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간패널모형을 이용한 연안어업 생산량과 기후변화 요소의 관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tch of Coastal Fisheries and Climate Change Elements using Spatial Panel Model 원문보기

水産經營論集 = The journal of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v.46 no.3, 2015년, pp.63 - 72  

김봉태 (한국해양수산개발원) ,  엄기혁 (국립수산과학원 기후변화연구과) ,  이준수 (국립수산과학원 기후변화연구과) ,  박혜진 (한국해양수산개발원) ,  육근형 (한국해양수산개발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climate change elements and catch amount of coastal fisheries, which is predicted to be vulnerable to climate change since its business scale is too small and fishing ground is limited. Using panel data from 1974 to 2013 by region, we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고는 위의 선행연구들처럼 과거 어획량 자료와 수온 및 염분 자료를 이용하여 그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나 크게 두 가지 점에서 기존연구와 다르게 접근한다. 첫째, 본고의 분석 대상은 연안어업에 한정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수온 상승에 의해 수산자원이 받은 영향은 무엇이 있는가? 특히 우리나라의 수온 상승률은 전 지구 수온 상승률의 2〜3배에 달하는 것으로 보고되어(KMA, 2014) 수산자원에 미치는 영향도 상당히 클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점은 어업생산통계에서도 쉽게 확인되는데, 난류성 어종인 고등어, 멸치, 살오징어, 다랑어류는 1990년대 이후 수온 상승 시점과 맞물려 어획량이 증가한 반면, 한류성 어종인 명태, 임연수어 등은 감소하였다(NFRDI, 2013). 이러한 상황을 반영하여 수온 등 기후변화 요인과 어획량의 관계를 탐구하려는 연구가 여러 차례 시도되었는데, 이들 연구로는 특정 어종에 대해 과거 어획량 자료와 수온, 염분 등의 자료를 이용하여 상관성을 확인하거나(Kim et al.
기존의 수온 등 기후변화 요인과 어획량의 관계를 탐구하려는 연구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 2015) 연구 등이 있다. 그러나 Eom et al.(2015)을 제외한다면 연구 대상이 특정 어장의 특정 어종(멸치, 오징어, 꽁치 등)에 국한되어 있고 수온 또는 염분 이외 다른 요인의 영향을 통제하고 있지 못하여 기후변화의 영향을 일반화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따라서 기후변화의 영향을 파악하고 예측하기 위해서는 거시적인 차원에서 기후변화 요소와 어획량간의 관계를 명확히 규명하는 더 많은 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수산자원의 분포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무엇인가? 수산자원의 분포에 큰 영향을 미치는 수온은 기후변화의 핵심 요소로서 수산 분야 기후변화와 관련하여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수온 상승률은 전 지구 수온 상승률의 2〜3배에 달하는 것으로 보고되어(KMA, 2014) 수산자원에 미치는 영향도 상당히 클 것으로 여겨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Belotti, F., Hughes G., and Mortari, A. P. (2013), "Xsmle-a Command to Estimate Spatial Panel Models in Stata," 2013 German Stata Users Group Meeting, June 7, 2013, Potsdam, German. 

  2. Eom, K. H., Kim, H. S., Han, I. S., and Kim, D. H. (2015) "An analysis of changes in catch amount of offshore and coastal fisheries by climate change in Korea," The Journal of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46 (2), 31-41. 

  3. Kim, J. K., Choi, O. I., Change, D. S. and Kim, J. I. (2002), "Fluctuation of Bag-net Cateches off Wando, Korea and the Effect of Sea Water Temperature," Journal of Korean Fisheries Society, 35 (5), 497-503. 

  4. Kim, Y. H., Moon, C. H., Choi, K. H. and Lee, C. I. (2010), "Relationship between Squid (Todarodes pacificus) Catch by Sea Block and Marine Environment in the East Sea during 1980s and 1990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16 (3), 259-268. 

  5. KMA(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4), Korean Climate Change Report 2014. 

  6. KODC(Korea Oceanographic Data Center) (2015), National serial oceanographic observation data, National Fisheries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7. Lee, C. I., Jang, L. H. and Park, S. E. (2009), "Influence of Water Temperature During the Main Spawning Period on Anchovy Catch,"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 42 (3), 297-301. 

  8. Lee, S. W., Yoon, S. D., Park, J. Y. and Min, S. H. (2006), Applied Spatial Econometrics, Parkyoungsa. 

  9. LeSage, J. P. and Pace, R. K. (2009), Introduction to Spatial Econometrics. US: CRC Press Taylor & Francis Group. 

  10. NFRDI(National Fisheries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2013), Climate Change and the Status of Food Supply: focused on Fishery Products. 

  11. Oh, S. Y., Jang, S. W. and Yoon, H. J. (2011), "Variations of catch of Anchovy and Saury due to oceanic climate change in the Korean seas,"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15 (3), 740-746. 

  12. Statistics Korea KOSIS (2015), "Survey on the Fishery Prodution," accessed September 14, 2015 [available at http://kosis.kr].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