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로안전시설의 사고감소효과 메타분석 : 신호교차로를 대상으로
A Meta Analysis of the Effects of Road Safety Facilities on Accident Reduction: Focusing on Signalized Intersection 원문보기

大韓交通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34 no.4, 2016년, pp.291 - 303  

최지혜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임준범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이수범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교차로에서 발생한 교통사고건수는 최근 10년간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2014년 전체 교통사고의 44%를 차지하면서 교차로는 교통안전에 취약한 도로형태로 주목되고 있다. 특히 선정된 사고다발지점 대다수가 신호교차로를 포함하고 있어, 신호교차로의 안전개선 노력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정부는 주로 도로안전시설 개선사업을 시행하여 주어진 예산 내에서 단기간에 높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안전개선사업을 수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도로안전시설의 사고감소효과를 확인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등장하고 있으나 독립적으로 수행된 연구별 특성은 종합하기 어렵고, 각 연구결과가 대표성을 갖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여전히 한정된 예산과 불확실한 도로안전시설 설치효과로 인해 선뜻 안전개선사업을 진행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메타분석을 통해 기존의 신호교차로 교통사고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활용한 여러 사고예측연구 결과를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각 변인이 대표할 수 있는 개선효과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신호교차로 전체 사고건수를 종속변수로 하는 연구 중 19건의 논문을 선정하고 8개 변인에 대한 34개의 개별효과크기(effect size)를 산출하였다. 메타분석 결과, 도로안전시설 설치와 신호교차로 교통사고의 관계는 좌회전 전용차로를 제외하고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한 사고영향을 나타내어, 도로안전시설이 사고감소에 영향을 준다는 통계적인 결과자료를 도출하였다. 그 중 도류화설치의 효과크기가 가장 높았으며, 좌회전차로 가속구간, 조명시설, 횡단보도, 우회전 전용차로, 중앙분리대 순으로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number of traffic accidents at intersections has been increased over the past decade, and in 2014, accounted for 44% of the total traffic accidents. In addition, since most of road accident black spots include signalized intersections, the improvement of safety on signalized intersection is top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은 신호교차로를 대상으로 도로안전시설의 사고감소효과에 대해 메타분석한 연구이다. 메타분석이란 선행연구들의 결과를 객관적이고 통계적으로 요약하여 종합‧고찰하는 방법이다.
  • 본 연구에서는 도로안전시설 설치 따른 일반적인 사고감소효과를 도출하고자, 신호교차로를 대상으로 총 교통사고 건수에 대한 도로안전시설의 영향을 연구한 논문 19건을 대상으로 메타분석하였다. 자료 선정을 통해 도출된 변인은 도로안전시설로 분류되는 조명시설, 좌회전 전용차로, 좌회전차로 가속구간, 도류화, 횡단보도, 중앙분리대, 우회전 전용차로, 단속카메라를 포함하고 있다.
  • 한편, 교차로는 신호운영의 유무에 따라 통행패턴 및 사고특성이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도로안전시설 효과 또한 다르게 나타날 것이라 예상된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교차로 대부분이 신호교차로로 운영된다는 점과 사고다발지점으로 선정되는 지점 대부분이 신호교차로인 점에 주목하여 신호교차로의 도로안전시설의 사고감소효과를 연구한 논문을 종합하고자 한다.
  • 첫째,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을 종합, 정리하여 신호교차로 교통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비슷한 연구들이 반복되는 비효율성을 감소시키고 교통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해 포괄적으로 연구를 확대할 수 있는 계기 마련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즉, 분석대상이 되고 있는 효과크기들이 모집단의 효과크기를 잘 나타내 주고 있는가의 여부를 위해 다음과 같이 효과크기의 동질성 검사(test for homogenity of effect size)의 실시한다. 동질성 검정 통계량(Q) 값에 대한 해석은 x2분포(df=k-1)에 근거하며, Q값의 유의수준 p값이 x2의 한계값(critical value, 0.05)보다 작으면 메타분석의 대상이 되는 각각의 연구들이 동질한 경우로 판단하고 평균 효과크기를 그대로 사용하였으며, 이질적인 경우 동일한 모집단으로부터 무작위로 표집된 연구라는 가정하에 랜덤효과 모형을 사용하여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차로 안전개선노력이 반드시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교차로는 정상적인 교통의 진행뿐만 아니라 횡단, 회전 등 교통현상이 매우 복잡하게 나타나 사고발생 가능성이 높다. 게다가 교차로의 교통사고는 단순히 교차로의 사고로 끝나지 않고 그 교차로가 속하고 있는 도로축의 교통 체증을 불러일으켜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교차로 안전개선노력이 반드시 필요하다.
최근 교차로 교통사고에 관련한 변인에 관한 연구의 문제는 무엇인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학계에서 도로설계 시 교통조건, 도로조건, 교통운영상의 조건 등 교차로 교통사고에 관련한 변인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각 연구의 표본 수로는 전체에 대한 대표성을 갖기에 한계가 있으므로, 분석자에 따라 다양한 연구 결과값을 임의로 값을 적용하게 되어 합리성이 결여될 수 있다. 연구마다 연구조건, 시기, 지역 등의 연구 특성이 다르며, 각각의 연구들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져 교통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해 종합적인 결론을 끌어내는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도로안전시설이란 무엇인가? 도로안전시설이란 도로교통의 원활한 소통과 안전도를 높이고, 도로의 구조 상태를 보완하여 도로이용자에게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설치하는 시설물로 『도로의 구조 ․ 시설기준에 관한 규칙 제37조(구, 도로구조령 제32조)』에서는 “교통사고의 방지를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횡단보도육교, 교통안전표지, 방호울타리, 조명시설, 시선유도시설, 표지병, 도로반사경, 충격흡수시설 및 과속방지시설 등의 교통안전시설을 설치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도로교통상의 위험과 장애를 제거하고 안전하고 원활한 교통을 확보하기 위한 도로안전시설은 크게 차량방호안전시설, 교통관리안전시설, 시선유도 및 시인성 증진시설, 기타 안전시설로 구분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Abdel-Aty M. (2006), Crash Estimation at Signalized Intersections Along Corridor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1953, 98-111. 

  2. Chin H.C. (2003), Applying the Random Effect Negative Binomial Model to Examine Traffic Accident Occurrence at Signalized Intersections, Accident Analysis & Prevention, 35(2), 253-259. 

  3.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Hillsdale, NJ: Erlbaum, 66. 

  4. De Ceunynck T. (2011), Explanatory Models for Crashes at High-risk Locations, ICTCT, 1-17. 

  5. Elvik R. (1995), The Safety Value of Guardrails and Crash Cushions: A Meta-analysis of Evidence From Evaluation Studie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27(4), 523-549. 

  6. Elvik R. (1996), A Meta-analysis of Studies Concerning the Safety Effects of Daytime Running Lights on Cars, Accidnet Analysis and Prevention, 28(6), 685-694. 

  7. Elvik R. (1999), The Effects on Accidents of Studded Tires and Laws Banning Their Use: A Meta-analysis of Evaluation Studie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31(1), 125-134. 

  8. Erke A. (2009), A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Red-light Cameras on Crashe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41(6), 897-905. 

  9. Hauer E. (1997), Observational Before-After Studies in Road Safety, Pergamon Press, Elsevier Science Ltd. Oxford, England. 

  10. Hedges L. V., Olkin I. (1985), Statistical Methods for Meta-Analysis, Academic Press, Orlando, FL. 

  11. Huang H. (2006), Effect of Red Light Cameras on Accident Risk at Intersection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1969, 18-26. 

  12. Huang H. (2009), Empirical Evaluation of Alternative Approaches in Identifying Crash Hot spots: Naive Ranking Empirical Bayes and Full Bayes Method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2103, 32-41. 

  13. Hwang J. K. (1988), Theory and Methodology of Meta-Analysis, Journal of Sunggok NonChong, 19, 1-55. 

  14. Jackson G. B. (1980), Methods for Integrative Review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0, 438-460. 

  15. Jang D. H., Lee I. S. (2011), Historical Development of Meta-analysis as an Educational Research Methodology, The Journal of Curriculum & Evaluation, 14(3), 309-332. 

  16. Jin Y. A. (2014), Meta-analysis With STATA, Korea University Press(Seoul, Republic of Korea). 

  17. Jo Y. S., Kim H. (2001), Relationship Between Exposure to Air Pollutants and Aggravation of Childhood Asthma: A Meta-Analysi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17(5), 425-437. 

  18. Jung A. K. (2007), Meta-analysis on the Studies of Career Indecision and its Related Variables, Seoul National University, M.A. 

  19. Kim B. J., Han M. W. (1995), Effects of Mental Practice on Motor Performance in Korea: A Meta-analysis, Korean Journal of Sport Psychology, 6, 67-88. 

  20. Kim B. Y., Lee J. S. (2009), A Meta-Analysis of Variables Related to Suicidal Ideation in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9(5), 651-661. 

  21. Kim D. H., Lee D. M., Sung N. M. (2008), Analysis of Accident Data and Development of Traffic Accident Frequency Models at Rural Intersections, The 59th Conference of KST,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306-315. 

  22. Kim E. C. (2008), Development of Traffic Accident Frequency Model for Evaluating Safety at Rural Signalized Intersections, International J. Highw. Engineering, 10(4), 53-63. 

  23. Kim K. S. (2005), Analysis of Big Data and Meta, Hannarae(Seoul, Republic of Korea). 

  24. Kim T. Y. (2012), Prediction on the Accident Reduction Effects of the Red Light Cameras Installation, International J. Highw. Engineering, 14(6), 67-73. 

  25. Korea Transportation Safety Authority (2006), A Study of Safety Improvement Plan for Intersections. 

  26. Kumara S.S.P. (2003), Modeling Accident Occurrence at Signalized Tee Intersections With special Emphasis on Excess Zeros, Traffic Injury Prevention, 4, 53-57. 

  27. Kumara S.S.P. (2005), Application of Poisson Underreporting Model to Examine Crash Frequencies at Signalized Three-Legged Intersection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1908, 16-50. 

  28. Lee K. H. (2015), Development of Traffic Accident Models at Rural Signalized Intersections by Day and Night, International J. Highw. Engineering, 17(3), 107-115. 

  29. Lee S. H. (2015), A Study on Developing Crash Prediction Model for Urban Intersections Considering Random Effects,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14(1), 85-93. 

  30. Mitra S. (2012), On the Significance of Omitted Variables in Intersection Crash Modeling, Accident Analysis & Prevention, 49, 439-448. 

  31. Oh J. T. (2004), Development of Accident Prediction Models for Rural Highway Intersection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1897, 18-27. 

  32. Oh J. T. (2005), Development of Accident Prediction Models for Rural Signalized Intersection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ing, 25(1), 9-15. 

  33. Oh J. T., Kweon I., Hwang J. W. (2013), A Causation Study for Car Crashes at Rural 4-legged Signalized Intersections Using Nonlinear Regression and Structural Equation Methods, J. Korean Soc. Transp., 31(1),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65-76. 

  34. Oh S. S. (2002), Meta-analysis: Theory and Practice, Konkuk University Press(Seoul, Republic of Korea). 

  35. Orwin R. G. (1983), A Fail-Safe N for Effect Size in Meta-Analysis, Journal of Educational Statistics, 8(2), 157-159. 

  36. Park B. H., Yoo D. S., Yang J. M., Lee Y. M. (2008), Analysis of Accident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of Accident Models in the Signalized Intersections of Cheongju and Cheongwon, J. Korean Soc. Transp., 26(2),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35-46. 

  37. Park J. S., Kim T. Y., Yoo D. S. (2007), Correlation Analysis and Estimation Modeling Between Road Environmental Factors and Traffic Accidents, J. Korean Soc. Transp., 25(2),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63-72. 

  38. Park K. Y. (2006), Evaluation of Accident Reduction Effect of Road Safety Features and Development of Estimation Model for Accident Reduction Factors, University of Seoul, Ph.D. 

  39. Persaud (2001), Statistical Methods in Highway Safety Analysis: A Synthesis of Highway Practice,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73-74. 

  40. Poch M. (1996), Negative Binomial Analysis of Intersection-accident Frequencies,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Engineering, 122(2), 105-113. 

  41. Shapiro S. S., Wilk M. B. (1965), An Analysis of Variance Test for Normality(Complete Samples), Biometrika, 52(3/4), 591-611. 

  42. Song H. H. (1998), Meta-analysis, Cheong Moon Gak(Seoul, Republic of Korea). 

  43. Yoon Y. H. (2008), A Meta-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EWHA W. University, Ph.D.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