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국내 노인 파킨슨병 환자에서의 잠재적으로 부적절한 약물사용 현황에 대한 연구 Assessment of Potentially Inappropriate Medication Use in Korean Elderly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원문보기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assessed the prevalence of the potentially inappropriate medication (PIM) use in Korean elderly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risk factors that affect PIM use. Method: A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was conducted using Korean ...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assessed the prevalence of the potentially inappropriate medication (PIM) use in Korean elderly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risk factors that affect PIM use. Method: A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was conducted using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 claims database of 2009. PIM use in Parkinson's disease patients aged 65 years or older was examined based on 2012 Beers Criteria.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was conducted to identify risk factors for PIM use. Results: Among 5,277 elderly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88.9% of patients used PIM(s) at least once. The average number of PIM items used per patient was 4.2. PIM use ratio, the proportion of total amount of PIMs to all medications per patient, was 12.6%. Frequently used PIM therapeutic classes were benzodiazepines (32.7%), first-generation antihistamines (19.2%), and prokinetics (17.5%). Individual PIMs most commonly used included chlorpheniramine (11.4%), levosulpiride (10.9%), diazepam (9.0%), and alprazolam (7.6%). Women (odds ratio [OR] 1.14, 95% confidence interval [CI] 1.11-1.16), medical aid (OR 1.18, 95% CI 1.15-1.21), and long-term facilities (OR 2.43, 95% CI 2.22-2.65) were shown to b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PIM use. Of particular, wide variation in PIM use was associated with the types of healthcare facility. Conclusion: The PIM prevalence was very high in elderly Parkinson's disease patients. Nationally effective and systematic efforts to identify and prevent PIM use should be made to ensure patient safety and to improve quality of care in the elderly.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assessed the prevalence of the potentially inappropriate medication (PIM) use in Korean elderly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risk factors that affect PIM use. Method: A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was conducted using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 claims database of 2009. PIM use in Parkinson's disease patients aged 65 years or older was examined based on 2012 Beers Criteria.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was conducted to identify risk factors for PIM use. Results: Among 5,277 elderly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88.9% of patients used PIM(s) at least once. The average number of PIM items used per patient was 4.2. PIM use ratio, the proportion of total amount of PIMs to all medications per patient, was 12.6%. Frequently used PIM therapeutic classes were benzodiazepines (32.7%), first-generation antihistamines (19.2%), and prokinetics (17.5%). Individual PIMs most commonly used included chlorpheniramine (11.4%), levosulpiride (10.9%), diazepam (9.0%), and alprazolam (7.6%). Women (odds ratio [OR] 1.14, 95% confidence interval [CI] 1.11-1.16), medical aid (OR 1.18, 95% CI 1.15-1.21), and long-term facilities (OR 2.43, 95% CI 2.22-2.65) were shown to b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PIM use. Of particular, wide variation in PIM use was associated with the types of healthcare facility. Conclusion: The PIM prevalence was very high in elderly Parkinson's disease patients. Nationally effective and systematic efforts to identify and prevent PIM use should be made to ensure patient safety and to improve quality of care in the elderly.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본 연구에서는 노인에서의 유병률이 높고 다양한 임상증상과 동반질환으로 인해 다수의 약물을 사용하는 국내 노인 파킨슨병 환자를 대상으로 2012년 Beers Criteria를 사용하여 PIM 사용현황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PIM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파악하고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에서의 유병률이 높고 다양한 임상증상과 동반질환으로 인해 다수의 약물을 사용하는 국내 노인 파킨슨병 환자를 대상으로 2012년 Beers Criteria를 사용하여 PIM 사용현황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PIM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파악하고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09년 심평원 환자표본자료를 활용하여 외래로 방문한 노인 파킨슨병 환자에서의 잠재적으로 부적절한 약물사용 현황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제안 방법
본 연구에서는 일련번호가 동일한 청구명세서를 연계하여 환자의 일반정보내역, 원내진료내역, 원외사용내역, 상병내역 및 의료기관정보내역을 병합하여 새로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그러나 Beers Criteria에서는 장기간 사용에 대한 명확한 정의나 기준을 언급하고 있지 않으며, 타 문헌고찰을 통해서도 이에 대한 명확한 정의나 충분한 자료를 찾을 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속 30일을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를 장기간 사용으로 정의하고 분석을 시행하였다.
일차 결과변수(primary outcome)로서 1) PIM 발생률(PIM prevalence), 2) 환자가 받은 PIM 개수(PIM items), 3) PIM 사용량(PIM use)을 분석하였다. PIM 발생률은 전체 환자 중 Beers Criteria에서 제시하고 있는 약물을 1회 이상 사용한 환자의 비율로 계산하였다.
일차 결과변수(primary outcome)로서 1) PIM 발생률(PIM prevalence), 2) 환자가 받은 PIM 개수(PIM items), 3) PIM 사용량(PIM use)을 분석하였다. PIM 발생률은 전체 환자 중 Beers Criteria에서 제시하고 있는 약물을 1회 이상 사용한 환자의 비율로 계산하였다. PIM 사용량은 개별환자가 사용하고 있는 전체 약물 중에서 PIM 약물이 차지하고 있는 비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각 약물의 1회 사용량(투여개수), 1일 투여횟수, 처방일수를 각각 곱하여 계산하였으며, 이를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PIM 발생률은 전체 환자 중 Beers Criteria에서 제시하고 있는 약물을 1회 이상 사용한 환자의 비율로 계산하였다. PIM 사용량은 개별환자가 사용하고 있는 전체 약물 중에서 PIM 약물이 차지하고 있는 비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각 약물의 1회 사용량(투여개수), 1일 투여횟수, 처방일수를 각각 곱하여 계산하였으며, 이를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이차 결과변수(secondary outcome)로는 PIM 발생과 여러 독립변수들간의 교차비를 산출하였다. 독립변수는 환자의 1) 성별, 2) 연령, 3) 보험급여 형태, 4) 방문 의료기관의 형태로 정의하였다.
2)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노인 파킨슨병 환자의 현황과 PIM 사용현황은 환자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PIM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분석에서는 처방전 단위인 청구명세서를 기준으로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비스테로이드소염제는 노인환자에서 위장관 출혈 및 소화성궤양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장기간 사용할 경우 이를 PIM으로 규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속 30일을 초과하여 사용한 경우를 기준으로 PIM 사용빈도를 분석하였다. 따라서 단기간 수 회에 걸쳐 처방을 받아 지속적으로 사용한 경우는 분석대상에서 제외되었기 때문에 실제로 장기간 비스테로이드소염제를 사용하는 경우가 더 높을 가능성도 있어 이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심평원 환자표본자료인 ‘HIRA-NPS-2009 (serial number: HIRA-NPS-2009-0121)’를 활용하였다. 환자표본자료는 각 의료기관별 2009년 1월부터 2009년 12월까지의 입원환자 약 70만명(13%), 외래환자 약 40만명(1%)에 대한 건강보험 청구자료이다.
분석대상 환자는 연구기간 동안 1회 이상의 처방정보가 있는 외래환자로 제한하였으며, 파킨슨병 환자 선별을 위하여는 한국 표준질병·사인 분류(6차 개정)26)에 따라 주상병명 또는 부상병명이 파킨슨병인 ‘G20’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추출하였다.
2012년 Beers Criteria에서 제시하는 ‘노인 환자에서 일반적으로 사용을 피해야 할 약물(군)’과 ‘파킨슨병 환자에서 사용을 피해야 할 약물(군)’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2012년 Beers Criteria에서 제시하는 ‘노인 환자에서 일반적으로 사용을 피해야 할 약물(군)’과 ‘파킨슨병 환자에서 사용을 피해야 할 약물(군)’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뿐만 아니라, Beers Criteria에 포함되어 있지는 않으나 동일한 약물군에 속하는 국내 사용 약물에 대해서도 심평원에서 제공하는 치료제군별 의약품 분류코드(Anatomical Therapeutic Chemical Code, ATC)를 적용하여 분석대상에 포함하였다. 분석대상 약물은 심평원에서 고시하는 약제급여목록에의 수록여부 및 약물 주성분코드를 확인하였으며, 비급여 약물과 경구용 액제는 제외하였다.
뿐만 아니라, Beers Criteria에 포함되어 있지는 않으나 동일한 약물군에 속하는 국내 사용 약물에 대해서도 심평원에서 제공하는 치료제군별 의약품 분류코드(Anatomical Therapeutic Chemical Code, ATC)를 적용하여 분석대상에 포함하였다. 분석대상 약물은 심평원에서 고시하는 약제급여목록에의 수록여부 및 약물 주성분코드를 확인하였으며, 비급여 약물과 경구용 액제는 제외하였다.
상기한 바에 따라 본 연구 분석을 위하여 최종적으로 총 137개의 약물을 포함하는 Beers Criteria 약물목록을 재구성하였다(상세자료 생략).
노인 파킨슨병 환자에서 사용된 PIM 약물은 분석대상 137개 중 98개가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약물군별 사용빈도를 살펴보면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이하 벤조디아제핀)이 32.
본 자료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표본자료(HIRA-NPS-2009-0121)를 활용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보건복지부 및 건강보험심사평가원과 무관함.
데이터처리
노인 파킨슨병 환자의 현황과 PIM 사용현황은 환자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PIM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분석에서는 처방전 단위인 청구명세서를 기준으로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통계적 유의수준은 5% 미만으로 판단하였다.
성능/효과
국내 노인 파킨슨병 환자에서의 PIM 사용현황을 분석한 결과, 1회 이상 PIM을 사용한 환자는 88.9%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여성(90.
5%)의 순으로 나타났다. 보험급여 형태별로는 의료급여환자(89.6%)에서 건강보험 환자(88.4%)에 비해 PIM 발생률이 약간 높게 나타났다. 의료기관 형태에 따른 PIM 발생률은 의원급을 방문한 환자에서 77.
4%)에 비해 PIM 발생률이 약간 높게 나타났다. 의료기관 형태에 따른 PIM 발생률은 의원급을 방문한 환자에서 77.9%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종합병원(64.1%), 병원급(61.5%), 요양병원(59.5%), 상급종합병원(57.4%)의 순으로 나타났다(Table 1).
3개). 보험급여 형태별로는 의료급여환자(4.3개)에서 건강보험환자(4.1개)보다 PIM 사용 개수가 약간 많았다. 의료기관 형태별로는 의원급을 방문한 환자에서 사용된 PIM 개수가 3.
1개)보다 PIM 사용 개수가 약간 많았다. 의료기관 형태별로는 의원급을 방문한 환자에서 사용된 PIM 개수가 3.4개로 가장 많았고, 상급종합병원이 1.8개로 가장 적었다(Table 1).
개별 환자가 복용하고 있는 전체 약물 중에서 PIM 약물이 차지하고 있는 비율은 12.6%로 분석되었다. 여성의 경우 13.
7%로 연령에 따른 차이는 크지 않았다. 보험급여 형태별로는 의료급여환자(13.7%)에서 건강보험환자(12.4%)보다 PIM 사용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기관 형태에 따른 PIM 사용량은 요양병원(21.
청구명세서를 기준으로 PIM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분석한 결과를 Table 2에 나타내었다. 성별에 따른 PIM 발생은 여성에서 남성에 비해 1.14배 정도 더 높았다(OR, 1.14; 95% CI, 1.11-1.16). 그러나 연령에 따른 차이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연령에 따른 차이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보험급여 형태별로는 의료급여환자가 건강보험환자에 비해 PIM 발생이 1.2배 정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OR, 1.18; 95% CI, 1.15-1.21). 의료기관 형태에 따른 차이는 보다 뚜렷하게 나타나, 상급종합병원에 비해 요양병원의 경우 2.
21). 의료기관 형태에 따른 차이는 보다 뚜렷하게 나타나, 상급종합병원에 비해 요양병원의 경우 2.4배(OR, 2.43; 95% CI, 2.22-2.65), 병원급은 2배(OR, 1.98; 95% CI, 1.88-2.09) 정도로 PIM 발생이 높았으며, 종합병원과 의원급은 각각 1.2배(95% CI, 1.15-1.25)와 1.06배(95% CI, 1.02-1.10)로 나타났다.
노인 파킨슨병 환자에서 사용된 PIM 약물은 분석대상 137개 중 98개가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약물군별 사용빈도를 살펴보면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이하 벤조디아제핀)이 32.7%로 가장 높은 빈도로 사용되었고, 다음으로 제1세대 항히스타민제(19.2%), 위장관운동촉진제(17.5%), 근이완제 및 항파킨슨제로 사용되는 부교감신경억제제(5.2%), 삼환계항우울제(4.6%), 진경제(4.0%), 항정신병제(3.2%), 비스테로이드소염제(2.2%)의 순으로 나타났다. 단일약물별로는 chlorpheniramine(11.
6%)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 외 metoclopramide, clonazepam, piprinhydrinate, amitriptyline, lorazepam, hydroxyzine, trihexyphenidyl, benztropine 등의 약물도 다빈도로 사용되는 PIM으로 나타났다(Table 3).
2%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나, 하위 의료기관으로 갈수록 제1세대 항히스타민제와 위장관운동촉진제의 사용빈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일약물별로는 하위 의료기관으로 갈수록 chlorpheniramine, piprinhydrinate, levosulpiride, metoclopramide, diazepam의 사용빈도가 증가하고, clonazepam, alprazolam, trihexyphenidyl의 사용빈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Table 3).
본 연구에서 연구기간 동안 한 번이라도 PIM을 사용한 환자는 88.9%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는 전체 노인 외래환자를 대상으로 실시된 국내의 선행연구들에서 11.
연령면에서는 상대적으로 연령이 낮을수록 PIM 발생률이 높고 사용된 PIM 개수도 많았다. 이는 초고령환자의 경우 감소된 신체기능을 고려하여 좀 더 세심하게 약물을 선택하여 사용하거나, 여명 등을 고려하여 적극적 치료를 하지 않는 것과 관계가 있을 것으로 추측해 볼 수 있다.
보험급여 형태에 따른 PIM 발생 및 사용량은 건강보험환자에서보다 의료급여환자에서 더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보험급여 형태의 근본적인 차이에 기인한다기보다는 환자의 특성이나 의료이용 행태에 따른 차이일 가능성을 생각해 볼 수 있겠다.
본 연구에서 가장 높은 빈도로 사용된 PIM은 벤조디아제핀이었으며 이것은 국내의 타 선행연구와도 일치하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16) 벤조디아제핀은 노인에서 인지기능 장애, 섬망, 낙상, 골절 등을 유발할 수 있으며, 특히 노인에서는 약물의 대사속도가 느려지고 약물에 대한 감수성이 증가하기 때문에 젊은 성인에 비해 약물유해반응이 매우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16) 벤조디아제핀은 노인에서 인지기능 장애, 섬망, 낙상, 골절 등을 유발할 수 있으며, 특히 노인에서는 약물의 대사속도가 느려지고 약물에 대한 감수성이 증가하기 때문에 젊은 성인에 비해 약물유해반응이 매우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국내의 경우 외국에 비해 훨씬 높은 빈도로 벤조디아제핀을 사용하고 있는데, 외래 노인환자의 50.
벤조디아제핀 다음으로 높은 사용빈도를 보인 PIM은 제1세대 항히스타민제로 나타났다. 제1세대 항히스타민제는 강한 부교감신경 억제작용으로 인해 시야흐림, 뇨저류, 입마름, 변비 뿐만 아니라 인지기능 장애 등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어 노인에서의 사용이 부적절한 것으로 여겨지는 약물이다.
이는 의원급에서 감기나 피부질환 등의 치료에 제1세대 항히스타민제를 주로 사용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제1세대 항히스타민제의 경우 감기약으로 사용되는 경구용 액제에 많이 포함되어 있는데, 본 연구에서 경구용 액제는 분석대상에서 제외되었으므로 이를 고려할 경우 사용빈도는 훨씬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 뿐만 아니라 약국에서 일반의약품으로 자가구입이 가능하므로 노인에서 부적절하게 사용될 가능성과 이로 인한 약물유해반응의 위험성이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PIM은 levosulpiride와 metoclopramide 등의 위장관운동촉진제로 나타났다. 이들의 높은 사용빈도는 파킨슨병 환자에서 동반되는 자율신경계 이상인 위장관 기능부전으로 오심, 구토, 복부팽만 등의 증상이 빈번하게 나타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levosulpiride의 경우 미국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승인적응증이 없어서 Beers Criteria에서 언급되지 않는 약물인데, 국내에서는 위장관치료제로 허가되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결과 levosulpiride가 단일 PIM 약물로는 두 번째로 높은 빈도로 사용되고 있을 뿐 아니라, 위장관운동촉진제 중에서는 가장 높은 빈도로 사용되고 있었다. 따라서 국내의 PIM 사용현황을 보다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해서는 국내에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분석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네 번째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약물은 근이완제로 나타났다. 근이완제는 강한 부교감신경 억제작용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노인에서의 사용이 제한되는 약물로 앞에서 언급한 제1세대 항히스타민제와 마찬가지로 환각, 시야흐림, 뇨저류, 입마름, 변비 또는 인지기능 장애 등의 부작용을 유발하거나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주의가 요구된다.
하지만 그 외의 모든 항정신병제는 파킨슨병의 운동증상을 악화시킬 뿐 아니라 정신병 치료에도 효과가 없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사용이 제한된다. 본 연구결과 clozapine과 quetiapine을 제외한 항정신병제의 사용빈도가 3.2%로 나타났으며 다빈도로 사용되는 PIM 약물군 8위를 차지하였다. 이 중 risperidone(1.
첫째, Beers Criteria에 제시된 약물들은 PIM 이라는 용어에서도 알 수 있듯이 ‘잠재적으로 부적절한’ 약물로 간주되며 특정상황에서는 이들 약물을 사용하는 것이 타당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가진다. 첫째, 기존의 선행연구가 대부분 전체 노인환자를 대상으로 분석한 것과 달리 본 연구는 특정질환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심평원 환자표본자료를 이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으므로 연구대상 환자가 국내 전체 노인 파킨슨병 환자에 대한 대표성을 가지며,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일반화해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심평원 환자표본자료를 이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으므로 연구대상 환자가 국내 전체 노인 파킨슨병 환자에 대한 대표성을 가지며,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일반화해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미국과 같은 해외에서 시판되고 있지 않아 PIM 목록에서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약물이지만, Beers Criteria에서 제시한 약물군과 동일한 약물로 분류되는 국내 약물을 추가하여 분석함으로써 국내의 현황을 좀 더 정확하게 반영하였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국내 노인 파킨슨병 환자의 PIM 발생률은 매우 높게 나타났다. 여성, 의료급여환자, 요양병원에서 PIM 발생률이 높았다.
흔하게 사용된 PIM 약물군은 벤조디아제핀, 제1세대 항히스타민제, 위장관운동촉진제였으며, 단일약물로는 chlorpheniramine, levosulpiride, diazepam, alprazolam으로 나타났다. 특히, 의료기관 형태에 따른 PIM 발생률은 뚜렷한 차이를 보였으며, PIM 사용이 가장 낮았던 상급종합병원의 경우에도 PIM 발생률이 57.4%에 달한다는 점은 이에 대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대책마련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국내 노인에서의 약물사용 적절성을 보다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해서는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약물을 포함한 국내실정에 맞는 기준의 확립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07개의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2) 이러한 높은 만성복합질환 유병률은 65세 이상 노인의 의료비 증가의 주요한 원인이 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하 심평원)의 2014년도 진료비통계지표에 의하면 전체 건강보험 보장인구의 11.
후속연구
Spironolactone은 심부전을 가지고 있거나 크레아티닌 청소율이 30 mL/min 미만인 환자에서 1일 25 mg을 초과하여 투여하는 경우 PIM으로 정의하고 있다. 본 연구자료에서는 크레아티닌 청소율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없었으므로 분석대상을 심부전을 가진 환자로만 제한하였다.
그러나 개별 환자가 복용하고 있는 전체 약물 중에서 PIM이 차지하고 있는 비율인 PIM 사용량에 있어서는 연령군별로 별 차이가 없었다. 이는 초고령환자에서 동일한 PIM을 장기간 또는 자주 투여하기 때문인 것으로도 해석할 수 있어 이에 대한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는 연령에 따른 PIM 발생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하위의료기관으로 갈수록 심해져 사용빈도가 2~4배까지 증가하였다. 따라서 위장관운동촉진제 각 약물들의 특성 및 유해반응에 대한 숙지와 교육 등 개선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levosulpiride의 경우 미국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승인적응증이 없어서 Beers Criteria에서 언급되지 않는 약물인데, 국내에서는 위장관치료제로 허가되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Beers Criteria는 약물사용 적절성 평가에 있어서 절대적인 기준은 아니며, 환자의 개별적인 특성에 근거한 임상의사결정을 대체할 수 없다. 본 연구에 사용된 자료에서는 환자의 임상적인 특성과 상태, 경과관찰 등에 관한 상세정보를 확인할 수 없었기 때문에 Beers Criteria에서 PIM으로 제시된 약물이 사용되었다고 해서 이를 명확하게 부적절하다고 단정지을 수 없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므로 결과가 다소 과대평가되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Beers Criteria는 노인에서의 효과적이고 안전한 약물사용을 위한 중요한 일차적인 가이드가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Beers Criteria는 노인에서의 효과적이고 안전한 약물사용을 위한 중요한 일차적인 가이드가 된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비급여 약물, 특정 질환에 1차 치료제로서만 사용을 제한하는 약물, 경구용 액제는 제외하고 분석하였으므로 분석결과가 과소평가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첫째, 기존의 선행연구가 대부분 전체 노인환자를 대상으로 분석한 것과 달리 본 연구는 특정질환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심평원 환자표본자료를 이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으므로 연구대상 환자가 국내 전체 노인 파킨슨병 환자에 대한 대표성을 가지며,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일반화해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미국과 같은 해외에서 시판되고 있지 않아 PIM 목록에서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약물이지만, Beers Criteria에서 제시한 약물군과 동일한 약물로 분류되는 국내 약물을 추가하여 분석함으로써 국내의 현황을 좀 더 정확하게 반영하였다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에게 가장 흔한 신경계의 만성 진행성 퇴행성 질환은?
파킨슨병은 뇌의 흑질에 분포하는 도파민 신경세포가 점차적으로 소실되어 발생하는 질환으로, 알츠하이머병에 이어 노인에서 두 번째로 흔한 신경계의 만성 진행성 퇴행성 질환이다. 파킨슨병의 임상증상은 안정떨림, 경직, 운동느림 및 자세불안정 등 운동기능이상이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파킨슨병의 국외 유병률은?
파킨슨병 환자는 대부분 60대에 이르러 임상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국외의 경우 전체 인구에서의 유병률은 약 0.3%이지만, 나이가 많을수록 유병률이 증가하여 60세 이상에서 1%, 80세 이상에서는 4%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20) 국내의 경우 2001년~2005년의 5년간 의료이용기록을 분석한 연구에서 국내 파킨슨병 유병률은 전 연령에서 0.
파킨슨병이란?
파킨슨병은 뇌의 흑질에 분포하는 도파민 신경세포가 점차적으로 소실되어 발생하는 질환으로, 알츠하이머병에 이어 노인에서 두 번째로 흔한 신경계의 만성 진행성 퇴행성 질환이다. 파킨슨병의 임상증상은 안정떨림, 경직, 운동느림 및 자세불안정 등 운동기능이상이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참고문헌 (43)
Elderly statistics 2012. Available at http://kostat.go.kr. (Accessed on Mar 18, 2015).
2011 Korea Health Panel Survey. Available at https://www.kihasa.re.kr/html/jsp/english/public/view.jsp?bid30&ano731&key&query&queryStringYmlkPTMwJnBhZ2U9Ng. (Accessed on Mar 20, 2015).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Available at http://www.hira.or.kr/dummy.do?pgmidHIRAA020045030000&cmsurl/cms/open/04/02/03/03/1332395_24987.html&subject2014. (Accessed on Apr 8, 2015).
Turnheim K. When drug therapy gets old: pharmacokinetics and pharmacodynamics in the elderly. Exp Gerontol 2003;38(8):843-53.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2012 Beers Criteria Update Expert Panel. American geriatrics society updated Beers criteria for potentially inappropriate medication use in older adults. J Am Geriatr Soc 2012; 60(4):616-31.
Zhan C, Sangl J, Bierman AS, et al. Potentially inappropriate medication use in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findings from the 1996 medical expenditure panel survey. JAMA 2001;286(22):2823-9.
McLeod PJ, Huang AR, Tamblyn RM, et al. Defining inappropriate practices in prescribing for elderly people: a national consensus panel. CMAJ 1997;156(3):385-91.
Gallagher P, Ryan C, Byrne S, et al. STOPP (screening tool of older person's prescriptions) and START (screening tool to alert doctors to right treatment). Consensus validation. Int J Clin Pharmacol Ther 2008;46(2):72-83.
Rognstad S, Brekke M, Fetveit A, et al. The Norwegian general practice (NORGEP) criteria for assessing potentially inappropriate prescriptions to elderly patients. A modified delphi study. Scand J Prim Health Care 2009;27(3):153-9.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Handbook of appropriate medication use for elderly 2009.
Chang CB, Chan DC. Comparison of published explicit criteria for potentially inappropriate medications in older adults. Drugs Aging 2010;27(12):947-57.
Oh JM. Drug use pattern and evaluation for appropriateness in geriatric patients.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04.
Kang IK. Analysis of prescriptions for elderly at primary healthcare using national health insurance database. M.S. Thesis for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006.
Massano J, Bhatia KP. Clinical approach to Parkinson's disease: features, diagnosis, and principles of management. Cold Spring Harb Perspect Med 2012;2(6):a008870.
Muzerengi S, Contrafatto D, Chaudhuri KR. Non-motor symptoms: identification and management. Parkinsonism Relat Disord, 2007; 13(Suppl 3):S450-6.
Nationwide survey on the prevalence of Parkinson's disease in Korea. Available at http://www.cdc.go.kr/CDC/notice/CdcKrInfo0201.jsp?menuIdsHOME001-MNU1154-MNU0004-MNU1889&cid1283. (Accessed on Feb 20, 2015).
Williams-Gray CH, Mason SL, Evans JR, et al. The CamPaIGN study of Parkinson's disease: 10-year outlook in an incident population-based cohort.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2013;84(11):1258-64.
Morgan JC, Currie LJ, Harrison MB, et al. Mortality in levodopatreated Parkinson's disease. Parkinsons Dis 2014;2014:426976.
Akazawa M, Imai H, Igarashi A, et al. Potentially inappropriate medication use in elderly Japanese patients. Am J Geriatr Pharmacother 2010;8(2):146-60.
Niwata S, Yamada Y, Ikegami N. Prevalence of inappropriate medication using Beers criteria in Japanese long-term care facilities. BMC Geriatr 2006;6:1-7.
The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diseases and causes of death 2012. Available at https://kssc.kostat.go.kr:8443/ksscNew_web/link.do?gubun004#. (Accessed on Jan 5, 2015).
Bae MK, Lee IH, Yoon JH. Assessment of potentially inappropriate medication use in Korean elderly patients with chronic heart failure. Kor J Clin Pharm 2014;24(2):115-25.
Nam JS, Shin WG, Oh JM. Pattern of medications usage and potentially inappropriate medication usage among Korean ambulatory elderly patients based on an explicit criterion. Kor J Clin Phar 2005;15(2):149-59.
Fialova D, Topinkova E, Gambassi G, et al. Potentially inappropriate medication use among elderly home care patients in Europe. JAMA 2005;293(11):1348-58.
Lai HY, Hwang SJ, Chen YC, et al. Prevalence of the prescribing of potentially inappropriate medications at ambulatory care visits by elderly patients covered by the Taiwanese national health insurance program. Clin Ther 2009;31(8):1859-70.
Baldoni AO, Ayres LR, Martinez EZ, et al. Factors associated with potentially inappropriate medications use by the elderly according to Beers criteria 2003 and 2012. Int J Clin Pharm 2014;36(2):316-24.
Chang CB, Lai HY, Yang SY, et al. Patient- and clinic visit-related factors associated with potentially inappropriate medication use among older home healthcare service recipients. PLoS One 2014;9(4):e94350.
Jeon GS, Choi ES, Lee HY. Gender-related difference in the utilization of health care services by Korean adults. J Kor Acad Public Health Nurs, 2010;24(2):182-96.
Kim YJ, Jung SY, Choi NK, et al. Benzodiazepine prescription patterns for the elderly patients at ambulatory care in Korea. JPERM 2008;1:60-7.
Chun YS, Suh YW, Lee ES, et al. Medications causing emergency department visits due to adverse drug reactions in Korean geriatric patients. J Kor Soc Health-Syst Pharm 2012;29(3):271-80.
Tune LE. Anticholinergic effects of medication in elderly patients. J Clin Psychiatry, 2001;62(Suppl 21):11-4.
Ancelin ML, Artero S, Portet F, et al. Non-degenerative mild cognitive impairment in elderly people and use of anticholinergic drugs: longitudinal cohort study. BMJ 2006;332(7539):455-9.
Ferreira JJ, Katzenschlager R, Bloem BR, et al. Summary of the recommendations of the EFNS/MDS-ES review on therapeutic management of Parkinson's disease. Eur J Neurol 2013;20(1):5-15.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are Excellence. Parkinson's disease: Diagnosis and management in primary and secondary care. Available at https://www.nice.org.uk/guidance/cg35. (Assessed on May 10, 2015).
Schneider LS, Dagerman KS, Insel P. Risk of death with atypical antipsychotic drug treatment for dementia: meta-analysis of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trials. JAMA 2005;294(15):1934-43.
Wang PS, Schneeweiss S, Avorn J, et al. Risk of death in elderly users of conventional vs. atypical antipsychotic medications. N Engl J Med 2005;353(22):2335-41.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