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Hexaazatrinaphthylene 유도체를 정공 주입층으로 사용한 고효율 녹색 인광 OLEDs
Efficient Green Phosphorescent OLEDs with Hexaazatrinaphthylene Derivatives as a Hole Injection Layer 원문보기

공업화학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v.26 no.6, 2015년, pp.725 - 729  

이재현 (국립한밭대학교 창의융합학과) ,  이종희 (한국전자통신연구원 OLED 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s)는 높은 효율, 안정성, 신물질 개발과 같은 연구들을 바탕으로 차세대 디스플레이 및 조명으로써의 높은 기술력과 학문적 발전을 달성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hexaazatrinaphthylene (HAT) 유도체들을 OLEDs 소자의 정공주입층으로 사용하여 제작된 고효율의 녹색 인광 OLEDs 소자의 특성을 연구하였다. Indium Tin Oxide (ITO)전극과 정공수송층 사이에 삽입된 박막의 HAT 유도체층은 $1,000cd/m^2$의 구동 조건에서 OLEDs 소자의 외부양자효율을 기존의 8.8%에서 13.6%로, 전류효율을 30.8 cd/A에서 47.7 cd/A로 각각 향상시켰다. 삽입된 HAT 유도체층은 발광층 내부에서 최적화된 전자-정공의 균형을 이루게 하여 소자의 효율 향상에 기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s) are regarded as the next generation display and solid-state lighting due to their superb achievements from extensive research efforts on improving the efficiency and stability of OLEDs in addition to developing new materials. Herein, efficient green phosphoresc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는 다양한 HAT 유도체들을 인광 OLEDs 소자의 HIL로 적용하여 그 특성을 평가하였다. HAT-Cl6와 HAT-F6를 적용한 OLEDs 소자의 외부양자효율은 각각 1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HIL의 정공주입 메커니즘은 어떠한 정공 주입을 가능케 하였는가? 이러한 HIL의 정공주입 메커니즘은 HIL과 HTL 층간의 계면에서의 전하의 분리 및 HTL의 HOMO 에너지 준위로의 정공 이송, HIL의 LUMO 에너지 준위로의 전자 이송의 단계를 거치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8-9]. 이러한 새로운 개념의 정공 주입 메커니즘은 HIL과 전극 일함수 사이의 정공 주입장벽을 극복하여 주입되는 기존의 field-assisted thermionic charge injection 메커니즘과는 다른 방식의 정공 주입을 가능하게 하였다[10-11]. 하지만 음극으로부터 주입되는 전자와 정공이 균형된 비율을 이루기 위해서는 이러한 HIL들이 다양한 LUMO 준위를 가지고 있어야 다양한 소자의 구조에 따라 소자의 효율적인 구동이 가능할 수 있게 된다.
전이금속 산화물이나 1,4,5,8,9,11-hexaazatriphenylene hexacarbonitrile (HAT-CN)과 같은 HIL이 OLED 소자 제조에 관해 보여준 가능성은 무엇인가? 전이금속 산화물이나 1,4,5,8,9,11-hexaazatriphenylene hexacarbonitrile (HAT-CN)과 같은 HIL은 새로운 개념의 정공주입 메커니즘을 바탕으로 높은 효율의 OLEDs 소자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6-7]. 이러한 HIL의 정공주입 메커니즘은 HIL과 HTL 층간의 계면에서의 전하의 분리 및 HTL의 HOMO 에너지 준위로의 정공 이송, HIL의 LUMO 에너지 준위로의 전자 이송의 단계를 거치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8-9].
HIL의 정공주입 메커니즘은 어떠한가? 전이금속 산화물이나 1,4,5,8,9,11-hexaazatriphenylene hexacarbonitrile (HAT-CN)과 같은 HIL은 새로운 개념의 정공주입 메커니즘을 바탕으로 높은 효율의 OLEDs 소자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6-7]. 이러한 HIL의 정공주입 메커니즘은 HIL과 HTL 층간의 계면에서의 전하의 분리 및 HTL의 HOMO 에너지 준위로의 정공 이송, HIL의 LUMO 에너지 준위로의 전자 이송의 단계를 거치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8-9]. 이러한 새로운 개념의 정공 주입 메커니즘은 HIL과 전극 일함수 사이의 정공 주입장벽을 극복하여 주입되는 기존의 field-assisted thermionic charge injection 메커니즘과는 다른 방식의 정공 주입을 가능하게 하였다[1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K.-H. Kim, S. Lee, C.-K. Moon, S.-Y. Kim, Y.-S. Park, J.-H. Lee, J. W. Lee, J. Huh, Y. You, and J.-J. Kim, Phosphorescent dye-based supramolecules for high-efficiency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Nat. commun., 5, 4769 (2014). 

  2. S.-Y. Kim, W.-I. Jeong, C. Mayr, Y.-S. Park, K.-H. Kim, J.-H. Lee, C.-K. Moon, W. Brutting, and J.-J. Kim,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with 30% External Quantum Efficiency Based on a Horizontally Oriented Emitter, Adv. Funct. Mater., 23, 3896-3900 (2013). 

  3. E. Forsythe, M. Abkowitz, and Y. Gao, Tuning the Carrier Injection Efficiency for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J. Phys. Chem. B, 104, 3948-3952 (2000). 

  4. J.-H. Lee and J.-J. Kim, Interfacial doping for efficient charge injection in organic semiconductors, Phys. Status Solidi A, 209, 1399-1413 (2012). 

  5. K. Walzer, B. Maennig, M. Pfeiffer, and K. Leo, Highly Efficient Organic Devices Based on Electrically Doped Transport Layers, Chem. Rev., 107, 1233-1271 (2007). 

  6. L. Liao and K. P. Klubek, Power efficiency improvement in a tandem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ppl. Phys. Lett., 92, 223311 (2008). 

  7. J.-H. Lee, S. Lee, J.-B. Kim, J. Jang, and J.-J. Kim, A high performance transparent invert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with 1,4,5,8,9,11-hexaazatriphenylenehexacarbonitrile as an organic buffer layer, J. Mater. Chem., 22, 15262-15266 (2012). 

  8. S. Lee, J.-H. Lee, J.-H. Lee, and J.-J. Kim, The Mechanism of Charge Generation in Charge-Generation Units Composed of p Doped Hole-Transporting Layer/HAT-CN/n-Doped Electron-Transporting Layers, Adv. Funct. Mater., 22, 855-860 (2012). 

  9. K. S. Yook, S. O. Jeon, and J. Y. Lee, Efficient hole injection by doping of hexaazatriphenylene hexacarbonitrile in hole transport layer, Thin Solid Films, 517, 6109-6111 (2009). 

  10. Y.-K. Kim, J. W. Kim, and Y. Park, Energy level alignment at a charge generation interface between 4,4′-bis(N-phenyl-1-naphthylamino) biphenyl and 1,4,5,8,9,11-hexaazatriphenylene-hexacarbonitrile, Appl. Phys. Lett., 94, 063305 (2009). 

  11. S. M. Park, Y. H. Kim, Y. Yi, H.-Y. Oh, and J. W. Kim, Insertion of an organic interlayer for hole current enhancement in inverte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 Appl. Phys. Lett., 97, 063308 (2010). 

  12. S. Barlow, Q. Zhang, B. R. Kaafarani, C. Risko, F. Amy, C. K. Chan, B. Domercq, Z. A. Starikova, M. Y. Antipin, and T. V. Timofeeva, Synthesis, ionisation potentials and electron affinities of hexaazatrinaphthylene derivatives, Chem. -Eur. J., 13, 3537-3547 (2007). 

  13. B. R. Kaafarani, T. Kondo, J. Yu, Q. Zhang, D. Dattilo, C. Risko, S. C. Jones, S. Barlow, B. Domercq, and F. Amy, High Charge-Carrier Mobility in an Amorphous Hexaazatrinaphthylene Derivative, J. Am. Chem. Soc., 127, 16358-16359 (2005). 

  14. C. Falkenberg, K. Leo, and M. K. Riede, Improved photocurrent by using n-doped 2,3,8,9,14,15-hexachloro-5,6,11,12,17,18-hexaazatrinaphthylene as optical spacer layer in p-i-n type organic solar cells, J. Appl. Phys., 110, 124509 (2011). 

  15. F. Selzer, C. Falkenberg, M. Hamburger, M. Baumgarten, K. Mullen, K. Leo, and M. Riede, Improved organic p-i-n type solar cells with n-doped fluorinated hexaazatrinaphthylene derivatives HATNA-F6 and HATNA-F12 as transparent electron transport material, J. Appl. Phys., 115, 054515 (2014). 

  16. Y. E. Kim, H. Park, and J. J. Kim, Enhanced quantum efficiency in polymer electroluminescence devices by inserting a tunneling barrier formed by Langmuir-Blodgett films, Appl. Phys. Lett., 69, 599 (1996). 

  17. T. Yokoyama, D. Yoshimura, E. Ito, H. Ishii, Y. Ouchi, and K. Seki, Energy Level Alignment at Alq3/LiF/Al Interfaces Studied by Electron Spectroscopies: Island Growth of LiF and Size-Dependence of the Electronic Structures, Jpn. J. Appl. Phys., 42, 3666-3675 (2003). 

  18. Q.-T. Le, E. W. Forsythe, F. Nuesch, L. J. Rothberg, L. Yan, and Y. Gao, Interface formation between NPB and processed indium tin oxide, Thin Solid Films, 363, 42-46 (2003). 

  19. C. Adachi, M. A. Baldo, M. E. Thompson, and S. R. Forrest, Nearly 100% internal phosphorescence efficiency in a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J. Appl. Phys., 90, 5048-5051 (2001). 

  20. R. Meerheim, S. Scholz, S. Olthof, G. Schwartz, S. Reineke, K. Walzer, and K. Leo, Influence of charge balance and exciton distribution on efficiency and lifetime of phosphorescent 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J. Appl. Phys., 104, 014510 (2008). 

  21. W. S. Jeon, T. J. Park, S. Y. Kim, R. Pode, J. Jang, and J.-H. Kwon, Ideal host and guest system in phosphorescent OLEDs, Org. Electron., 10, 240-246 (2009). 

  22. J. Li, Z. Si, C. Liu, C. Li, F. Zhao, Y. Duan, P. Chen, S. Liu, and B. Li, Highly efficient phosphorescent 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based on Re(CO)3Cl-bathophenanthroline, Semicond. Sci. Tech., 22, 553-556 (2007). 

  23. C.-B. Moon, W. Song, M. Meng, N. H. Kim, J.-A. Yoon, W. Y. Kim, R. Wood, and P. Mascher, Luminescence of Rubrene and DCJTB molecules i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J. Lumin., 146, 314-320 (2014). 

  24. S. H. Kim, J. Jang, and J. Y. Lee, High efficiency phosphorescent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using carbazole-type triplet exciton blocking layer, Appl. Phys. Lett., 90, 223505 (2007). 

  25. S. H. Kim, J. Jang, and J. Y. Lee, Relationship between host energy levels and device performances of phosphorescent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with triplet mixed host emitting structure, Appl. Phys. Lett., 91, 083511 (2007). 

  26. J. Y. Kim, N. H. Kim, J. W. Kim, J. S. Kang, J.-A. Yoon, S. I. Yoo, W. Y. Kim, and K. W. Cheah, Enhancement of external quantum efficiency and reduction of roll-off in blue phosphorescent organic light emitt diodes using TCTA inter-layer, Opt. Mater., 37, 120-124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