaEasy: A Meta-Analysis Add-In for Microsoft Excel." Journal of Statistical Software,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Vol. 30, No. 7, pp. 1-25. 

  13. Korea Road Traffic Authority (2014). Traffic safety index by Si.Gun.Gu in 2013, No. 2014-0225-049 (in Korean). 

  14. Korean Road Traffic Authority (2014). TAAS Traffic Accident Analysis System, Available at: http://taas.koroad.or.kr/index.jsp (Accessed: September 10, 2015) (in Korean). 

  15. Lee, H. J. and Cha, Y. J. (2012). "Analysis of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raffic safety index model." Korean Public Management Review, The Korea Association for Public Management, Vol. 26, No. 1, pp. 1-22 (in Korean). 

  16. Lee, W. Y. and Chae, B. S. (2009). A study on improvement of estimating traffic safety index, Korea Road Traffic Authority, No. 2009-0122-153 (in Korean). 

  17. Sung, N., Chang, I., Chang, M. and Kim, W. (2005). "The calculation of the traffic safety evaluation index of cit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ol. 23, No. 4, pp. 31-36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