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돌발홍수 지수를 이용한 북한 홍수 위험도 평가 - 임진강 유역을 중심으로 -
An Assessment of Flooding Risk Using Flash Flood Index in North Korea - Focus on Imjin Basin -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48 no.12, 2015년, pp.1037 - 1049  

곽창재 (국립재난안전연구원) ,  최우정 (국립재난안전연구원) ,  조재웅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북한의 대규모 자연재난은 홍수와 태풍 그리고 집중호우로 인한 수해피해가 대부분이며 이러한 피해는 1990년대 중반부터 해마다 북한의 경제난을 악화시키고 있다. 북한 당국도 수해피해의 심각성을 인식하여, 1990년대 말부터 하천정리, 농경지 복구, 토지정리사업, 조림사업 등을 실시하였으나, 계속되는 수해피해를 막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상습적으로 발생하는 북한의 홍수피해에 대한 위험도를 산정하기 위해 일반적인 위험도 평가과정은 동일하게 유지하되 대외적으로 수문자료 취득이 힘들고 지형자료가 공개되지 않은 미계측지역이라는 유역특성을 반영하여 강우-유출에 대한 모의를 추가적으로 실시하였다. 또한, 위험도 평가는 국제기구(IPCC)의 기준에 따라 홍수에 대한 위험성과 노출성, 취약성 인자들을 선정하여 홍수 위험도를 판단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ost of natural disasters that occur in North Korea are flood, typhoon and damage from heavy rain. The damage caused by those disasters since the mid-1990s is aggravating North Korea's economic difficulties every year. By recognizing the seriousness of the damages from the floods, the North Ko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남북한 공유하천으로 유역의 상당부분이 미계측지역인 임진강의 홍수 위험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고자 국제기준에 제시하는 위험도를 평가 방법에 따라 홍수에 대한 위험성, 노출성, 취약성 지표를 추출한 것이다. 각 지표의 선정 및 추출 방법은 해당 유역의 기상학적 요소와 인문·사회학적 요소의 통계자료를 사용하였으며 가용자료의 변동성과 유역의 여건에 따라 적합한 자료를 중심으로 활용하였다.
  • 본 연구는 유역의 63% 가량이 북한지역으로 구성되어 있고 수문자료의 취득이 힘들고 지형공간에 대해 완전 공개되지 않은 미계측지역인 임진강 유역에 대해 홍수 위험도를 검토한 것이다. 홍수 위험도의 산정은 국제기준 방식을 이용하였고 미계측지역의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홍수 위험성은 유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돌발홍수에 대한 지수를 산정하고, 노출성과 취약성은 인문·사회학적 통계자료로 활용하였다.
  • 북한 전체에 대한 홍수 위험도를 산정하기에 앞서 모니터링 우선순위에서 시범지역으로 선정한 임진강 유역에 대한 홍수 위험도를 산정해 보았다. 홍수 위험도는 표준화된 홍수 위험성, 노출성, 취약성 지표를 바탕으로 엔트로피 가중치가 부여된 값에 산술평균을 취하여 산정하였으며, 확률강우량의 빈도와 지속기간별로 Fig.
  • 홍수 노출성과 취약성 지표는 Table 3과 같이 수집된 인문·사회학적 통계자료의 활용가능성을 평가해 보았다.

가설 설정

  • (2006)도 2년 빈도의 유량을 강턱유량으로 제시한 바 있다. 따라서, 임진강 유역과 같은 미계측지역에서 한계유량에 해당하는 강턱유량은2년 빈도 홍수유량으로 가정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돌발홍수란? 돌발홍수는 짧은 시간동안에 많은 강우가 집중될 때 주로 경사가 급한 계곡에서 많이 발생하며 강우가 계곡의 하천으로 모여 수위가 급상승하게 되면 흐름의 앞부분에 큰 파가 형성되어 계곡을 따라 하류로 순식간에 흘러가는 것과 같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때 수중에 흙이나 자갈, 바위가 포함된 토석류를 형성하여 피해를 가중시킬 수 있다.
돌발홍수가 발생하는 원인은? 이때 수중에 흙이나 자갈, 바위가 포함된 토석류를 형성하여 피해를 가중시킬 수 있다. 돌발홍수가 발생하는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대개는 제한된 지역에 집중된 호우로 발생하거나, 비구름이 정체되거나 그 부근에서만 움직이는 게릴라성 호우나 태풍 등에 의한 높은 강도의 호우 때문에 발생하며 댐 파괴나 제방붕괴 등의 최악의 홍수피해를 발생시키기도 한다(Jung, 2000).
지표의 표준화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 (2005)은 지표의 표준화 방법들을 분류하여 각 표준화 방법에 대한 비교를 통해 특징을 설명하였다. 가장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표준화 방법에는 Z-Score 방법과 Rescaling 방법이 있다. Z-Score 방법은 원점수의 상대적 위치를 알려주는 표준점수의 일종으로 원점수의 평균은 0, 표준편차는 1이 되도록 만드는 방법으로서 통계학적으로 표준정규분포의 의미를 가지는 Z 값은 정규분포의 평균 μ와 임의의 값 x사이의 실제 차이를 표준편차 σ의 배수로 표현한 상대적인 가치 척도이며 Eq.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Bhaskar, N.R., French, B.M., and Kyiamah, G.K. (2000). "Characterization of flash floods in Eastern Kentucky."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ASCE, Vol. 5, No. 3, pp. 327-331. 

  2. CRED(Centre for Research on the Epidemiology of Disasters), http://www.cred.be/ 

  3. Dury, G.H. (1961). "Bankfull discharge: an example of its statistical relationships."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Scientific Hydrology Bulletin, Vol. 6, No. 3, pp. 48-55. 

  4. FEMA(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2011). National flood insurance program: Flood insurance manual. Washington, DC., USA. 

  5. GTK(Geological Survey of Finland). (2006). Project 1.3.1: The spatial effects and management of natural and technological hazard in general and in relation to climate change. Final Report, European Spatial Planning Observation Network. 

  6. Ham, D.H., Joo, J.G., Jun, H.D., Kim, J.H. (2008). "Study on Derivation of Fourth-Order GIUH and Revision of Initial State Probability." Journal of the Kore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1, No. 2, pp. 229-239. 

  7. Henderson, F.M. (1961). "Stability of alluvial channels." Journal of Hydraulics Division-ASCE, Vol. 87, pp. 109-138. 

  8. Hey, R.D. (1994). "Restoration of gravel-bed rivers: Principles and practice." Natural Channel Design: Perspectives and Practice, Canadi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ambridge, Ont., pp. 157-173. 

  9. IFRC(International Fedeation of Red Cross and Red Crescent Societies), http://www.ifrc.org/ 

  10. Im, C.S., Lee, J.H., Kim, T.H., Lee, J.C., and Yoon, S.E. (2006). "A dominant discharge estimate for channel characteristics quantity survey." Proceedings 2006 Annual Conference, KWRA, pp. 66-71. 

  11. Jain, A., Nandakumar, K., and Ross, A. (2005). "Score normalization in multimodal biometric systems." Pattern Recognition, Vol. 38, pp. 2270-2285. 

  12. Jo, D.J., Son, I.O., Choi, H.I., (2013). "Development of a New Flood Index for Local Flood Severity Predictions." Journal of the Kore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8, No. 1, pp. 47-58. 

  13. Jung, J.C. (2000). "The study on estimation of the flash flood index for the Bo-chunRiverbasin." MS. Thesis, Suwon University, Korea. 

  14. Kim, B.S., and Kim, H.S. (2008). "Estimation of the Flash Flood Severity using Runoff Hydrograph and Flash Flood Index." Journal of the Kore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1, No. 2, pp. 185-196. 

  15. Kim, E.S., Choi, H.I., and Jee, H.K. (2010). "Estimation of the flash flood index by the probable rainfall data for ungauged catchm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Hazard Mitigation, Vol. 10, No. 4, pp. 81-88. 

  16. Kim, E.S., Choi, H.I., Lee, D.E., and Kang, D.J. (2009). "Estimation of the flash flood severity using flash flood index."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9, No. 6, pp. 125-131. 

  17. Kim, E.S., Jang, H.Y., Kim, S.D., Park, M.S., and Choi, H.I. (2012). "Analysis of rainfall-flood severity relations in small ungauged catchm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2, No. 2, pp. 199-208. 

  18. Kim, J.H., and Kim, Y.H. (2003). "Improving potential flood damage." Proceedings 2003 Annual Conference, KSCE, pp. 2373-2378. 

  19. Kron, W. (2003). Flood riskhazard $\times$ exposure $\times$ vulnerability. Flood Defence, Edited by Wu et al., Science Press, New York. N.Y., pp. 82-97. 

  20. Lee, H.C., and Lee, E.T. (2003). "A study on the channel forming discharge estimation and the hydraulic geometry characteristics of the alluvial stream." Journal of the Kore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36, No.5, pp. 823-838. 

  21. Leopold, L.B. (1994). A view of the river. Harvard University Press, Cambridge, MA, USA. 

  22. McCall, W.A. (1923). "Science of Education."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Vol. 7, No. 5, pp. 384-396. 

  23. Merabtene, T., Yoshitani, J., and Kuribayashi, D. (2004). Managing Flood and Water-related Risks: A challenge for the future. AOGS 2004 Joint 1st Annual Meeting & 2nd APHWConference, Singapore, pp. 1-8. 

  24. MLTM(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01). "Water vision 2020." 

  25. Ologunorisa, E.T. (2004). "An assessment of flood vulnerability zones in the Niger Delta."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Studies, Vol. 61, No. 1, pp. 31-38. 

  26. Park, S.Y., Lee, Y.G., and Kim, S.W. (2010). "Flood Damage of North Korea and Prevention Masure." Proceedings 2010 Annual Conference, KWRA, pp. 1867-1872. 

  27. Riley, A.L. (1998). Restoring streams in cities : a guide for planners, policy makers and citizens. Island press, Washington, D.C., USA. 

  28. Rodriguez-Iturbe, I., and Valdes, J. (1979) "The Geomorphologic Structure of Hydrologic Response."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15, No. 6, pp. 1409-1420. 

  29. UNDP(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2004). "Reducing disaster risk : A challenge for development." New York, NY., USA. 

  30. UNISDR (United Nations International Strategy for Disaster Reduction). (2004). Living with risk : A global review of disaster reduction initiatives. Geneva. Swiss. 

  31. UNISDR (United Nations International Strategy for Disaster Reduction). (2009). 2009 UNISDR Terminology on Disaster Risk Reduction. 

  32. Wi, S.W., Chung, G.H., and Kim, T.W. (2008). "Development of a Comprehensive Flood Index through Standardizing Distributions of Runoff Characteristics." Journal of the Kore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1, No. 6, pp. 605-617. 

  33. Williams, G.P. (1978). "Bankfull discharge of river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14, No. 6, pp. 1141- 115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