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육교직원의 지지가 초임유아교사의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s of Self Leadershi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Support and Beginning Early Childhood Teachers' Role Performance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1 no.6, 2015년, pp.199 - 219  

김정희 (경동대학교 유아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초임유아교사의 역할수행, 셀프리더십, 보육교직원의 지지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전국의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491명의 초임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한 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사회적 지지 질문지(이재영, 2012), 역할수행 질문지(박복매, 2011)와 셀프리더십 질문지(박동현, 2014)를 사용하였다. 결과처리를 위해 빈도분석, 신뢰도 검증, ANOVA 검증, $Scheff{\acute{e}}$의 사후검증분석,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초임유아교사의 보수와 학력, 연령에 따른 보육교직원의 지지, 역할수행, 셀프리더십은 각각 집단 간 유의차가 있었다. 기관유형에 따른 보육교직원의 지지와 역할수행은 집단 간 유의차가 있었으나 셀프리더십에서는 집단 간 유의차가 없었다. 둘째, 셀프리더십이 보육교직원의 지지와 초임유아교사의 역할수행 간에 부분 매개역할을 하고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초임유아교사의 개인변인을 고려하여 역할수행과 셀프리더십을 높일 수 있는 방안과 원장이나 동료교사의 실질적인 지원을 촉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beginning early childhood teachers' role performance and self leadership, and childcare teachers's support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91 beginning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acros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초임유아교사가 지각한 보육교직원의 지지와 셀프리더십을 역할수행의 예측변인들로 선정하여 이들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보다 정확히 규명하고자 한다. 더불어 보육교직원의 지지와 초임유아교사의 역할수행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함께 근무하는 구성원들의 지지와 교사 자신의 셀프리더십은 초임유아교사가 맡은 역할을 적절히 수행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둘째, 보육교직원의 지지가 초임유아교사의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셀프리더십이 매개하는가?
  • 이러한 선행연구의 한계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에서 만 1년 이하의 경력을 가진 현직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개인변인에 해당하는 보수나 학력, 연령, 기관유형에 따른 보육교직원의 지지와 역할수행, 셀프리더십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초임유아교사가 지각한 보육교직원의 지지와 셀프리더십을 역할수행의 예측변인들로 선정하여 이들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보다 정확히 규명하고자 한다. 더불어 보육교직원의 지지와 초임유아교사의 역할수행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 본 연구는 초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개인변인에 따른 보육교직원의 지지와 역할수행, 셀프리더십의 차이를 알아보고, 보육교직원의 지지가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셀프리더십이 매개하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에 대해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최근에는 포괄적인 유아교사의 역할수행이 강조되고 있는데, 정보 관리자, 반성적 실천가, 유아의 권리옹호자, 교사 교육자로서의 역할이 중시되고 있다(김정희, 최미경, 최윤진, 2013). 본 연구에서는 박복매(2011)의 연구를 기초로 유아교사의 역할수행을 교육 및 교수활동과 상담 및 정서적 지원, 보육 및 기본생활지도, 연구 및 반성적 실천, 관련 역할 측면에서 다루고자 한다. 관련 선행연구들을 보면 최현미, 김성민, 권정심, 이경옥(2009)은 교사의 역할수행과 정서지능, 조직풍토, 직무만족이 관련 있는 변인임을 밝혔다.
  • 본 연구에서는 초임유아교사가 인지한 보육교직원의 지지가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에서 셀프리더십이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회귀분석을 통해 변인들 간의 매개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독립변인과 매개변인, 종속변인 간의 상호상관이 유의해야 한다.
  • 위와 같이 선행연구들을 분석한 결과, 유아교육현장에서 초임유아교사들의 역할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변인들 가운데 보육교직원의 지지와 교사의 셀프리더십 변인은 돌봄 및 교육의 특성을 가진 유아교육을 효과적으로 실천하기 위해서 중요한 변인으로 고려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경력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와 타 분야에서 이루어진 연구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선행연구의 한계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에서 만 1년 이하의 경력을 가진 현직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개인변인에 해당하는 보수나 학력, 연령, 기관유형에 따른 보육교직원의 지지와 역할수행, 셀프리더십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초임유아교사가 지각한 보육교직원의 지지와 셀프리더십을 역할수행의 예측변인들로 선정하여 이들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보다 정확히 규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아교육기관의 특징은? 유아교육기관은 다른 교육기관과 달리 조직구조가 단순하며 기관 특성상 가정과 학교의 특징을 동시에 요구하기 때문에(조인숙, 2005) 교사가 안정적으로 역할수행에 전념할 수 있도록 하는 근저에는 개인의 심리적 특징과 인적 물적 환경으로서의 직무환경이 중요한 기능을 한다. 특별히 교사로서 초임기에 있는 경우 직전교육을 마치고 교직이라는 새로운 환경에서 여러 어려움에 직면하며, 현장에서 직무와 관련 있는 여러 사람들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적응해 간다.
유아교육기관 초임 교사에게 나타나는 부정적인 특징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특별히 교사로서 초임기에 있는 경우 직전교육을 마치고 교직이라는 새로운 환경에서 여러 어려움에 직면하며, 현장에서 직무와 관련 있는 여러 사람들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적응해 간다. 초임 유아교사들은 자신의 교수행위와 능력에 대한 확신의 부족으로 불안감과 두려움을 느끼며, 심리적인 위축감을 보인다(조운주, 최일선, 2004). 임진형(2000)에 의하면 초임교사는 학생지도, 학부모와 동료와의 관계, 행정가와의 교류, 시간의 부족, 교수활동, 과다한 업무, 사회적 지지의 부족 등으로 인해 많은 어려움을 당한다.
유아 교육기관의 초임교사들이 느끼는 어려움의 원인은? 초임 유아교사들은 자신의 교수행위와 능력에 대한 확신의 부족으로 불안감과 두려움을 느끼며, 심리적인 위축감을 보인다(조운주, 최일선, 2004). 임진형(2000)에 의하면 초임교사는 학생지도, 학부모와 동료와의 관계, 행정가와의 교류, 시간의 부족, 교수활동, 과다한 업무, 사회적 지지의 부족 등으로 인해 많은 어려움을 당한다. 학급경영의 측면에서는 수업자료의 부족, 지식 및 교수기술의 부족으로 유아의 생활지도, 문제행동 지도, 유아와의 상호작용 등에서 어려움과 갈등을 경험하며(백은주, 2006), 대인관계 면에서는 부모나 영유아와의 관계에서 갈등을 느끼며, 원장의 기대나 동료교사들의 평가 때문에 어려움에 부딪힌다(조혜진,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3)

  1. 곽현주 (2004). 수업반성과정과 유치원 교사의 교수행동.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 고영자 (2007). 유아교사의 교직부합성과 사회적 지지에 따른 교사의 조직몰입 및 역할수행.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 구지애 (2011). 사립유치원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자기지도성.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김민정 (2007). 대학생의 셀프리더십 개발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변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5. 김세일 (2011). 교사의 셀프리더십과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김수자 (2006). 셀프리더십 훈련 프로그램이 유아교육기관 교사들의 셀프리더십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김옥주 (2012). 영아반 초임교사의 직무수행을 돕는 교사교육프로그램 모형 개발. 신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8. 김인영 (1994). 초임교사의 직무수행에 영향을 주는 준거집단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김정희, 문혁준 (2010). 국공립과 사립 유치원교사의 조직효과성에 대한 사회인구학적 변인 및 임파워먼트의 영향 비교. 아동학회지, 31(2), 69-83. 

  10. 김정희, 이용주, 김동춘 (2014). 보육교사의 역할수행과 원장의지지, 소진의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5), 175-190. 

  11. 김정희, 최미경 (2013). 보육교사의 개인변인, 정서노동, 직무소진의 관계. 생태유아교육연구, 12(2), 51-68. 

  12. 김정희, 최미경, 최윤진 (2013). 초임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원장 및 동료교사의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7(5), 209-227. 

  13. 김진영, 성원경 (2012). 유치원교사의 셀프리더십과 전문성 인식과의 관계 연구. 직업교육연구, 31(2), 123-140. 

  14. 김현미 (2013). 유치원교사의 셀프리더십과 직무만족도의 관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5. 김현지 (2010). 유치원 교사의 자기지도성과 배경변인 및 직무만족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문혁준, 안효진, 김경회, 김영심, 김정희, 김혜연, 배지희, 서소정, 이미정, 이희경, 조혜정, 한민경 (2011). 보육교사론. 서울: 창지사. 

  17. 박동현 (2014).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이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도에 미치는 영향,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박복매 (2011). 보육교사의 역할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내외통제성, 직무환경, 정서지능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9. 박성남 (2009). 예비 보육교사와 현직 보육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과 역할수행. 순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박지원 (1985). 사회적 지지 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1. 박향숙 (1995). 유치원 교사의 역할지각과 역할수행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2. 백은주 (2006). 유치원 초임교사의 어려움과 교사 자아개념 및 조직풍토와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26(2), 27-47. 

  23. 서윤희, 조부경 (2012). 매개변인으로서의 개인 내적 변인을 고려한 유치원 교사의 자기지도성(Self-Leadership)과 직무태도 간 구조분석. 유아교육연구, 32(6), 217-242. 

  24. 서현주 (2006). 어린이집 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교사효능감과의 관련성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5. 신미숙 (2010). 유치원 교사의 자기지도성과 조직몰입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6. 오선영, 강병재 (2001). 유아교사의 역할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역할수행 간의 차이. 열린유아교육연구, 6(2), 69-93. 

  27. 윤성은 (2013).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이 전문성 수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셀프리더십의 조절효과.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8. 이 경 (2002). 유치원 교사와 보육교사의 전문성과 역할수행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9. 이란희 (2012). 초등학교 교사의 셀프리더십과 직무만족도의 관계 : 서울시 초등학교 교사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0. 이세나, 이영석 (2006). 보육교사의 효능감과 역할수행능력 인식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3(1), 25-54. 

  31. 이승연 (1993). 유아교사발달단계에 기초한 유치원 교사의 관심사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2. 이윤경 (1999). 유치원 교사의 갈등관리유형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교육학연구, 37(3), 365-383. 

  33. 이재영 (2012).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회복탄력성,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조직몰입 간의 관계.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4. 이태평 (2001). 유치원 원장의 지도성 유형에 따른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5. 임진형 (2000). 유치원 초임교사의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6. 장영숙, 김현미 (2013). 유치원 기관유형별 교사의 셀프리더십과 직무만족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0(4), 335-360. 

  37. 장제익 (2009). 체육교사의 셀프리더십과 조직헌신 및 직무만족과의 관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8. 전보겸 (2015). 사회적 지지 및 개인적 변인이 중학생의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9. 정정희 (2012).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과 교수실제의 관계. 동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40. 조병남 (2010). 청소년 교육을 위한 교사의 셀프 리더십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포럼, 9(3), 151-171. 

  41. 조부경, 서윤희 (2011). 셀프리더십 교육활동이 예비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및 교직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16(6), 93-115. 

  42. 조운주, 최일선 (2004). 사립 유아교육기관 초임교사들의 갈등 및 안정에 대한 이해. 유아교육연구, 24(1), 71-94. 

  43. 조인숙 (2005). 보육서비스 질과 보육시설 조직문화의 관계 분석.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44. 조혜진 (2003). 사립유치원 교사의 역할자각과 역할수행정도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5. 조혜진 (2007). 영아반 초임교사들의 어려움과 적응에 대한 이해. 유아교육학논집, 11(2), 237-262. 

  46. 주연희 (2004). 유아교육기관 신임교사의 역할수행 관계 변인의 영향 분석.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47. 최현미, 김성민, 권정심, 이경옥 (2009). 유아교사의 역할수행과 관련 변인들 간의 구조모형 분석: 교사의 정서지은, 조직풍토, 직무만족도를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13(6), 323-343. 

  48. 한유진 (2009). 시간 연장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역할수행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9. Armstrong, L. J., Kinney, K. C., & Clayton, L. H. (2009). Getting started: Leadership opportunities for beginning early childhood teachers. Dimensions of Early Childhood, 37(3), 11-17. 

  50.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y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Research, 51(6), 1173-1182. 

  51. Burden, P. R. (1983). Implications teacher career development: New roles for teachers, administrators. Action in Teacher Education, 4(4), 21-25. 

  52. Fuller, F. F., & Brown, O. H. (1975). Becoming a teacher. In K. Ryan (Ed.), Teacher education(seventy-fourth year-book of the 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education, partII)(pp. 25-52).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53. Ho, J., & Nesbit, P. L. (2009). A refinement and extension of the self-leadership scale for the chinese context.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24(5), 450-476. 

  54. House, J. S. (1981). Work stress and social support. Massachusetts: Addison-Wesley. 

  55. Huling-Austin, L. (1990). Teacher induction programs and internship. In R. Houston, & J. Sikula (Eds.),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er education. New York: Macmillan. pp. 535-548. 

  56. Katz, L. G. (1985). Research current: Teacher as learners. Language Arts, 62(7), 778-782. 

  57. Manz. C. C. (1986). Self-leadership toward an expanded theory of self-influence process in organization.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1(3), 585-600. 

  58. Manz, C. C. (1998). Mastering self-leadership: Empowering yourself for personal excellence.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59. Manz, C. C., & Sims, H. P. (1980). Self-management as a substitute for leadership: A social learning theory perspectiv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5(3), 361-367. 

  60. Marshall, G., Kiffin-Petersen, S., & Soutar, G. (2012). The influence personality and leader behaviour have on teacher self-leadership in vocational colleges. Educational Management Administration and Leadership, 40(6), 707-723. 

  61. Sarason, B. R., Shearin, E. N., & Sarason, I. G. (1987). Interrelations of social support measure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2(4), 813-832. 

  62. Schwarzer, R., & Nina, K. (2007). Functional roles of social support within the stress and coping process: A theoretical and empirical over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logy, 42(4), 243-252. 

  63. Tankersley, A. A. (2010). Discovering curriculum concerns of beginning early childhood teachers. Childhood Education, 86(5), 293-29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