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손 기능 강화 훈련이 손의 기민성과 장악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and Function Build-up Training on Dexterity and Grasp Strength of Hand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 대한통합의학회지, v.4 no.2, 2016년, pp.77 - 88  

장철 (경남정보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박성호 (경남정보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김경희 (경남정보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김민제 (경남정보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이제영 (경남정보대학교 작업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n effect exerted to non-affected hand and affected hand of patients by performing training of chopsticks and grasp strength that are helpful to dexterity and grasp strength of hand together with training method of joint exercise, muscle strength b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손 기능이 저하된 환자들에게 적용 되고 있는 작업치료 방법 중 손의 기능회복에 효과적인 관절운동, 근력강화훈련, 세밀한 손 기능 훈련 등의 훈련 방법과 더불어 손의 기민성과 장악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젓가락 훈련과 장악력 훈련을 실시하여 대상자의 우세손과 비우세손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손 기능이 저하된 환자들에게 적용되고 있는 작업치료 방법 중 손의 기능회복에 효과적인 관절운동, 근력강화훈련, 세밀한 손 기능 훈련 등의 훈련방법과 더불어 손의 기민성과 장악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젓가락 훈련과 장악력 훈련을 실시하여 대상자의 우세손과 비우세손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젓가락 훈련과 장악력 훈련으로 인한 손 기능 향상을 알아보기 위해 훈련 전 초기 평가, 중간평가, 훈련 후 최종평가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손의 주요기능은 무엇인가? 손의 주요기능은 잡기, 놓기, 도달하기이며 손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물체를 다루는 능력인 기민성과 손 전체로 잡는 장악력은 손의 기능을 반영하는 중요한 측정치가 된다(Carroll, 1965).
팔 기능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하는 작업치료사는 마비측 기능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식사하기, 옷입기, 개인 관리 등 대부분의 일상생활 동작은 팔에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팔 기능 상실 시 독립적인 일상생활에 문제를 초래한다(Cooper 등, 1993; Tong & Mak, 2001). 따라서 팔 기능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하는 작업치료사는 마비 측 기능에 관심을 가지고 이에 대한 꾸준한 연구가 필요하다(이택영 등, 1999).
손의 기능은 무엇이 있는가? 손은 외부와의 접촉을 통해 놀이(play), 일(work), 그리고 일상생활활동과 같은 자기 관리활동(self-maintenance)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손은 자신과 다른 사람의 신체, 그리고 사물과의 접촉을 통한 과제 수행에 사용되는 유용한 도구로서(이미자와 이규리, 1997), 뻗기(reach), 잡기(grasp), 옮기기(carry), 놓기(release), 손안 조작(in hand manipulation), 양측 손 사용(bilateral hand use)의 기능들이 있다(Exner, 199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공미희(2009). 성인 뇌손상 환자의 쓰기 훈련이 손기능에 미치는 효과. 동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김명진, 유영민, 이향진 등(2013). 글씨쓰기 훈련과 근력 훈련이 비우세손 기능과 근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통합의학회지, 1(2), 23-35. 

  3. 김연희, 오장환, 조은희(1993). 타자기 사용 유무에 따른 손의 기민성과 장악력에 관한 비교 분석.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1), 3-10. 

  4. 김진호, 한태륜(2002). 재활의학. 서울, 군자출판사 

  5. 류인태(2006).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가 편마비측 손기능 증진에 미치는 효과. 용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 박경영, 정민예(2002). Jebsen-Taylor Hand Function Test 중 쓰기 항목의 국어 문장 간 비교연구.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0(1), 35-41. 

  7. 박은정, 박장미, 배은주 등(2005). 휴대전화기 문자 쓰는 속도와 손의 민첩성과의 상관관계.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3(3), 59-67. 

  8. 방요순, 김희영(2008). 실제 환경과 구조화된 환경이 비우세손의 젓가락 기술 습득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육 발달학회지, 16(3), 181-185. 

  9. 오혜원(2009). 한국 정상 성인의 미세 손 조작 능력에 대한 연구. 가야대학교 논문집, 15, 157-177. 

  10. 이미자, 이규리(1997). 뇌성마비아동의 잡기(grasp) 패턴에 대한 연구. 대한작업치료학회지, 5(1), 34-40. 

  11. 이상헌, 정민예(2002). 20대 정상인의 Complete Minnetsota dexterity Test 표준 자료.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0(2), 119-126 

  12. 이택영, 오재근, 김혜영 등(1999). 뇌졸중 환자의 환측 상지 기능이 건측 손의 기민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작업치료학회지, 7(1), 56-67. 

  13. Agnew PJ, Mass F(1982). Hand function related age and sex. Arch Phys Med Rehabili, 63(6), 269-271. 

  14. Backman C, Mackie H, Harris T(1991). Arthritis hand function test: development of a standardized assessment tool. Occup Ther J Res, 11(4), 245-255. 

  15. Carroll D(1965). A quantitative test of upper extremity function. J Chron Dis, 18(5), 479-491. 

  16. Chen HM, Chang JJ(1999). The skill components of a therapeutic chopsticks task and their relationship with hand function tests. Kaohsiung J Med Sci, 15(12), 704-709. 

  17. Cooper JE, Shwedyk E, Quanbury AO, et al(1993). Elbow joint restriction: effect on functional upper limb motion during performance of three feeding activities. Arch Phys Med Rehabil, 74(8), 805-809. 

  18. Desrosiers J, Bravo G, Hebert R, et al(1994). Validation of the box and block test as a measure of dexterity of elderly people: reliability, validity, and norms. Arch Phys Med Rehabil, 75(7), 751-755. 

  19. Exner CE(1996). Development of hand skills. In j.C. Smith, A. S. Allen, & P. N. Pratt (Eds), Occupational therapy for children 3rd ed, pp.268-306. 

  20. Farber SD(1991). Assessing neuromotor performance enablers. Occupational Therapy: overcoming human performance deficits. Now Jersey, Slack. 

  21. Gallahue DL(1968).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ual and motor abilities. Research quarterly. American Association for Health, Phys Educ Recreation, 39(4), 948-952. 

  22. Ghiselli FE, Campbell JP, Zedeck S(1981). Measurement theory for the behavioral science. San Francisco, Freeman. 

  23. Hill JP(1986). Spinal cord injury. 1st ed, Rockville, Md. : Aspen Publishers. 

  24. Jeannerod, M(1988). The neural and behavioural organization of goal-directed movements. Oxford UK, Clarendon Press., xii. 

  25. Joseph T(1968). Perdue Pegboard examiner manual. Chicago : Science Research Associates. 

  26. Mandell Rj, Nelson DL, Cermark SA(1984). Differential laterality of hand function in right-handed and left-handed boys. Am J Occup Ther, 38(2), 114-120. 

  27. Mathiowetz V, Volland G, Kashman N, et al(1985). Adult norms for the box and block test of manual dexterity. Am J Occup Ther, 39(6), 386-391. 

  28. Melvin JL(1985). Roles and functions of occupational therapy in hand rehabilitation. Am J Occup Ther, 39(12), 795-798. 

  29. Napier JR(1956). Prehensile movement of the human hand. Journal Bone and Joint Surgery. 38(B). 902-913, 913, as cited by Charle Long, II, Conrad, P.W., Hall, E.A., & Furles, S.I.(1970). Intrinsic-extrinsic muscle control of the hand in power grip and precision handling. J Bone Joint Surg, 52A(5), 853-866. 

  30. Super DE(1949). Appraising vocational fitness. New York, Harber Brothers. 

  31. Tong KY, Mak AFT(2001). Development of computer based environment for simulation the voluntary upper- limb movements of persons with disability. Med Biol Emg Comput, 39(4), 414-421. 

  32. Trombly CA(1989). Occupational therapy for physical dysfunction. 3rd ed, Baltimore, Williams & Wilkins, pp.161-182. 

  33. Trombly CA(1991). Occupational therapy for physical dysfunction. 3rd ed, Baltimore, Williams & Wilkins, pp.512-530. 

  34. Trombly CA, Scott Ad(1997).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and function. Baltimore, Williams & Wilkins Co, pp.235-24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