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전통시장 여성근로자 건강증진 프로그램 모형개발: 지역사회 참여형 연구틀 기반
Intervention Model Development of Health Promotion for Women Workers in Traditional Marketplaces: Using Community based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원문보기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24 no.4, 2015년, pp.381 - 391  

김희걸 (가천대학교 간호대학) ,  이연숙 (순천제일대학교 간호과) ,  황원주 (경희대학교 간호과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intervention model development of health promotion for women workers working in the traditional marketplace, using community capacity building framework. Methods: Need assessment of the target population, work-related environment investigatio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통시장 근로여성 건강관리를 위한 프로그램은 점포와 근접된 장소를 선택하거나 현장에서 바로 실천할 수 있는 짬짬이 실천전략 등 자발적이고 지속적인 모형구축을 위한 시도를 하였다.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운영은 여성건강증진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데(Lim, 2012; Park, Sung, & Lee, 2003) 시장에 적용 가능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운영을 위해서는 시장 관계자 및 상인의 인식향상과 지역사회 자원 개발, 건강관리실 확보, 건강리더 양성 등을 통한 지지기반 구축이 중요하므로(Kim et al.
  • 본 연구는 지금까지 접근하지 못했던 전통시장에서 일하는 여성의 지역사회 역량강화 모델을 이용하여 한국 전통시장 취약 여성 상인에 적합한 건강증진모형을 개발하였다. 전통시장에 내에 건강관리실을 설치하여 기본적인 인프라를 갖추고, 시장상인의 건강 및 작업환경 실태조사를 토대로 뇌심혈관질환 예방관리, 근골격계질환 예방관리, 정신건강관리로 구분하여 실행하였다.
  • 소그룹 건강증진활동은 특정한 건강증진 프로그램 효과만을 대상으로 하지는 않았고 뇌심혈관질환, 근골격계질환, 정신건강, 서로 경쟁관계로 인식하고 있는 상인 간 화합 등 전반 적인 건강증진 향상을 위한 통합적 목적으로 시행하였다. 시장 여성 상인의 요구도를 중심으로 요가와 라인댄스를 운영하였고 운영결과 소그룹 건강증진 활동 참여자는 비 참여자에 비하여 우울감소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라인댄스는 중성지방 저하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
  • 지역사회 역량강화를 위한 주요 전략은 Chaskin 등(2001)에 의하여 문제 중심보다는 강점이나 자산을 기반으로 한 접근, 파트너쉽 형성, 조직개발, 지역사회 조직화, 적극적 상황 유도 등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지역사회 기반 참여 연구틀에 맞춰서 지역사회 역량강화 전략을 이용하여 전통시장 근로 여성의 건강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모형 개발을 하였다. 먼저 지역사회 자원 및 자산을 파악하기 위한 시장 특성과 요구도를 파악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참여 연구 모델을 적용하여 전통시장 근로 여성을 대상으로 건강특성과 요구도에 적합한 건강증진 프로그램 실행을 통하여 건강증진 모형을 구축하여 전통시장 여성근로자의 건강증진에 기여하고자 한다.
  • 전통시장 근로여성의 건강증진에 적합한 모형 개발을 위하여 무엇보다도 건강증진에 대한 인식과 자원이 부족한 특성을 고려하여 건강시장 기반 조성을 위한 시도를 우선적으로 하였다. 전략으로 시장의 기존 네트워킹을 활용하여 시장 상인회와 건강관리 필요성 인식 공감, 프로그램 수행 동의, 제반 운영을 위한 협조체계를 구축하였으며 시장 내부 네트워크로는 대표 상인회, 판매 종류별 상인회, 건강증진활동 소그룹(요가활동 2개 그룹, 라인댄스 2개 그룹)을 구성하였으며 외부의 11개 기관 및 단체의 지역사회 자원 네트워크를 구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근로자 건강증진 사업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 우리나라에 건강증진 사업이 도입된 이래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건강증진 활동이 다양하게 추진되고 있고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건강증진 활동도 산업 구조의 변화에 따라 많은 발전을 해 오고 있다. 근로자 건강증진 사업은 산업초기 대규모 사업장을 중심으로 진폐증 등 직업병 예방이 주를 이루고 있었으나 최근에는 소규모 사업장에서 일하는 근로자의 건강관리와 직무 스트레스, 뇌심혈관질환 등 업무 관련성 질환이 증가하며 대한 건강관리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Ministry of Employment & Labor, MOEL, 2014).
전통시장에서의 여성근로자의 건강 문제가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여성의 사회진출이 증가하는 시점에서 여성근로자의 건강 문제는 점점 더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특히 전통시장은 여성 종사자가 많고, 이들 대부분이 중장년층으로 중년기 여성이 겪는 여러 가지 건강문제를 비롯하여 근로환경으로 인한 건강문제까지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시장 근로 여성에 대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은 거의 실행되지 않고 있으며 근골격계질환, 뇌심혈관질환 등 근로자의 주요 업무 관련성 질환에 대한 관리가 필요한 시점이다.
지역사회에서 건강증진 활동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지역사회에서 건강증진 활동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 자원연계(Kim, 2012)와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자발적 운영(Park, 2002) 및 활동지시자 개발(Hyun, 2012; Park, 1999), 임파원먼트 전략((Kim & Gu, 2011)과 같은 지역사회 지원체계 개발이 필요하다. 지역사회 기반 참여 연구 모델(community based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은 지역사회 역량강화를 통하여 주민들이 자신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에 참여하고 영향을 행사 지역사회 전체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변화에 영향을 행사하여 협력적인 파트너십 구축, 충분한 자원 확보, 지역사회 구성원들의 능동적 참여와 리더십을 통한 역량강화를 강조한다(Giachello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Campbell, M. K., Tessaro, I., DeVellis, B., Benedict, S., Kelsey, K., Belton, L., et al (2002). Effects of a tailored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female blue-collar workers: Health works for women. Preventive Medicine, 34(3), 313-323. http://dx.doi.org/10.1006/pmed.2001.0988 

  2. Chaskin, R. J., Brown, P., Venkatesh, S., & Vidal, A (2001). Building community capacity. New York: Aldin De Gruyter. 

  3. Cho, M. J., & Kim, K. H (1993). Diagnostic validity of the CES-D (Korean version) in the assessment of DSM-III-R major depression.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2(3), 381-399. 

  4. Giachello, A. L., Arrom, J. O., Davis, M., Sayad, J. V., Ramirez, D., Nandi, C., et al (2003). Reducing diabetes health disparities through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The Chicago Southeast Diabetes Community Action Coalition. Public Health Reports, 118(4), 309-323. 

  5. Gumi Community Health Center, Health City Project Report of Gumi City. 2013:61-83. 

  6. Hwang, W. J., & Hong, O (2012). Work-relate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using a socioecological approach: Implications for practice and research. European Journal of Cardiovascular Nursing, 11(1), 114-126. 

  7. Hyun, S. H (2012). The effect of health leader program for middle age women in Seoul city. Korea Institute for Health & Society, 32(4), 551-576. 

  8. Jung, H. S (2000). Foot habit for career woman.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9(2), 169. 

  9. Kim, K. J, Cha, Y. N., Lim, H. K., & Jang, H. S (1999). An effect of health promotion program on mild-life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9(3), 541-550. 

  10. Kim, H. J (2015). Emotional labor and health among working women. Ewha Journal of Gender and Law, 7(1), 33-50. 

  11. Kim, H. G., Mam, H. K., & Lee, Y. J (2011). Study on health behaviors by a risk level of metabolic syndrome among petty merchants in traditional markets. Korean Academic Society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3), 328-336. 

  12. Kim, H. S., & Gu, M. O (2011). Effects of community health promotion project for garlic cultivating farmers based on selfefficacy theory and community capacity building framework. Journal of Korean Academic Nursing, 41(1), 80-91. http://dx.doi.org/10.4040/jkan.2011.41.1.80 

  13. Kim, K. R (2014). The study of Work- Family Compatibility and subjective health state of female office work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stitute of Asian Woman of Sookmyung woman's University, Seoul. 

  14. Kim, K. S., Hong, C. W., Lee, D. K., & Jung, B. W (2009). Factors affecting musculoskeletal symptoms of manufacturing workers. Journal of Korean 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19(4), 390-403. 

  15. Kim, M. A (2001). Psychoneuroimmunological effect so fa health management program for middle-aged women with low back pain.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5(1), 29-42. 

  16. Ministry of Employment & Labor (MOEL), 2014. Analysis of Industrial Accident, 5-13. 

  17. Kim, M. J (2012). Study on the case management practices in community children's center -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community resource linkage. Social Science Research Institute Kyungsung University, 28(4), 409-428. 

  18. Kim, S. Y (2007). The development of a structural model on works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women workers.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8(4), 624-633. 

  19. Kim, Y. M., Jung, H. S., Lee, S. Y., Kim, S. L., Kim, S. Y., & Lee, K. J (2006). A survey of workplace health promotion activities and their health promotion program needs.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7(2), 195-209. 

  20. Karhu, O., Kansi, P., & Kuorinka, I (1977). Correcting working postures in industry: A practical method for analysis. Appl Ergon, 8(4), 199-201. 

  21. Lim, S. A (2012). A study on the effects of a yoga program on improving mental and physiological health of lower income bracket females. Korea Arts Psychotheraphy Association, 8(4), 21-50. 

  22. Na, J. Y., Kim, J. S., Joo, S. Y., Ku, G. H., Chun, S. J., Jung, O, W, et al (2014). The case of chronic disease management by applying the PAOT. Symposium of Korean Occupational Health and Environmental Medicine. 53th: 177-178. 

  23.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NIOSH) (1993). NIOSH Health Hazard Evaluation Report, NIOSH Report. PB 93-188-456. 

  24. Paek, S. O (2006). Effect of yoga exercise program on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in Middle-Aged Women. Korea Coaching Development Center, 8(1), 185-197. 

  25. Park, J. Y (2011). A study on health status of the medically disadvantaged children and the effect of the community network: on the cases of beautiful life-love, Busan National University. 2 DDC: 362.1 21. 

  26. Park, H. S., Sung, M. H., & Lee, Y. M (2003). Effects of health management program on body composition, self-efficacy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middle-aged wome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oman Health Nursing, 9(2), 152-160. 

  27. Park, J. H (1999). Program development of health promotion nursing activiry in community,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0(2), 291-306. 

  28. Park, J. S (2005). Are cerebrovascular and cardiovascular a disease among employees work-related. Korean Occupational Health and Environmental Medicine, 17(4), 288-296. 

  29. Park, J. S (2002). The effect of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health behavior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 in middle age woma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aemyung University, Daegu. 

  30. Radloff, L. S (1977).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3), 385-401. 

  31. Scott, G. B., & Lambe, N. R (1996). Working posture in a perchery system, using the OVAKO Working posture Analysing System(OWAS). Applied Ergonomics, 27(4), 281-284. 

  32. Third report of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NCEP).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Adult Treatment Panel III). Final report(2002). Circulation, 106, 314-421. 

  33. Yeun, S. N (2001). Test of the new health promotion model for the prediction of female employees' health promotion behavior at the manufacturing plants. The Journal of Korea Community Nursing, 12(3), 557-569. 

  34. Yl, K. H (2013).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labor force participation rate and work environment of female workers.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28(5), 78-8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