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근로자의 피로수준에 따른 직무 스트레스 및 삶의 질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tigue Level, Job Stress and Quality of Life for Workers 원문보기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24 no.4, 2015년, pp.372 - 380  

김윤영 (상명대학교 간호학과) ,  현혜순 (상명대학교 간호학과) ,  유종향 (한국한의학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ek way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workers by separating workers into the low fatigue group and the severe fatigue group depending on the level of fatigue level, and analyzing and understanding the difference between quality of life and job stress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근로자의 피로 수준에 따른 직무 스트레스 및 삶의 질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근로자의 피로 수준에 따른 직무 스트레스와 삶의 질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J시와 C시에 거주하고 있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근로자의 피로 수준에 따른 직무 스트레스와 삶의 질의 차이와 저 피로군과 중증 피로군 각각의 직무 스트레스와 삶의 질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개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근로자의 피로 수준을 구분하여 피로 수준에 따른 직무 스트레스와 삶의 질의 차이를 파악하고 피로 수준에 따른 직무 스트레스 및 삶의 질과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 여겨져 본 연구에서는 근로자의 피로 수준을 저 피로군과 중증 피로군으로 구분한 후 직무 스트레스 수준과 삶의 질의 차이를 파악함으로써 근로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 이러한 피로정도가 직무 스트레스 혹은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는 것은 향후 피로 정도의 예방 혹은 완화를 위한 중재 노력을 통해 근로자의 건강증진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전략 마련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특정 직업군을 국한하지 않고 근로자들의 피로수준을 저 피로군과 중증 피로군으로 구분하여 직무 스트레스, 삶의 질의 관계를 규명하고자하였다.
  • 연구대상은 한국한의학연구원에서 ‘의료수요자 중심의 건강증진을 위한 미병(未炳)관리 시스템 개발’을 위해 2012년 7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J시와 C시에 위치한 한방병원을 중심으로 공개 모집하여 특별한 질병이 없이 건강한 60명의 대상자와 피로 및 통증을 호소하는 120명의 대상자중 현재 직업을 가지고 있어 직무 스트레스 설문 작성이 가능한 115명을 대상으로 직무 스트레스, 피로, 삶의 질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수집 시 대상자 보호를 위해 한국한의 학연구원 연구심의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의 승인을 거쳤으며, 승인된 내용에 준하여 대상자에게 본 연구의 목적을 충분히 설명하고 서면 동의를 얻은 후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연구참여에 동의한 근로자들로부터 총 115부의 설문지가 수거되었으며, 이 중 일부 문항의 응답이 누락된 2부를 제외한 113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근로자들이 직무 스트레스에 많이 노출될 수밖에 없는 이유는? 직무 스트레스는 업무상 요구되는 사항들이 근로자의 능력이나 자원, 바램들과 일치하지 않을 때 생기는 유해한 신체적, 정신적 반응으로(Sauter, Murphy, Colligan, Swanson, Hurrell, Scharf et al, 1999), 오늘날 근로자들은 다양한 종류의 직업과 작업환경, 경쟁 속에서 끊임없는 적응능력이 요구되며, 이로 인한 심리적 압박감과 신체적 부담감으로 직무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다(Choi, Kim, & Kim, 1999). 특히 잦은 야근과 휴일근무로 인한 과도한 업무와 불규칙한 생활은 직장내 스트레스를 유발하게 되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잦은 연장근무와 휴일근무로 연 평균 근로시간이 2,071시간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이는 OECD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연 평균 근로시간이 1,671인 것을 감안한다면 400시간이나 많은 시간을 업무에 사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OECD, 2010). 또한 근로자의 직무 스트레스가 OECD 국가 평균 80%인데 반하여 한국 근로자들이 느끼는 직무 스트레스는 87%로 OECD 국가 중 최고 수준이라는 점(Kim, 2010)에서 우리나라 근로자들의 직무 스트레스에 대한 문제가 심각함을 알 수 있다.
직무 스트레스는 무엇인가? 직무 스트레스는 업무상 요구되는 사항들이 근로자의 능력이나 자원, 바램들과 일치하지 않을 때 생기는 유해한 신체적, 정신적 반응으로(Sauter, Murphy, Colligan, Swanson, Hurrell, Scharf et al, 1999), 오늘날 근로자들은 다양한 종류의 직업과 작업환경, 경쟁 속에서 끊임없는 적응능력이 요구되며, 이로 인한 심리적 압박감과 신체적 부담감으로 직무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다(Choi, Kim, & Kim, 1999). 특히 잦은 야근과 휴일근무로 인한 과도한 업무와 불규칙한 생활은 직장내 스트레스를 유발하게 되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잦은 연장근무와 휴일근무로 연 평균 근로시간이 2,071시간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이는 OECD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연 평균 근로시간이 1,671인 것을 감안한다면 400시간이나 많은 시간을 업무에 사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OECD, 2010).
피로란 무엇이며, 그 특징은 무엇인가? 피로는 현대 산업구조의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발생하는 복합적인 현상(Chang et al., 2005)으로, 근로자들이 호소하는 흔한 건강문제이며, 만성화되면 질병으로 인해 결근을 하게 되거나 직무를 수행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생산성 저하를 가져오고, 개인측면에서도 수입의 감소나 사회적 고립, 돌봄 요구 등의 증가를 가져오게 되는(Andrea, Kant, Beurskens, Metsemakers & Schayck, 2003) 중요한 문제이다. 특히, 근로자의 직무 스트레스와 피로는 신체적 건강문제 뿐만 아니라 우울 등의 정신적 건강문제와 매우 큰 연관성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삶의 질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Watanabe, Tanaka, Aratake, Kato, & Sakata,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ndrea, H., Kant, I. J., Beurskens, A. J. H. M., Metsemakers, J. F. M., & Schayck, C. P (2003). Associations between fatigue attributions and fatigue, health, and psychosocial work characteristics: A study among employees visiting a physician with fatigue.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60(1), i99-i104. 

  2. Cha, K. T., Kim, I. W., Kho, S. B., Hyun, S. J., Park, J. H., Park, J. G., et al (2008). The association of occupational stress with self-perceived fatigue in white collar employe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0(3), 182-192. 

  3. Chang, S. J., Koh, S. B., Kang, D., Kim, S. A., Chung, J. J., Lee, C. G., et al (2005). Fatigue as a predictor of medical utilization, occupational accident and sickness absenc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17(4), 318-332. 

  4. Choi, K. A., Jang, S. M., & Nam, H. W (2008). Current status of self-management and barriers in elderly diabetic patient. Korean Diabetes Journal, 32, 280-289. 

  5. Choi, M. S., Ji, D. H., & Kim, J. W (2012). Job stress level and it's related factors in fire-fighter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3(10), 4917-4926. 

  6. Choi, J. M., Kim, J. H., & Kim, S. Y (1999). Work stress and social support according to type of personality: A study of clerical workers. The Seoul Journal of Nursing, 13(2), 149-163. 

  7. Chung, K. I., & Song, C. H (2001). Clinical usefulness of fatigue severity scale for patients with fatigue, and anxiety or depression.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9(2), 164-173. 

  8. Faul, F., Erdfelder, E., Lang, A.-G., & Buchner, A (2007).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39, 175-191. 

  9. Jeon, E. S., Lee, K. S., Lee, S. Y., Yu, J. H., & Hong, A. R (2009).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quality of for hospital workers by type of employment.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1(1), 28-37. 

  10. Jung, Y. H (2010). The effect of health promotion on economic growth: A literature review.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162, 66-77. 

  11. Han, S. J., Yoon, O. S., Kwon, M. S., & Song, M. S (2011). Comparison of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of hospital nursing staff.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 55-64. 

  12. Kang, S. H., Yoo, H. I., Chung, S. H., & Kim, C. Y (2012). Eveningness, sleep patterns, daytime sleepiness and fatigue in Korean male adolescents.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19(2), 89-96. 

  13. Kim, A. K (2011). The study of Yangsaeng and fatigue in adult 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8(1), 79-86. 

  14. Kim, J. K (2010). Mediation effect of LMX qua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The Journal of Korea Contents Association, 10(11), 424-434. 

  15. Kim, K. S., Park, J., Park, B. Y., & Kim, S. G (2014). The effects of job stress with depression and fatigue of firemen. The Journal of Korea Contents Association, 14(3), 223-231. 

  16. Kim, S. D (2014). Relationships of job stress, fatigue & depression among one ship-building supply worker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5(5), 2789-2796. 

  17. Ko, D. S., Lee, D. J., & Ko, T. S (2013). Changes in job stress, self-efficacy, depression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degree of musculoskeletal symptoms for white-collar worker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4(6), 2935-2944. 

  18. Koh, S. B., Son, M. A., Kong, J. O., Lee, C. G., Chang, S. J., & Cha, B. S (2004). Job characteristics and psychosocial distress of atypical workers. Th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16(1), 103-113. 

  19. Krupp, L. B., LaRocca, N. G., Muir-Nash, J., & Steinberg, A. D. (1989). The fatigue severity scale. Application to patients with multiple sclerosis and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Formerly Archives of Neurology, 46(10), 1121-1123. 

  20. Kuper, H., Singh-Manousx, A., Siegrist, J., & Marmot, M (2002). When reciprocity fails: Effort-reward imbalance in relation to coronary heart disease and health functioning within the Whitehall II study. Occupational Environmental Medicine, 59(11), 777-784. 

  21. Lee, K. J., Heo, H. T., Kim, D. W., Kim, I. A., Kim, S. Y., Rho, J. R., et al (2009). The factors related to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HRQOL), and correlation between occupational stress and HRQOL among municipal fire officers in Incheon. Th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1(3), 267-275. 

  22. Lee, S. O., Ann, S. H., & Kim, M. O (2005). A study on women's fatigue and sleeping disturbance.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1(2), 163-168. 

  23. Lerdal, A., Wahl, A., Rustoen, T., Hanestad, B. R., & Moum, T. (2005). Fatigue in the general population: A translation and test of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Norwegian version of the fatigue severity scale. Scandinavian Journal of Public Health, 33(2), 123-130. 

  24. OECD (2010). Employment Outlook: Moving beyond the Jobs Crisis.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5. Park, S. P., Kwon, I. S., & Cho, Y. C (2011). Job stress and psychosocial factors and Its association with self perceived fatigue among white collar male worker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2(1), 301-311. 

  26. Park, S. P., Lee, D. B., Kwon, I. S., & Cho, Y. C (2010).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job stress and psychosocial factors on self perceived fatigue in white collar male workers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2(1), 48-57. 

  27. Park, J. S (2013).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sleep disorder, fatigue, job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in police shiftworkers. The Korean Association of Police Science Review, 15(3), 53-70. 

  28. Park, H. J., Kim, Y. Y., Park, K. H., Lee, S. W., & Yoo, J. H (2014). Correlation between fatigue and quality of life caused by stress of researchers' work.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3(3), 171-179. 

  29. Park, E. A., & Park, J. E (2011). The relation between the occupational stress and fatigue level of neonatal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3), 261-269. 

  30. Sauter, S., Murphy, L., Colligan, M., Swanson, N., Hurrell, J., Scharf, F., et al (1999). Stress at work. Cincinnati: DHHS(NIOSH) Publication, 99-101, 1-25. 

  31. Ware, J. E., & Sherbourne, C. D (1992). The MOS 36-item shortform health survey(SF-36). I. Conceptual framework and item selection. Med Care, 30(6), 473-483. 

  32. Ware, J. E., Kosinski, M., Turner-Bowker, D. M., & Gandek, B. (2002). How to score Version 2 of the SF-12 health survey (with a supplement documenting Version 1), Lincoln, RI: Qualitymetric Incorporated. 

  33. Watanabe, M., Tanaka, K., Aratake, Y., Kato, N., & Sakata, Y. (2008). The impact of effort-reward imbalance on quality of life among Japanese working men. Industrial Health, 46(3), 217-22. 

  34. Yang, K. I., Seo, I. K., Choi, Y. I., Park, J. K., Jeung, D. S., Park, H. G., et al (2010). The characteristics of sleep quality in patient with dizziness: preliminary study.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16(2), 256-260. 

  35. Yoon, S. H (2009). Occupational stress and depression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5(3), 463-470. 

  36. Yoon, J. W., Yi, K. J., Kim, S. Y., Oh, J. G., & Lee, J. T (2007). The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stress and musculoskeletal symptoms in call center employe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19(4), 293-3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