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아교사의 스트레스 대처방안과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nfant Teacher's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on Intention to Change Jobs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1 no.3, 2015년, pp.45 - 62  

김정희 (경동대학교 유아교육과) ,  신시연 (가톨릭대학교 아동가족학 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영아교사의 스트레스 대처방안과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강원도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156명의 영아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한 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스트레스 대처방안 질문지(박창순, 2005), 이직의도 질문지(안재현, 2014)와 원장의 감성리더십 질문지(구자영, 2012)를 사용하였다. 결과 처리를 위해 빈도분석, 신뢰도 검증,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아교사의 문제중심 대처방안 및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높아질수록 이직의도가 낮아졌다. 또한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높게 발휘될수록 영아교사의 스트레스 대처방안 가운데 문제중심 대처방안과 사회적 지지 추구가 높아졌다. 둘째, 영아교사의 문제중심 대처방안은 이직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째, 원장의 감성리더십은 영아교사의 이직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영아교사의 이직의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교사의 스트레스 대처방안과 원장의 감성리더십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infant teachers'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on intention to change job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56 infant teachers working in child care centers in Gangwon-do province. A Stress coping strategies q...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어린이집 영아교사의 스트레스 대처방안과 원장의 감성리더십, 이직의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함을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156명의 영아교사를 대상으로 스트레스 대처방안과 원장의 감성리더십, 이직의도를 조사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 Hess와 Bacigalupo(2010)는 감성리더십을 구성원들의 감성을 인식하고 관리하며 공감을 통한 긍정적 관계를 형성하여 조직에 영향력을 발휘하는 행위라고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원장의 감성리더십을 구자영(2012)의 연구에 근거하여 자신의 감정을 명확히 인식하는 자기인식능력과 자신의 감정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자기관리능력, 타인의 감정을 명확히 인식하는 사회적 인식능력, 사회적 관계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관계관리능력 등 4가지 차원에서 보고자 한다.
  •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만 0세부터 만 2세까지의 영아를 어린이집에서 보육하고 있는 교사를 영아교사로 선정하여, 영아교사가 지각한 스트레스 대처방안과 원장의 감성리더십, 이직의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영아교사의 스트레스 대처방안과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영아보육의 주체가 되는 영아교사의 이직률을 낮추는 방안을 구체적으로 탐색해 봄으로서 영아들에게 안정적 애착을 형성시키고 영아보육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초정보를 주고자 한다. 더불어 영아교사의 이직의도를 낮출 수 있는 측면 중 하나로 원장의 감성리더십을 긍정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영아교사의 효과적인 스트레스 대처 능력을 돕기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정보를 제공하려는데 본 연구의 필요성을 둔다.
  • 그러나 교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타 분야에서 수행된 연구와 전체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많으나 영아와의 개별 상호작용을 통해 각 개인의 발달과 학습을 촉진해야 하는 영아교사에 초점을 둔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만 0세부터 만 2세까지의 영아를 어린이집에서 보육하고 있는 교사를 영아교사로 선정하여, 영아교사가 지각한 스트레스 대처방안과 원장의 감성리더십, 이직의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영아교사의 스트레스 대처방안과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영아보육의 주체가 되는 영아교사의 이직률을 낮추는 방안을 구체적으로 탐색해 봄으로서 영아들에게 안정적 애착을 형성시키고 영아보육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초정보를 주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부모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자녀양육이 한계를 가지기 시작한 것은 어떤 원인때문인가? 가족구조의 변화와 기혼여성의 취업증가 등 사회적 변화에 따라 가정에서 부모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자녀양육은 한계를 가지기 시작하였고, 가정 이외의 교육기관 및 전문가에게 교육을 받는 연령은 하향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상황가운데 영아보육에 대한 어린이집의 수요는 증가하고 있다(김미영, 정옥분, 2014).
어린이집에서 양질의 보육서비스를 유지하기 위해 무엇이 형성되어야 하는가? 발달 특성상 개인차가 큰 시기이며, 일상생활에서의 반복적 경험을 통해 주변의 사람과 환경에 대해 탐색하고 알아가는 시기인 영아의 발달특징을 고려했을 때, 영아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양질의 보육서비스가 어린이집에서 제공되어야 함이 강조된다. 양질의 보육서비스를 유지하기 위해 구조적 측면에서는 학급규모, 교사의 자격 및 경력 수준, 영유아와 교사의 비율 등을 적절히 갖추어야 하고, 과정적 측면에서는 영유아에 대한 교사의 반응, 즉 적절한 상호작용이 형성되어야 한다(보건복지부, 2013). 이 중 가장 핵심적인 요인은 보육교사의 전문적인 능력과 인성적인 자질이라 볼 수 있다(Barbour & Lash, 2009).
이직의도란? 영아기는 안정적 애착을 형성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데 영아교사의 잦은 이직률은 영아의 정서적 안정과 발달을 도모하고 질 높은 보육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저해요소로 작용하여 영아들에게 또는 그들의 부모들에게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보육교사의 이직의도는 타분야에 비해 높다는 보고들이 있는데(최은경, 2013), 여기서 이직의도란 조직의 구성원을 포기하고 조직으로부터 보상을 받는 개인자격을 종결하고 현 직장에서 떠나려는 의도로 정의된다(Mottaz, 1988). 즉, 조직구성원의 자발적인 의지로 조직을 떠나려는 의도로서 직장을 옮기고 싶다는 생각, 같은 직장에서라도 직종을 바꾸고 싶다는 의지 등으로 현재 자신이 하고 있는 일에서 벗어나고 싶은 정도를 의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2)

  1. 구자영 (2012).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효능감과의 관계. 한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김미라 (2004). 기관 특성과 개인적 특성에 따른 소진이 유아 교사의 이직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 김미영, 정옥분 (2014). 영아전담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교사민감성에 관한 연구: 환경변인 및 개인변인을 중심으로. 인간발달연구, 21(2), 75-96. 

  4. 김복란 (2012). 초등학교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관계연구.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김정희 (1987). 지각된 스트레스, 인지세트 및 대처방식의 우울에 대한 작용: 대학신입생의 스트레스 경험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6. 김정희 (2015). 초임유아교사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1), 191-208. 

  7. 김진아 (2010). 보육교사의 직무 만족도와 이직의도와의 관계연구: 평택지역을 중심으로.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박창순 (2005). 초등학교 교사의 내외통제성과 직무 스트레스 대처전략과의 관계.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배종애 (2009). 시설장의 리더십이 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배현정 (2012). 수술실 간호사가 경험하는 언어폭력, 직무스트레스,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을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보건복지부 (2013). 2013 어린이집 평가인증 안내. 보건복지부. 

  12. 서정은 (2013). 직장어린이집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서지영 (2002). 유치원교사의 이직의도에 관한 이론적 모형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4. 서현, 송선화 (2010). 유아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조직효과성과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30(4), 145-169. 

  15. 소병만 (1998). 유치원교사의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송은경 (2011). 원장의 감성리더십, 유아교사의 역할갈등, 교사효능감과 조직몰입 간의 인과적 관계.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신경희 (2014). 감성리더십이 직무스트레스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국어대학교 정치행정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심숙영 (1999). 유아교사의 이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유아교육연구, 19(2), 5-22. 

  19. 안재현 (2014). 보육교사가 지각한 민간어린이집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여윤경 (2003).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리더십 유형이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총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1. 윤혜미 (2009). 신규간호사의 이직의도의 관련 요인.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2. 이광자, 유소연 (2011). 간호사의 윤리적 딜레마 대처유형, 직무만족도 및 이직의도와 관계. 임상간호연구, 17(1), 1-15. 

  23. 이난희 (2013). 간호사의 조직 커뮤니케이션이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이덕근 (2008). 리더십이 직무스트레스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5. 이윤경 (1998).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 및 물리적 근무 환경과 조직헌신성과의 관계 연구. 유아교육연구, 18(1), 223-241. 

  26. 이재경 (2006). 보육교사의 이직과 전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7. 이정현 (2013). 특수학교 교사의 심리적 소진 및 직무만족도와 회복탄력성의 관계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8. 이정희, 조성연 (2011). 보육교사의 소진에 대한 자아탄력성과 시설장, 동료교사와 가족의 사회적 지지. 아동학회지, 32(1), 157-172. 

  29. 이형렬 (2012).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대처전략의 조절효과.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0. 전선영, 최혜순 (2013). 원장의 리더십 및 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이직의도의 관계. 어린이미디어연구, 12(1), 203-220. 

  31. 정경진 (2007).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2. 조명자 (2014). 국립병원 정신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유형 및 이직의도. 동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3. 조세형, 윤동열 (2013). 중소기업에서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구성원의 이직의도 간 관계 -감성리더십의 조절효과-. 인적자원관리연구, 20(3), 285-300. 

  34. 조숙현 (2011). 간호사가 지각한 수간호사의 감성리더십,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남부대학교 보건경영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5. 조혜숙, 조성연 (2013). 어린이집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 검증. 대한가정학회지, 51(5), 527-535. 

  36. 최석기 (2009). 교장의 감성리더십과 학교 조직문화 및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7. 최윤진, 김정희 (2014). 어린이집 영아반 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소진의 관계에서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 유아교육학논집, 18(5), 225-246. 

  38. 최은경 (2013).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관계에 관한 연구. 가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9. 최인희, 정영해, 박인혜, 최영애 (2013). 방문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조직몰입 및 대처방법과 이직의도.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22(2), 149-158. 

  40. 최효영 (2010). 영아반 교사들의 학습공동체 참여의 경험과 그 의미. 배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41. Allen, J., & Meyer, J. P. (1990). The measurement and antecedents of affective, continuance and normative commitment.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63(1), 1-65. 

  42. Barbour, N., & Lash, M. (2009).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eachers of young children, In S. Feeney, A. Galper, & C. Seefeldt (Eds.), Continuing issu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pp. 158-183).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education. 

  43. Carton, A., & Fruchart, E. (2014). Sources of stress, coping strategies, emotional experience: Effects of the level of experience in primary school teachers in France. Educational Review, 66(2), 245-262. 

  44. Cassidy, D. J., Lower, J. K., Kintner-Duffy, V. L., Hedge, A. V., & Shim, J. (2011). The day-to-day reality of teacher turnover in preschool classrooms: An analysis of classroom context and teacher, director, and parent perspectives. Journal of Research in Childhood Education, 25(1), 1-23. 

  45. Curry, J. R., & O'Brien, E. R. (2012). Shifting to a wellness paradigm in teacher education: A promising practice for fostering teacher stress reduction, burnout, resilience, and promoting retention. Ethical Human Psychology and Psychiatry, 14(3), 178-191. 

  46. Diamond, K. E., & Powell, D. R. (2011). An approach to the development of a professional development intervention for head start teachers. Journal of Early Intervention, 33(1), 75-93. 

  47. Goleman, D. (2000). Leadership that gets results. Harvard Business Review. Boston. 

  48. Hess, J. D., & Bacigalupo, A. C. (2010). The emotionally intelligent leader, the dynamics of knowledge-based organizations and the role of emotional intelligence in organizational development. On The Horizon, 18(3), 222-229. 

  49. Lazarus, R. S., & Folkman, S. (1985). Stress and adaptational outcome: The problem of confounded measure. The American Psychologist, 40(5), 770-779. 

  50. Litjens, I., & Taguma, M. (2010). Revised literature overview for the 7th meeting of the network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Paris: OECD. 

  51. Mottaz, C. (1988). Determinant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Human Relations, 41(3), 467-482. 

  52. Stremmel, A. J. (1991). Predictor of intention to leave child care worker.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6(3), 285-29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