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 내 방문간호사의 직무분석
Job Analysis of the Nurses Who Work in Customized Visiting Health Care Services using DACUM Technique 원문보기

근관절건강학회지 =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v.22 no.3, 2015년, pp.205 - 218  

남혜경 (가천대학교 간호대학) ,  조경숙 (가천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visiting nurses' job using Developing a curriculum (DACUM). Methods: The DACUM committee with 6 visiting nurses participated in the workshop. In this workshop, the visiting nurses role was defined and their duties and tasks were identified. After co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DACUM기법으로 맞춤형방문보건센터 내 방문간호사의 직무를 기술하고, 중요한 임무와 작업을 파악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다양한 연구방법을 적용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방문간호사의 직무분석을 위해 DACUM 직무분석기법을 이용하여 임무와 작업을 도출하고, 연구자들의 워크숍과 설문지를 이용하여 도출된 임무와 작업에 대한 타당성을 확보하였으며, 중요한 임무와 작업을 확인하기 위해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 본 연구는 방문보건센터의 방문간호사의 직무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직무분석은 조직을 합리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인적자원관리 절차 중 매우 중요하고 필수적인 기초 작업이다. 본 연구에서는 맞춤형 방문건강관리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문간호사의 직무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DACUM 기법을 이용하여 방문보건센터 방문간호사들의 직무를 규명하였다.
  • 직무분석은 직원들이 실제 수행해야 할 과업, 임무 및 책임이 무엇인가를 확인하고 구체화하며, 조직하고 명시하는 과정이다(Ignatavicius & Griffith, 1982). 본 연구에서는 방문보건센터 내 방문간호사의 정의와 임무와 작업내용을 규명하는 과정을 말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와는 달리 방문보건센터 방문간호사의 확대된 업무와 간접간호업무를 모두 포함한 직무 전체를 파악하기 위하여,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을 수행하는 방문간호사의 직무를 DACUM 기법을 이용하여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맞춤형 방문보건센터의 간호사의 직무를 파악하는데 문헌고찰이 아니라 그 분야의 직무에 대해 가장 잘 알고 있는 현장전문가들이 패널로 참여하여 현장에서 필요한 실무 중심의 분석을 할 수 있는 developing a curriculum(DACUM)기법이라는 직무분석방법을 사용하여(Kim, Kim, & Kang, 2008) 방문간호사의 직무에 대한 분석을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방법으로 시행하고자 한다.
  •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와는 다르게 보건소내 방문간호사의 직무를 임상전문가인 방문간호사가 직접 분석에 참여하여 나온 결과를 제시하여 현장을 잘 반영하는 방문간호사의 직무를 제시하였다고 하겠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건소 방문간호사의 업무에 급격한 변화는 어떻게 진행되었는가? 2007년 노인장기요양보험법에 의한 장기요양급여가 시작되면서 퇴원 환자의 질병추후관리 업무가 보건소 방문간호사의 업무에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상의 재가급여 방문간호사에게 이관됨에 따라 보건소 방문간호사의 업무에 급격한 변화가 진행되었다. 보건소 방문간호서비스는 장기요양급여 대상자를 제외한 지역사회의 건강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지역과 대상에 따른 맞춤형 실무와 사례관리 뿐만 아니라 보건소 부서간 및 지역사회 내 보건복지 연계 등을 강조하는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으로 발전하게 되었다(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ffairs [MHW], 2014).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이 보건소에 소속된 방문보건센터를 중심으로 민관 협동 하에 효율적으로 전개되기 시작하면서 보건소에서 제공하던 방문간호사업의 한계인 인력부족 및 서비스의 질 저하라는 단점을 보완할 수 있게 되었다. 
지역사회 간호서비스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된 배경은? 노인인구의 증가, 수명 연장에 따른 만성질환자의 증가는 질병 위주의 보건의료정책에 변화를 가져와 지역사회 간호서비스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이러한 배경 하에 시작된 우리나라 방문간호서비스는 1995년 “보건소는 가정 ‧ 사회복지시설 등을 방문하여 보건의료사업을 수행”하도록 규정한 지역보건법 제9조 제12호에 의거하여 보건소의 정규간호사가 방문 진료 시 동반 방문하는 형태의 소극적 방식으로 실시하기 시작하여, 2003년에는 14개의 대도시를 중심으로 환자와 가족에게 직접간호, 교육, 사례관리 등을 제공하는 대도시 방문보건 시범사업으로 전개되었다(Korean Society for Customized Visiting Health Care [KSCVHC], 2013).
대도시 방문보건 시범사업의 내용은? 노인인구의 증가, 수명 연장에 따른 만성질환자의 증가는 질병 위주의 보건의료정책에 변화를 가져와 지역사회 간호서비스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이러한 배경 하에 시작된 우리나라 방문간호서비스는 1995년 “보건소는 가정 ‧ 사회복지시설 등을 방문하여 보건의료사업을 수행”하도록 규정한 지역보건법 제9조 제12호에 의거하여 보건소의 정규간호사가 방문 진료 시 동반 방문하는 형태의 소극적 방식으로 실시하기 시작하여, 2003년에는 14개의 대도시를 중심으로 환자와 가족에게 직접간호, 교육, 사례관리 등을 제공하는 대도시 방문보건 시범사업으로 전개되었다(Korean Society for Customized Visiting Health Care [KSCVHC], 2013). 이와는 별도로 병원을 중심으로 추후관리서비스 차원에서 도입된 가정간호사제도는 6년의 시범사업을 거쳐 2001년부터 본격적으로 입원대체서비스로 제공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Cho, K. S., Kang, H. S., Kim, J. H., Son, H. M., Han, H. J., Sung, Y. H., et al. (2008). Job description of the nurses working in outpatient department by DACUM technique.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4(2), 31-45. 

  2. Cho, K. S., Son, H. M., Kang, H. S., Kim, J. H., Lim, N. Y., Yoon, K. S., et al. (2008). Job description of the nurses who work in operating room using DACUM techniqu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Nursing, 15(4), 566-577. 

  3. Cho, Y. H., Park, I. H., Ko, J. E., Choi, H. J., An, O. H., Kim, H. K., et al. (2014). Community health nursing. Seoul: Hyunmoonsa. 

  4. Ignatavicius, D., & Griffith, J. (1982). Job analysis: The basis of effective appraisal.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July-August, 37-41. 

  5. Kang, H. S., Son, H. M., Lim, N. Y., Cho, K. S., Kwon, S. B., Yi, Y. J., et al. (2012). Job analysis of clinical research coordinators using the DACUM proces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2(7), 1027-1038. http://dx.doi.org/10.4040/jkan.2012.42.7.1027 

  6. Kim, H. S., Kim, S. K., & Kang, J. S. (2008). The study on education course for exercise instructors for dementia by DACUM job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8(2), 357-375. 

  7. Kim, M. H. (2009). Roles of visiting nurses defined based on longterm care insurance regulation for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23(2), 232-250. 

  8. Kim, P. O. (2005). DACUM handbook. Daejeon: Institute of Research in Technology Education, Chungnam University Publisher. 

  9. Lee, I. S., & Im, K. S. (2007). The strategies for expanding delivery system of tailored visiting health care for each clients. Seoul: College of Nurs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ffairs. 

  10. Lee, M. K. (2010). Job identification of home visiting nurses based on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elderly program.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11. Liebel, D. V., Friedman, B., Watson, N. M., & Powers, B. A. (2009). Review of nurse home visiting interventions for community-dwelling older persons with existing disability. Medical Care Research and Review, 66(2), 119-146. 

  1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ffairs. (2013). Data of inspection of state administration. Seoul: Author. 

  1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ffairs. (2014). Guidebook for 2014 community integrated health promotion program. Sejong: Author. 

  14. Norton, R. (1997). DACUM handbook(2nd ed.). Columbus, OH: The Ohio State University. 

  15. Park, I. H. (2010). Employment status and satisfaction of visiting professionals. Seoul: The Korean Society for Customized Visiting Health Care. 

  16. Park, J. S., & Oh, Y. J. (2014). An analysis on performance of visiting health care services by general characteristics of visiting nurse in public health center. Journal of Digital Convertgence, 12(12), 381-393. 

  17. Polit, D. F., & Beck, C.T. (2006). The content validity index: Are you sure you know what's being reported? Critique and recommendations. Research in Nursing & health, 29, 489-497. 

  18. Seo, Y. J., Nam, M. R., & Ahn, O. H. (2005). A study on the type of role awareness for medical institutions home health care specialist: A Q-methodological approac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6(3), 320-328. 

  19. Shin, K. R., Ju, S. K., Jung, D. Y., Kim, H. Y., Kim, B. H., Yang, S. J., et al. (2003). The development of certificates criteria and curriculum in home healthcare nurse specialist progra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3(3), 395-404. 

  20. Song, M. S., & An, O. H. (2009). Estimation of optimal workload for the visiting nurses of customizing health care through the job analysis.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ffairs. 

  21. Sung, Y. H., Lim, N. Y., Park, K. O., Jung, J. H., Kwon, I. G., Kim, U. S., et al. (2009). Job analysis for role identification of clinical nurses with expanded role - Clinical nurse with education and clinical nurse with coordination.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5(2), 139-155. 

  22. Korean Society for Customized Visiting Health Care. (2013). Understanding and perspectives of customized visiting health care. Seoul: ONE. 

  23. Tull, K. B., & Carroll, R. M. (2004). Advanced practice nursing in home health. Home Health Care Management & Practice, 16(2), 81-88. 

  24. Yang, S. J., Shin, K. R., Kim, O. S., Kim, H. Y., Kim, K. H., Kim, E. H., et al. (2004). Analysis of time taken for visiting nursing activities by visiting nurses. Journal of Korean Community Nursing, 15(2), 177-18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