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우/ 합성모음 연속체에 대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청지각적 경계
Perceptual Boundary on a Synthesized Korean Vowel /o/-/u/ Continuum by Chin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7 no.4, 2015년, pp.111 - 121  

윤지현 (충남대학교) ,  김은경 (충남대학교) ,  성철재 (충남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auditory boundary between Korean /o/ and /u/ on a synthesized vowel continuum by Chin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Preceding researches reported that the Chinese learners have difficulty pronouncing Korean monophthongs /o/ and /u/. In this experiment, a nine-step 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실험에서는 버튼 클릭 실수의 빈도가 증가할 가능성 때문에 참가자에게 빠르게 반응하도록 요구하지 않았으나, 경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각 사례의 반응시간을 순위자료로 가공하였다.
  • 더욱이 한국어 /오/-/우/ 합류 경향은 학습자 스스로 모음 범주를 습득하는 데 어려움을 가중시키므로 중국인 학습자에게 /오/, /우/ 발음을 지도할 때에는 반드시 듣기 훈련을 병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 참가한 중국인 학습자들의 지각과 산출 간 연관성은 후속 연구를 통해 규명하고자 한다.
  • 그러나 단순 작업이 반복되면 참가자는 과제에 대한 흥미와 집중력을 잃게 되고, 연속체에 적응하면 자신의 청지각적 기준을 연속체에 맞추어 조정할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어디까지나 포먼트 변조 시료에 대한 지각판정으로부터 실제 자연발화 음성에 대한 지각을 예측하는 것이다. 따라서 합성시료 연속체 자체의 구조적 특성이 미치는 영향은 작을수록 바람직하다.
  • 실험자극의 제시 순서가 지각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반복 시행을 통하여 자극 제시 순서가 실험결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감소시키고자 하였다. 그러나 단순 작업이 반복되면 참가자는 과제에 대한 흥미와 집중력을 잃게 되고, 연속체에 적응하면 자신의 청지각적 기준을 연속체에 맞추어 조정할 가능성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어 단모음에 대하여 표준어 규정에는 단모음을 무엇이라 정의하는가? 한국어 단모음 체계에 대해서도 학자마다 의견을 달리하나 국립국어원의 표준어 규정에는 ‘ㅏ ㅐ ㅓ ㅔ ㅗ ㅚ ㅜ ㅟ ㅡㅣ’가 단모음으로 명시되어 있다. 이 중 ‘ㅓ ㅗ ㅜ’가 후설 모음으로 분류되는데, 현대 한국어 모음 체계에서는 /오/의 고모음화로 인한 /오/, /우/ 모음의 합류(merge) 현상이 나타나(Han& Kang, 2013; Kang & Han, 2013; Han et al.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은 어떤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은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은 한국어 후설모음 /오/, /우/를 정확히 구별하여 발음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표준 중국어 모음 체계에 대해서는 다양한 견해가 있으나, 그 중 Xu(1980)는 성절 자음과 권설 모음을 제외한 /i/, /y/, /u/, /ə/, /a/의 5모음 체계를 제시하였다.
한국어 /오/, /우/의 특이할만한 사항은 무엇인가? 한국어 /오/, /우/는 제1, 2포먼트 값이 매우 가깝게 나타난다. 특이할 만한 사항은 후설고모음으로 분류되는 /우/보다 /오/의 F2 수치가 낮거나 비슷하다는 점이다(Yang, 1996; 조성문, 2003; 성철재, 2004; 문승재, 2007). /오/가 /우/보다 혀 뒤쪽에서 발음되기 때문에 강영애 외(2010)는 한국어 모음 음향 공간을 더 정밀하게 파악하려면 ‘이-에-아-오-우’의 오각형 면적을 살펴봐야 한다고 논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Boersma, P. & Weenink, D. (2014). Praat: doing phonetics by computer [Computer program] Version 5.3.63. Retrieved from http://www.praat.org/ on January 24, 2014. 

  2. Bradlow, A. R. (1996). A perceptual comparison of the /i/-/e/ and /u/-/o/ contrasts in English and in Spanish: Universal and language-specific aspects. Phonetica, 53, 55-85. 

  3. Chae, S.-Y. (1999). The core-periphery structure in the Korean lexicon reflected in a phonological variation and change. Studies in Phonetics, Phonology, and Morphology, 5(1), 217-236. (채서영 (1999). 음운 변화에 나타난 한국어 어휘의 층위구조. 음성음운형태론연구, 5(1), 217-236.) 

  4. Cho, S. (2003). An acoustic study of Korean vowel system.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24, 427-441. (조성문 (2003). 현대 국어의 모음 체계에 대한 음향음성학적인 연구. 한국언어문화, 24, 427-441.) 

  5. Duanmu, S. (2007). The phonology of Standard Chinese, 2nd edition.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6. Eom I.-s. (2005). Standard Mandarin pronunciations and the effective teaching methods. The Chinese Linguistic Society Of Korea, 20, 323-355. (엄익상 (2005). 정확한 중국어 발음과 효과적인 지도 방안. 중국언어연구, 20, 323-355.) 

  7. Greiner, M., Pfeiffer, D., & Smith, R. D. (2000). Principles and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receiver-operating characteristic analysis for diagnostic tests. Preventive Veterinary Medicine, 45, 23-41. 

  8. Han, J. & Kang, H. (2013). Cross-generational change of /o/ and /u/ in Seoul Korean I: Proximity in vowel space.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5(2), 25-31. 

  9. Han, J., Kang, H., & Kim, J. (2013). Cross-generational differences of /o/ and /u/ in informal text reading.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5(4), 201-207. (한정임, 강현숙, 김주연 (2013). 편지글 읽기에 나타난 한국어 모음 /오/-/우/의 세대간 차이. 말소리와 음성과학, 5(4), 201-207.) 

  10. Han, J. & Kim, J. (2011). A one-year longitudinal study of Korean vowel productions by Chinese learners. Korean Journal of Linguistics, 36(4), 1101-1115. (한정임, 김주연 (2011). 중국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모음 습득 과정에 대한 1년간의 종단연구. 언어, 36(4), 1101-1115.) 

  11. Hao, W. (2005). A comparative study of the Chinese and Korean monophthong based on experimental phonetic analysis. M.A.Thesis, Ewha Womans University.(학미 (2005). 한국어와 중국어의 단모음 비교연구 : 실험음성학적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2. Igeta, T., Sonu, M., & Arai, T. (2014). Sound change of /o/ in modern Seoul Korean: Focused on relations with acoustic characteristics and perception.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6(3), 109-119. 

  13. Jang, G. (2014). The study on the acquisition of Korean monophthongs by Chinese female Korean learners: Based on the results of learners' voice outputs.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11(2), 161-186. (장국화 (2014). 중국인 여성 학습자의 한국어 단모음의 발음 습득 양상 : 초.중.고급 학습자의 음성산출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학, 11(2), 161-186.) 

  14. Kang, H. & Han, J. (2013). Cross-generational change of /o/ and /u/ in Seoul Korean II: Spectral interactions in normalized vowel space.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5(2), 33-41. 

  15. Kang, Y., Yoon, K., Lee, H., & Seong, C. J. (2010). A comparison of parameters of acoustic vowel space in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2(4), 185-192. (강영애, 윤규철, 이학승, 성철재 (2010). 파킨슨병 환자의 음향 모음공간 비교. 말소리와 음성과학, 2(4), 185-192.) 

  16. Kim, J. (2009). A study on the teaching plan of the Korean language pronunciation to Chinese learners: Focused on thecontrast between Korean and Chinese vowel systems. M.A. Thesis, Daegu University. (김정욱 (2009).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교수 방안 연구 : 한국어와 중국어 모음 체계 대조를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7. Kim, J. (2013). A longitudinal study of Korean vowel production by Chinese learners of Korean.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5(2), 71-79. (김주연 (2013). 중국인 학습자가 발음한 한국어 단모음에 대한 종단 연구. 말소리와 음성과학, 5(2), 71-79.) 

  18. Kim, S. & Yoon, K. (2015). A study on the male vowel formants of the Korean Corpus of Spontaneous Speech.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7(2), 95-102. (김순옥, 윤규철 (2015). 한국어 자연발화 음성코퍼스의 남성 모음 포먼트 연구. 말소리와 음성과학, 7(2), 95-102.) 

  19. Kim, T.-K. (2014). Phonemic discrimination of Korean by native Chinese speakers.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n International Context, 62, 405-425. (김태경 (2014). 중국어 모어 화자의 한국어 음소 변별에 대한 연구. 국제어문, 62, 405-425.) 

  20. Kim, Y.-S., Kim, K. H., Kim, J. Y., & Jang, J.-S. (2013). A study on the formant comparison of Korean monophthongs according to age and gender: A survey on patients in oriental hospitals.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5(1), 73-80. (김영수, 김근호, 김종열, 장준수 (2013). 연령 및 성별에 따른 한국인 단모음 포먼트 비교에 관한 연구 : 한방병원 내원환자를 중심으로. 말소리와 음성과학, 5(1), 73-80) 

  21. Ladefoged, P. & Johnson, K. (2011). A course in phonetics, International Edition 6e. Cengage Learning. 

  22. Moon, S.-J. (2007). A fundamental phonetic investigation of Korean monophthongs. Malsori, 62, 1-17. (문승재 (2007). 한국어 단모음의 음성학적 기반연구. 말소리, 62, 1-17.) 

  23. Oh, C. R. & Kwon, S. B. (2013). An acoustic feature comparison on Koreans monopthongs between Chinese' Korean learners and Korean. Journal of Speech-Language & Hearing Disorders, 22(1), 149-167. (오초롱, 권순복 (2013).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인의 한국어 단모음에 관한 음향학적 특성 비교. 언어치료연구, 22(1), 149-167.) 

  24. Park, J.-Y. (2010). A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perception andproduction on Korean monophthongs for Chinese learners ofKorean language. M.A. Thesis, Korea University.(박지연 (2010).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단모음 지각과 산출 관계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5. Scholes, R. J. (1968). Phonemic interference as a perceptual phenomenon. Language and Speech, 11, 86-103. 

  26. Seo, S.-A. (2010). A study on teaching Korean pronunciation to Chinese: Focusing on consonants and vowels. M.A. Thesis, Woosuk University.(서승아 (2010).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 : 자음과 모음을 중심으로. 우석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7. Seong, C. J. (2004). An acoustic analysis on the Korean 8 monophthongs: With respect to the acoustic variables on the F1/F2 vowel space.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23(6), 454-461. (성철재 (2004). 한국어 단모음 8개에 대한 음향분석 : F1/F2 모음공간에서의 음향변수를 중심으로. 한국음향학회지, 23(6), 454-461.) 

  28. Seong, C. J., Gim, C.-G., & Kwon O.-W. (2014). kPhonetica [Computer program] Version 2.07. Retrieved from http://cjseong.blog.com/software/ on April 20, 2014. 

  29. Seong, C. J., Gim, C.-G., Lee, J.-H., & Kwon O.-W. (2008). A tonal analysis of East-Southern Gyeongnam dialect using Q-tone Perceptual Sense Grade. Hangeul, 279, 5-33. (성철재, 권오욱, 이지향, 김차균 (2008). Q-tone 청취 등급을 이용한 경남 동남부 방언 성조 분석. 한글, 279, 5-33.) 

  30. Wu, Z. (1991). Xiandai Hanyu Yuyin Gaiyao. Beijing: Huayu Jiaoxue Chubanshe. (吳宗濟 (1991). 現代漢語語音槪要. 北京: 華語敎育出版社.) 

  31. Xu, S. (1980). Phonology of Standard Chinese. Beijing: Wenzi Gaige Chubanshe. (徐世榮 (1980). 普通話語音知識, 北京: 文子改革出版社.) 

  32. Yang, B. (1996). A comparative study of American English and Korean vowels produced by male and female speakers. Journal of Phonetics, 24, 245-261. 

  33. Yoon, T.-J. & Kang, Y. (2014). Monophthong analysis on a large-scale speech corpus of read-style Korean.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6(3), 139-145. (윤태진, 강윤정 (2014). 한국어 대용량발화말뭉치의 단모음분석. 말소리와 음성과학, 6(3), 139-145.) 

  34. Yun, J., Kim, E. K., & Seong, C. J. (2014). Perception of synthesized Korean /o/-/u/ continuum by Chin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Proceedings of the 2014 Autumn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f Speech Sciences, 171-172. (윤지현, 김은경, 성철재 (2014).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오/-/우/ 합성시료 연속체 지각. 2014 한국음성학회 가을학술대회발표 논문집, 171-172.) 

  35. Yun, J. & Seong, C. J. (2013). Effects of F1/F2 manipulation on the perception of Korean vowels /o/ and /u/.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5(3), 39-46. (윤지현, 성철재 (2013). F1/F2의 변화가 한국어 /오/, /우/ 모음의 지각판별에 미치는 영향. 말소리와 음성과학, 5(3), 39-46.) 

  36. Yun, W., Yoon, K., Park, S., Lee, J., Cho, S., Kang, D., Byun, K., Hahn, H., & Kim, J. (2015). The Korean Corpus of Spontaneous Speech.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7(2), 103-10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