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손 기능 훈련이 손의 기민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and Function Training on Hand Dexterity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 대한통합의학회지, v.3 no.4, 2015년, pp.11 - 21  

장철 (경남정보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이제영 (경남정보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송민옥 (경남정보대학교 작업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material about the treatment effect of hand function training and writing training being performed as a part of treatment to improve the function of the non-dominant hand of the patients whose dominant hand is damaged and thus need to improve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손 기능 훈련 프로그램 적용이 우세손과 비우세손의 기민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상생활활동이란 무엇인가? 일상생활활동이란 누구나 매일 반복하여 수행하는 자조활동이며, 인간으로서의 기능수준을 유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활동으로써 기본적 일상생활활동과 도구적 일상생활활동으로 분류된다(김희영, 2008). 일상생활동작 및 직업의 수행은 상지와 손의 기능을 위한 매우 중요한 부분 중 하나이다(김연희 등, 1984).
일상생활활동은 어떻게 분류되는가? 일상생활활동이란 누구나 매일 반복하여 수행하는 자조활동이며, 인간으로서의 기능수준을 유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활동으로써 기본적 일상생활활동과 도구적 일상생활활동으로 분류된다(김희영, 2008). 일상생활동작 및 직업의 수행은 상지와 손의 기능을 위한 매우 중요한 부분 중 하나이다(김연희 등, 1984).
손의 기민성 평가는 일반적으로 어떤 결과를 나타내는가? 작업치료사들은 환자들의 일상생활 능력을 평가하거나 치료 전, 후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기민성 평가를 한다. 일반적으로 손의 기민성은 여자가 남자보다 약간 빠르고 연령군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며 우세손이 오른손 일 경우 우세손이 더 빠르나 우세손이 왼손일 경우 불규칙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졌다(이택영 등, 1999; Agnew 등, 1982; Mandell 등, 1984; Mathiowezs 등, 198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공미희(2009). 성인 뇌손상 환자의 쓰기 훈련이 손기능에 미치는 효과. 동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김연희 등(1993). 타자기 사용 유무에 따른 손의 기민성과 장악력에 관한 비교 분석.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1), 3-10. 

  3. 김윤태 등(1994). 연령에 따른 장악력과 손의 기민성평가. 대한재활의학협회지, 18(4), 780-788. 

  4. 김진호, 한태륜(2002). 재활의학. 서울, 군자출판사. 

  5. 김희영(2008). 노인의 손 기능 및 장악력과 도구적 일상생활활동의 독립성과의 관계. 치매작업치료학회지, 2(2), 1-12. 

  6. 박은정 등(2005). 휴대전화기 문자 쓰는 속도와 손의 민첩성과의 상관관계.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3(3), 59-67. 

  7. 이상헌, 정민예(2002). 20대 정상인의 Complete Minnets ota Dexterity Test 표준 자료.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0(2), 119-126. 

  8. 이택영 등(1999). 뇌졸중 환자의 환측 상지 기능이 건측손의 기민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작업치료학회지, 7(1), 56-67. 

  9. Agnew PJ, Mass F(1982). Hand function related age and sex. Arch Phys Med Rehabil, 63, 269-271. 

  10. Backmen C, Mackie H, Harris T(1991). Arthritis hand function test: development of a standardized assessment tool. Occup Ther J Res, 11, 245-255. 

  11. Desrosiers J, Bravo G, Hebert R, et al(1994). Validation of the box and block test as a measure of dexterity of elderly people: reliability, validity, and norms. Arch Phys Med Rehabil, 75(7), 751-755. 

  12. Exner CE(1990). In-hand manipulation skills in normal young children: a pilot study. Occup Ther Practice, 1, 63-72. 

  13. Exner CE(1996). Development of hand skills. In j.C. Smith, A. S. Allen, & P. N. Pratt (Eds), Occupational therapy for children (3rd ed., 1996;268-306). St. Louis, Mosby. 

  14. Falconer J, Hugues SL, Naughton Bj, et al(1991). Self report and performance-based hand function as correlates of dependency in the elderly. J Am Geriatric Soc, 39, 695-699. 

  15. Farber SD(1991). Assessing neuromotor performance enablers. Occupational Therapy: overcoming human performance deficits. Now Jersey, slack, pp.512. 

  16. Gallahue DL(1968).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ual and motor abilities. Res Quately, 39, 948-951. 

  17. Mandell Rj, Nelson DL, Cermark SA(1984). Differential laterality of hand function in right-handed and left-handed boys. Am J Occup Ther, 38, 114-120. 

  18. Mathiowetzs V, Volland G, Kashman N, et al(1985). Adult norms for the box and block test of manual dexterity. Am J Occup Ther, 39, 386-391. 

  19. Melvin JL(1985). Roles and functions of occupational therapy in hand rehabilitation. Am J Occup Ther, 39(12), 795-798. 

  20. Super D(1949). Appraising vocational fitness. New York, Harper. 

  21. Thrombly CA(1989). Occupational therapy for physical dysfunction. 3rd ed, Baltimore, Williams & Wilkins, pp.512-53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