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료급여 사례관리 관련 국내 연구동향
Trends of Research on the Case Management of Medicaid Beneficiaries in Korea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29 no.3, 2015년, pp.412 - 425  

김순옥 (신한대학교 간호학과) ,  조정현 (인제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trend in research by analyzing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case management of Medicaid an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Methods: Thirty three studies conducted from January 2003 to June 2015 were analyzed according to character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의료급여 사례관리가 저소득층의 건강관리를 위한 서비스체계로 확고히 자리매김 하고, 전문적인 간호중재로 거듭날 수 있도록 지금까지 수행된 의료급여 사례관리에 대한 연구논문을 분석하여 불필요한 반복연구를 피하고, 선행연구로부터 더 정련되고 확장된 후속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여 향후 의료급여 사례관리사업 발전 및 간호학 분야에서의 연구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2003년부터 2015년까지 이루어진 의료급여 사례관리 관련 연구들을 분석하여 연구동향을 살펴봄으로써 후속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 의료급여 사례관리사업의 발전을 도모하고자 시도되었다. 분석 논문은 총 33편으로 연구자에 의해 개발된 객관화된 분석틀에 따라 연구 대상, 연구 방법, 측정변수, 그리고 연구주제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수행된 의료급여 사례관리와 관련된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기 위한 문헌분석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의료급여 사례관리에 대한 국내 연구들을 분석하여 의료급여 사례관리사업의 발전을 도모하고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의료급여 사례관리제도가 실시된 2003년부터 최근까지 이루어진 의료급여 사례관리 관련 선행연구들을 분석, 종합하여 의료급여 사례관리 영역의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의료급여 사례관리사업 및 후속 연구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료급여 사례관리는 어떻게 노력해왔는가? 지금까지 의료급여 사례관리는 의료급여 수급권자들을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사업취지에 맞게 효과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측면에서 제도적 변화를 꾀하는 등 지속적으로 노력해왔다(Ahn, 2010). 먼저 소수 과다의료이용자(고위험군) 중심의 사례관리에서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2007년부터 텔레케어 사례관리 사업을 도입하여 2.
소수 과다의료이용자에게 적용되는 의료급여 사례관리의 예는? 지금까지 의료급여 사례관리는 의료급여 수급권자들을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사업취지에 맞게 효과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측면에서 제도적 변화를 꾀하는 등 지속적으로 노력해왔다(Ahn, 2010). 먼저 소수 과다의료이용자(고위험군) 중심의 사례관리에서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2007년부터 텔레케어 사례관리 사업을 도입하여 2.2%의 개입범위에서 58.6%로 확대하였고, 과다 의료이용자뿐만 아니라 과소 의료이용자(예방군)를 사전 발굴하여 건강위험을 사전에 차단하는 예방적 서비스 제공을 통해 불필요한 의료이용형태로 이어지는 악순환 구조를 개선하였다(Ahn, 2010). 또한 수급권자의 의료이용행태가 외래이용에서 입원이용으로 옮겨가면서 외래 대비 입원 의료이용으로 인한 의료비가 상대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불필요한 장기입원에 대한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2010년부터 장기입원자 대상 사례관리를 실시하여(Ministry of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MHWF], 2010), 그간 수급권자의 의료이용 중심 사례관리에서 방향을 전환하여 의료제공자에 대한 관리도 실시하는 등 보다 다양한 방법으로 접근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비용효율적인 양질의 보건의료서비스 제공되는 배경은? , 2007), 영국(Challis, 1993), 캐나다(Forchuk, Ouwerkerk, Yamashita, & Martin, 2002) 등의 선진국을 비롯하여 이미 많은 국가들이 국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증가하는 의료비를 통제하기 위해 사례관리를 시행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보건의료서비스에 대한 국민의 관심 증대, 인구의 고령화 및 질병구조의 만성화에 따른 의료비 상승, 전국민 건강보험 실시에 따른 국민의 의료수요 증가 등으로 비용효율적인 양질의 보건의료서비스 제공이 요구되면서, 보건의료서비스의 질적 측면 및 비용 효과적 측면에서 사례관리 접근법에 관심을 두기 시작하였다(Choi, Kim, Kim, & Yang, 2007). 같은 맥락에서 의료급여제도 영역에서도 수급권자 관리 및 보장성 강화의 일환으로 2003년부터 사례관리를 도입하여 시행해 오고 있다(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OHW],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hn, Y. H. (2010). Effects of medicaid case management program and its policy directions. Korean Journal of Care Management, 5, 67-84. 

  2. Ahn, Y. H. (2014). Effects of an integrated case management program on medication adherence, pain, physical function and depression among Korean medical aid beneficiaries with osteoarthriti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8(1), 32-45. http://dx.doi.org/10.5932/JKPHN.2014.28.1.32 

  3. Ahn, Y. H., Kim, E. S., Ham, O. K., Kim, S. H., Kim, S. O., & Song, M. K. (2012). Validation of a needs assessment tool for case management in Korean medical aid beneficiar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2(4), 549-558. http://dx.doi.org/10.4040/jkan.2012.42.4.549 

  4. Ahn, Y. H., Song, A. R., Ham, O. K., Kim, C. O., Jung, J. A., Bae, I. J., Choi, S. H., Kim, S. O., & Song, M. K. (2011). Development of case management intervention for effective medicaid case management.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stitute for Health and Welfare, & Yonsei University. 

  5. Brown, R., Peikes, D., Chen, A., Ng, J., Schore, J., & Soh, C. (2007). The evaluation of the Medicare coordinated care demonstration: findings for the first two years. Princeton, New Jersey: Mathematica Policy Research, Incorporated. 

  6. Challis, D. (1993). Case management in social and health care: lessons from a United Kingdom program. Journal of Case Management, 2, 79-90. 

  7. Cho, J. H., Kim, S. O., Song, M. K., & Yim, E. S. (2012).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case management in elderly medicaid beneficiaries by geographic location.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6(2), 289-302. http://dx.doi.org/10.5932/JKPHN. 2012.26.2.289 

  8. Choi, A. S., Kim, M. H., Kim, S. O., & Yang, S. J. (2007). An analysis of nursing research trends about case management published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21(2), 252-261. 

  9. Choi, J. M. (2011). Job analysis of medical care client managers based on DACUM.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3), 299-307. http://dx.doi.org/10.5807/kjohn.2011.20.3.299 

  10. Choi, J. M., Oh, J. J., & Lee, H. J. (2008). A study of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medical aid client manag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7(2), 146-154. 

  11. Choi, Y. A. (2011). The effects of tele-care case management health care benefits. Collection of Dissertations of Kimcheun Science College, 37, 83-91. 

  12. Chung, S. D. (2005). Case management in social work practice. Seoul: Hakjisa. 

  13. Forchuk, C., Ouwerkerk, A., Yamashita, M., & Martin, M. L. (2002). Mental health case management in Canada: job description analyses. Issue in Mental Health Nursing, 23, 477-496. http://dx.doi.org/10.1080/01 612840290052659 

  14. Kim, C. & Lim, S. J. (2014). Trend analysis of experimental research papers on community health nursing: based on research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989-2012.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5(2), 146-157. http://dx.doi.org/10.12799/jkachn.2014.25.2.146 

  15. Kim, S. H., Nam, W. K., Lee, H. S., & Ryu, H. S. (2007). The conditions of non-regular jobs and solutions on the transfer from non-regular jobs to regular jobs in the public sector. Seoul: Environment and Labor Committee & Korean Contingent Workers' Center. 

  16. Lee, E. O., Lim, N. Y., Park, H. A, Lee, I. S., Kim, J. Y., Bae, J. Y., & Lee, S. M. (2009). Nursing research and statistic analysis. Paju: Soomoonsa. 

  17. Lee, H. J., Oh, J. J., & Choi, J. M. (2010). Comparison of case management between Tele care regions and general care regions in Korean medicaid.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6(4), 381-388. 

  18. Lee, I. S. & Kim, D. K. (2006).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medicaid case management program. Journal of Korean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8(1), 39-66. 

  1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Guideline for medicaid program in 2015. Sejong: Author. 

  20. Ministry of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2010). Guideline for medicaid program in 2010. Seoul: Author. 

  21. Oh, J. J. (2009). On the job experiences of medical aid manag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8(1), 84-97. 

  22. Oh, J. J. (2010). Outcome of a pilot project on case management service for medical aid cl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24(1), 61-70. 

  23. Park, C. S., Song, J. H., Choi, J. H., & Park, M. E. (2011). The prevailing issues on the definition of case management in Korea. Social Science Research, 20(2), 1-16. 

  24. Park, E. J. & Kim, C. M. (2008). Case management process identified from experience of nurse case manag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6), 789-801. 

  25. Rhee, W. H. (2006). Developing a case management strategies program for a Korean medical aid cli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26. Shin, Y. S., Shin, H. W., & Hwang, D. K. (2007). Effectiveness of case management for medicaid I.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7. Shin, Y. S., Shin, H. W., & Hwang, D. K. (2008). Effectiveness of case management for medicaid II.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8. Song, M. K. & Yoo, E. K. (2015). Influencing factors on the work performance competence of medicaid case managers.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5(1), 211-242. 

  29. Yom, Y. H., Yee, J. A., & Ko, J. W. (2002). The effect of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limate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8(4), 605-6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