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의 비합리적 신념과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에 대한 영성의 매개효과 검증
The Mediating Effect of Spiritua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rrational Beliefs and Self-esteem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5 no.12, 2015년, pp.640 - 649  

이은철 (한국교육개발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청소년의 비합리적 신념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영성이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 거주하는 14세에서 19세 청소년 500명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여 419명에게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대상의 평균 연령은 15.8세이다.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검증하였다. 그 결과 최초 연구 모형은 양호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모형수정지수를 참조하여 모형을 수정한 결과 1차 수정 모형은 ${\chi}2=222.527$, df=83,p<.000, GFI=.975, NFI=.961 그리고 RMSEA=.061로 나타나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모형의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자아존중감에 대한 비합리적 신념의 직접 효과는 .02이며, 영성을 매개한 간접효과는 .30로 나타났다. 이에 자아존중감에 대한 비합리적 신념의 영향을 영성이 매개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를 볼 때 청소년들의 비합리적 신념이 자아존중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영성 수준을 향상 시키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비합리적 신념의 부적인 영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mediating effect of teenagers' spiritua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rrational Beliefs and self-esteem. For research,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500 teenagers aged 14 to 19.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419 persons. The average age of subjects was 15.8.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먼저 비합리적 신념과 자아존중감의 관계에서 영성이 매개한다는 사실을 밝혀낸 것이다. 다음으로 청소년의 긍정적이고 건강한 자아존중감 형성을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영성을 통해 마련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한 것이다. 선행 연구 결과를 통해서도 알 수 있듯이 영성은 교육과 훈련, 상담을 통해서 충분히 향상 가능한 유동적 요인이다.
  • 본 연구는 비합리적 신념이 영성을 매개하여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최초 연구 모형을 설정하고 모형 적합도를 검증하였다. 그에 앞서 각 변인 간의 다중공선성이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수행하였고, 각 변인 간의 상관이 .
  • 본 연구는 자아존중감과 비합리적 신념의 관계에서 영성이 매개효과가 있는지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그 결과 영성이 자아존중감과 비합리적 신념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이와 함께 교육과 훈련, 상담을 통해서 비교적 용이하게 조절이 가능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7]. 이를 근거하여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대해 비합리적 신념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영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 이에 본 연구는 비합리적 신념과 자아존중감을 매개하며, 단기간에 조절이 가능한 요인으로 영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그 이유는 비합리적 신념과 자아존중감을 매개하는 다양한 요인들이 있지만, 선행연구 결과 영성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높은 수준에서 영향을 미치며, 개인적인 신념에 대한 영향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8][11].
  • 이처럼 영성은 청소년의 심리, 정서 영역에 전반적으로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영성을 매개변인으로 선택하여 자아존중감과 비합리적 신념 사이에서 매개효과가 있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 이와 함께 영성은 훈련과 교육, 상담을 통해서 향상될 수 있는 가능성이 매우 높다[6]. 이에 본 연구는 자아존중감과 비합리적 신념을 매개하는 요인으로 영성을 탐색하였다.
  • 여러 선행연구들이 영성은 인간의 한 측면이 아닌 삶의 전 영역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연구결과로 제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종교성을 포함하는 광의적인 영향의 정의를 수용하여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 마지막으로 학교에서 운영할 수 있는 영성 수준 향상 프로그램에 대한 구성 내용, 교수-학습 방법등을 제안하지 못한 것이다. 이에 향후 연구를 통해서 영성 수준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연구를 제안하는 것으로 본 연구를 마무리 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이와 같은 비합리적 신념의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실과 경험의 불일치이다. 다시 말하면 비합리적 신념은 현실에 대해 논리적으로 판단하지 않기 때문에 경험의 내용이 달라지고, 둘째 개인의 경험의 내용을 검증할 수 없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부는 학교 폭력과 청소년 범죄를 예방하기 위해 무엇을 하고 있는가? 이와 같은 학교 폭력은 직간접적인 경제적 손실을 가져오게 되어 국가의 발전과 안정에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이에 정부는 학교 폭력과 청소년 범죄를 예방하기 위해 Wee Class나 학교폭력예방프로그램과 같은 다양한 정책과 방안들을 마련하여 운영하고 있다[8]. 이를 통해 일부 효과가 나타나고 있지만 근본적인 문제가 해결되지는 못하고 있다[8].
자아존중감이란? 자아존중감은 개인이 가지고 있는 신념 체계가 주변환경과 상호작용을 하여 형성된 가치 체계에 의해서 자신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자신에 대해 가지는 가치와 중요성에 대한 인식 정도라고 설명할 수 있다[17]. 자아존중감은 개인의 신념체계, 주변 환경, 내.
Wee Class나 학교폭력예방프로그램의 한계는? 이에 정부는 학교 폭력과 청소년 범죄를 예방하기 위해 Wee Class나 학교폭력예방프로그램과 같은 다양한 정책과 방안들을 마련하여 운영하고 있다[8]. 이를 통해 일부 효과가 나타나고 있지만 근본적인 문제가 해결되지는 못하고 있다[8]. 이와 같은 상황에서 청소년의 폭력과 범죄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수행되었고, 근본적인 원인을 찾고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김계수, AMOS 18.0 구조방정식모형분석, 서울: 한나래아카데미, 2011. 

  2. 김광수, "청소년의 분노수준, 분노대처방식과 학교생활적응," 교육심리연구, 제17권, 제3호, pp.393-410,2003. 

  3. 김종성, 안상섭, 한성열, "영성의 긍정적 기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제15권, 제1호, pp.207-226, 2009. 

  4. 나현숙, 김미옥, 천성문, "배려증진 프로그램이 학교폭력 가해아동의 자아존중감, 공격성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 정서.행동장애연구, 제30권, 제4호, pp.291-315, 2014. 

  5. 남윤자, 청소년을 위한 기독교적 용서 프로그램이 용서정도, 분노감 및 영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침례신학대학교 상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6. 박효정, 이희현, 최보라, 유형근, 최지영, 학교폭력 예방문화 정착방안 연구(1): 학교폭력예방문화 지표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개발원, 2014. 

  7. 배은주, 기독교 신앙이 청소년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성결대학교 목회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8. 신현균, 비합리적 사고와 귀인양식에 있어서 우울 집단과 불안집단 비교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0. 

  9. 오종은, 이재연, "일반청소년과 학교폭력 가해청소년의 불안이 폭력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노표현양식의 매개효과,"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32권, 제5호, pp.163-178, 2014. 

  10. 이병환, 강대구,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학교부적응 행동 요인 분석," 교육문화연구, 제20권, 제3호, pp.125-148, 2014. 

  11. 이은철, 김민정, "청소년을 위한 영성 척도 개발," 열린교육연구, 제18권, 제3호, pp.243-263, 2010. 

  12. 이혜순, "청소년의 자아분화 수준 및 자아존중감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호, pp.333-341, 2013. 

  13. 이혜순, 옥지원, "청소년의 충동성, 자아존중감, 우울수준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호, pp.438-446, 2012. 

  14. 장연심, 조아미,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문제행동과 자아존중감의 관계," 미래청소년학회지, 제4권, 제1호, pp.123-136, 2007. 

  15. 전귀연, 최보가,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응집성, 가족적응성 및 가족체계 유형이 부모-청소년기 자녀관계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제31권 제3호, pp.157-173, 1993. 

  16. 홍경자, 채유경, 이명자, "청소년의 비합리적 신념과 자아존중감, 지각된 부모양육 태도가 그들의 분노 표현방식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제1권, 제1호, pp.161-181, 2000. 

  17. B. B. Asgeirsdottir, G. H. Gudjonsson, J. F. Sigurdsson, and I. D. Sigfusdottir, "Protective processes for depressed mood and anger among sexually abused adolescents: The importance of self-esteem,"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49, No.5, pp.402-407, 2010. 

  18. M. T. Britto, B. K. Klostermann, A. E. Bonny, S. A. Altum, and R. W. Hornung, "Impact of a school-based intervention on access to healthcare for underserved youth,"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Vol.29, No.2, pp.116-124, 2001. 

  19. T. Cromley, S. Knatz, R. Rockwell, D. Neumark-Sztainer, M. Story, and K. Boutelle, "Relationships Between Body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Functioning and Weight-Related Cognitions and Behaviors in Overweight Adolescents,"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Vol.50, No.6, pp.651-653, 2012. 

  20. T. L. Davis, B. A. Kerr, and S. E. R. Kurpius, "Meaning, purpose, and religiosity in at-risk youth: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and spirituality," Journal of Psychology and Theology, Vol.31, No.4, pp.356-365, 2003. 

  21. E. Franck and R. De Raedt, "Self-esteem reconsidered: Unstable self-esteem outperforms level of self-esteem as vulnerability marker for depression,"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Vol.45, No.7, pp.1531-1541, 2007. 

  22. M. Good and T. Willoughby, "The role of spirituality versus religiosity in adolescent psychosocial adjustment,"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Vol.35, No.1, pp.41-55, 2006. 

  23. D. R. Hodge and R. D. Derezotes, "Postmodernism and spirituality: Some pedagogical implications for teching content on spirituality" Journal of social Work Education, Vol.44, No.3, pp.103-123, 2008. 

  24. H. M. Laithwaite, A. Gumley, A. Benn, and E. Scott, "Self-Esteem and Psychosis: A Pilot Study Investigating the Effectiveness of a Self-Esteem Programme on the Self-Esteem and Positive Symptomatology of Mentally Disordered Offenders," Behavioural and Cognitive Psychotherapy, Vol.35, No.5, pp.569-578, 2007. 

  25. N. Ozabacy, "Cognitive behavioural therapy for violent behaviour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 meta-analysis,"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Vol.33, No.10, pp.1989-1993, 2011. 

  26. M. J. Pearce, T. D. Little, and J. E. Perez, "Religiousness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adolescents," Journal of Clinical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Vol.32, No.2, pp.267-276, 2003. 

  27. J. E. Perez, T. D. Little, and C. C. Henrich, "Spirituality and Depressive symptoms in a school-based sample of adolescents: A longitudinal examination of mediated and moderated effects,"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Vol.44, pp.380-386, 2009. 

  28. D. G. Sukhodolsky, H. Kassinove, and B. S. Gorman, "Cognitive-behavioral therapy for anger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 meta-analysis," Aggression and Violent Behavior, Vol.9, No.3, pp.247-269, 2004. 

  29. T. G. Van Manen, and P. M. Emmelkamp, "Reducing aggressive behavior in boys with a social cognitive group," Aggression and Violent Behavior, Vol.9, pp.247-269, 2004. 

  30. A. Wigfield and S. Tonks, "adolescents' expectancies for success and achievement," In F. Pajares & T. Urdan (Eds.), Academic Motivation of Adolescent, Conn: Information age publishing, pp.53-82, 2002. 

  31. G. S. Wilson, M. E. Pritchard, and B. Revalee, "Individual differences in adolescent health symptoms: the effects of gender and coping," Journal of Adolescence, Vol.28, No.3, pp.369-379,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