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학문제해결력 증진을 위한 프로젝트 활용의 역사와 그 적용의 분석
A study on the history of project approach and its application for improving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skill 원문보기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 한국수학사학회지, v.28 no.6, 2015년, pp.333 - 348  

한선영 (Dept. of Math. Edu., Sungkyunkwan Univ.) ,  이장주 (Dept. of Math. Edu., Sungkyunkwan Univ.)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oblem sovling skill is one of the core skills in mathematics education. To improve students' problem solving skill, the project approach or project based learning has been developed and applied. A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utilizing 'project' encourages students to understand the problem emb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이 역사적으로 정의했던 ‘프로젝트’, ‘구안법’, ‘프로젝트접근법’, ‘프로젝트기반학습’의 개념을 반영하고 있는지 살펴본다.
  • 이것이 프로젝트를 활용한 교수·학습 방식이 ‘문제해결력’ 이라는 수학교육의 핵심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제시될 수 있는 이유이다. 다음 절에서는 이에 따라 근 10여 년간의 프로젝트 기반 학습에 관한 연구 논문이 문제해결과 프로젝트에 대한 역사적 정의를 잘 반영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살펴보기로 한다.
  • ‘PBL’, ‘프로젝트 기반학습’, ‘project based learning’, ’프로젝트 접근법’, ‘과제기반학습’을 검색 키워드로 사용하였다. 둘째, 검색된 논문 중 학위논문을 제외하고 국내학술지에 게재된 논문만을 포함시켜 그 결과의 신뢰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즉, 학위논문의 경우 기관 및 학위의 종류에 따라 논문의 질에 큰 편차를 보여 학위논문에 근거한 연구의 결과를 신뢰하여 본 연구에 반영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 둘째, 본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 올바르게 프로젝트를 활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그동안 학술 논문에서 다루어졌던 프로젝트들의 성격을 분석하여 앞으로 개선되어져야 할부분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문제해결’과 ‘프로젝트’의 역사적인 발생 배경에 맞지 않게 프로젝트를 구상하고 실행하는 경우가 적지 않게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 교사가 프로젝트의 개념을 잘못 이해하고 이를 수업에 적용하면 프로젝트 기반 학습의 학습자에 대한 긍정적 효과를 기대하기가 힘들다. 따라서 본 연구는 프로젝트의 올바른 개념을 정립하기 위해서 그 역사적 해석을 고찰하고 프로젝트기법 및 프로젝트 기반 학습의 실질적 적용에 대한 근 10여 년간의 국내 연구를 분석한다. 이로써 프로젝트활용의 연구 및 교육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장에서는 그동안 수학 및 수학교육 분야의 연구에서 정의된 ‘문제해결’의 의미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 또한 이 결과를 바탕으로 프로젝트활용이 ‘수학과제탐구’라는 하나의 과목에서 특별히 다루어질 것이 아니라 학교 수학 수업 전반에 걸친 교수·학습 방법으로 활용되어야 할 필요성에 대해 논할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수학과제탐구’라는 새로운 수학 과목의 근간인 프로젝트 기반 학습이 어떻게 문제해결력 함양에 도움을 주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수학교육의 목표 중 하나로 강조되고 있는 문제해결력을 위해 학교 현장에서 시도할 수 있는 전략으로 본 연구는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 과연 프로젝트 기반학습이 문제해결력이라는 교육 목표를 달성하는 데 효과적인가라는 질문에 대해 문제해결및 프로젝트에 대한 역사적 고찰을 통해 접근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프로젝트의 올바른 개념을 정립하기 위해서 그 역사적 해석을 고찰하고 프로젝트기법 및 프로젝트 기반 학습의 실질적 적용에 대한 근 10여 년간의 국내 연구를 분석한다. 이로써 프로젝트활용의 연구 및 교육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이 결과를 바탕으로 프로젝트활용이 ‘수학과제탐구’라는 하나의 과목에서 특별히 다루어질 것이 아니라 학교 수학 수업 전반에 걸친 교수·학습 방법으로 활용되어야 할 필요성에 대해 논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학핵심역량 6가지는 무엇인가? 문제해결역량은 그 동안 수학 교과목의 교수·학습 목표로서 지속적으로 강조되어 왔다. 2017년부터 시행될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도 문제해결역량을 포함한 6가지 수학핵심역량(예: (1) 문제해결, (2) 추론, (3) 의사소통, (4) 창의·융합적 사고, (5) 정보처리,(6) 태도 및 실천) 이 제시되어 앞으로도 학교수학에서 문제해결역량을 위한 교수·학습이지속적으로 강조될 전망이다 [25].
문제해결의 의미 규정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문제해결(problem solving)’의 의미 규정은 문제해결 역량을 정의하는 데 있어서 뿐만아니라 과제기반학습, 특히 본 논문의 주제인 프로젝트 기반학습의 필요성을 설명하는데 있어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장에서는 그동안 수학 및 수학교육 분야의 연구에서 정의된 ‘문제해결’의 의미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이 수학적 문제 해결력을 신장시키기 위해 유의해야 할 점은 무엇인가? (1) 문제 해결은 전 영역에서 지속적으로 지도한다. (2) 학생 스스로 문제 상황을 탐색하고 수학적 지식과 사고 방법을 토대로 해결 방법을 적절히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게 한다. (3) 문제 해결의 결과뿐만 아니라 문제 해결 방법과 과정, 문제를 만들어 보는 활동도 중시한다. (4) 생활 주변 현상, 사회 현상, 자연 현상 등의 여러 가지 현상에서 파악된 문제를 해결하면서 수학적 개념, 원리, 법칙을 탐구하고, 이를 일반화하게 한다(p. 3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BARRON B. J. S. et al, The Cognition and Technology Group at Vanderbilt (1998), Doing with understanding: Lessons from research on problem- and project-based learning, The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7(3-4), 271-311. 

  2. CAPRARO R. M., CAPRARO M. M., MORGAN J. R. (Eds.), STEM project-based learning: An integrated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STEM) approach,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3. 

  3. CHANG H., Diversity of Problem Solving Methods about a Problem of Area from the History of Mathematics by High Achiev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Korean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21(4) (2008),153-168.(장혜원, 수학사의 한 넓이 문제에 대한 초등수학 우수아의 풀이 다양성 탐색, 한국수학사학회지 21(4) (2008),153-168.) 

  4. CHOI H., PAIK S., An Analysis on the Mathematical Communication and Attitudes in the Process of Solving Mathematical Project Problems,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10(1) (2006), 43-66.(최혜령, 백석윤, 프로젝트형 문제 해결 과정에서 보이는 수학적 의사소통 활동과 수학적 태도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0(1) (2006), 43-66.) 

  5. DEWEY J., Experience and education, New York, NY: Macmillan, 1938. 

  6. HAN S. et al, In-service teachers' implementation and understanding of STEM project based learning, Eurasia Journal of Mathematics,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11(1) (2015), 63-76. 

  7. JEON Y., Teaching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Through Mentor-Project Studying,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9(2) (2013), 163-177.(전영주, 사사프로젝트 학습을 통한 수학영재 지도,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9(2) (2013), 163-177.) 

  8. JUNG M., JANG S., The Effect of the Project-Learning for Gifted Student on Improvement of Creativity,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and Talented 12(2) (2013), 69-91.(정민수, 장성민, 프로젝트 학습이 영재의 창의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영재와 영재교육 12(2) (2013), 69-91.) 

  9. KANTOWSKI M. G., Some thoughts on teaching for problem solving, NCTM Yearbook, 1980, 195-203. 

  10. KATZ L., CHARD S., Engaging children's mind: The project approach(2nd Ed.), Standford, CT: Aplex Publishing Co, 1995. 

  11. KILPATRICK W. H., The Project Method, Teachers College Record, 1918. 

  12. KIM B., The Effect of Group Projects in College Mathematics Teaching,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3(4) (2009), 1043-1058.(김병무, 대학수학 학습에서 그룹 프로젝트의 효과, 수학교육논문집 23(4) (2009), 1043-1058.) 

  13. KIM B., Jung H. A Case Study of an Arts-Based STEAM Education Program Through Making a Symbolic Mobile Project, Art Education Research Review 27(3) (2013), 23-48.(김보람, 정현일, Mobile을 활용한 미술중심의 STEAM 교육프로그램 사례연구 : 학교 상징물 제작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미술교육논총, 27(3) (2013), 23-48.) 

  14. KIM J., Ancient Greece Mathematics and Oriental Mathematics, The Korean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20(2) (2007), 47-58.(김종명, 고대 그리스 수학과 동양수학, 한국수학사학회지 20(2) (2007), 47-58.) 

  15. KIM J., The Effect of Project Activity Based on Role Play on 5-Year-Olds' Mathematical Ability,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30(6) (2012), 115-127.(김지현, 역할놀이를 활용한 프로젝트 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0(6) (2012), 115-127.) 

  16. KIM S., HONG S., Developing Mathematical Learning Project Using Pyramid,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17(2) (2013), 245-263.(김상룡, 홍성민, 피라미드를 소재로 한 수학 학습 프로젝트 개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7(2) (2013), 245-263.) 

  17. LEE D., SEO K., The History of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The Korean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17(4) (2004),123-132.(이대현, 서관석, 수학 문제해결의 역사와 모델링 관점, 한국수학사학회지 17(4) (2004),123-132.) 

  18. LEE J., Knowledge Construction on Mathematics Problem Solving, The Korean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17(3) (2004),109-120.(이중권, 수학탐구학습에서 지식 형성에 대한 연구, 한국수학사학회지 17(3) (2004),109-120.) 

  19. LEE M., RIM H., A Design and Effect of STEAM PBL Based on the History of Mathematics, School Mathematics 15(1) (2013), 159-177.(이민희, 임해미, 수학사를 활용한 융합적 프로젝트기반학습(STEAM PBL)의 설계 및 효과 분석, 학교수학, 15(1) (2013), 159-177.) 

  20. LEW H., JANG I., The Strategic Thinking of Mathemat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in LOGO Project Learning,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20(4) (2010), 459-476.(류희찬, 장인옥, LOGO 를 이용한 프로젝트 학습에서 나타난 초등수학영재 학생들의 전략적 사고, 수학교육학연구 20(4) (2010), 459-476.) 

  21.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Curriculum of Mathematics (No. 2011-361), 33-36.(교육과학기술부, 수학과 교육과정 (제 2011-361호), 33-36.) 

  22. MOON Y., LEE H., The Effects of the Project Approach Method on Young Children's Measurement Ability and Mathematical Attitudes: "Wheel" Project Activity, Korea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54 (2008), 141-161.(문연심, ' 바퀴' 프로젝트 활동이 유아의 측정능력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 54 (2008), 141-161.) 

  23. NAM S., RYU S., BAEK S., A Study on Developing and Using Mathematics Learning Program Which Can Be Used To Connect Schooling and Home Education for the Other Days of 5 Days-Schooling: Centered on Project Learning, Journal of Korea Society of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10(1) (2008), 79-103.(남승인, 류성림, 백선수, 주 5일 수업제 시행에 따른 학교와 가정을 연계한 수학학습프로그램 개발과 활용에 관한 연구, 학교수학, 10(1) (2008), 79-103.) 

  24. PARK J., LEE H., A Study on the Awareness of the Gifted for the Camp of Mathematical Creative Solving Problem, Education for Scientific Talent 2(3) (2010), 17-29.(박종률, 이헌수, 수학 창의문제 해결 대회에 대한 영재학생들의 인식, 과학영재교육 2(3) (2010), 17-29.) 

  25. PARK S., A Draft on the Nature, Objective, Teaching-Learning, and Evaluation of the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A Forum on the Policy Research for the 2015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Development, 2015, 21-46.(박선화,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성격, 목표, 교수.학습 및 평가 시안,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정책 연구 공청회, 2015, 21-46.) 

  26. POLYA G., How to solve it,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1945. 

  27. 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PISA 2012 results: Creative problem solving, OECD, 2012. 

  28. REEFF J. P., New Assessment Tools for Cross-Curricular Competencies in the Domain of Problem Solving, URL (31.07. 2006): http://www.ppsw.rug.nl/-peschar/TSE.pdf, 1999. 

  29. SHIN D., The Content Organization and Relating Issues on the High School Mathematics Common Subject 'Mathematics Problem Solving', A Forum on the Policy Research for the 2015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Development, 2015, 91-93.(신동관, 고등학교 수학과 보통교과 '수학과제탐구' 내용 구성 및 관련 사항,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정책 연구 공청회, 2015, 91-93.) 

  30. SHIN S., CHO W., The Effects on Project-Based Learning Using UCC on Affective Domains: Focused on the "A Mathematician", Bull. Sci. Edu. 30(1) (2015), 1-16.(신수진, 조완영, UCC를 활용한 프로젝트 기반 수업이 수학의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과학교육연구논총 30(1) (2015), 1-16.) 

  31. SON J., A Case Study on Project Learning of Architectural Design in Job-Specialized High School Based on PDIE Model of STEAM, The Korean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12(3) (2012), 132-155.(손주민, STEAM의 PDIE모형을 적용한 특성화고 건축디자인 프로젝트 수업 사례 연구,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2(3) (2012), 132-155.) 

  32. YANG H., HONG J., SHIM K., Sutdy on Improving of Creativity of Gifted Students Using the Project-Based Task,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18(1) (2008), 111-137.(양희선, 홍진구, 심규철, 프로젝트 수행 활동을 통한 영재들의 창의성 신장에 대한 연구, 영재교육연구 18(1) (2008), 111-137.) 

  33. YOON E., Some Problems of the Project Approach in Practice,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15(3) (2006), 187-198.(윤은주, 프로젝트 접근법의 반성적 실천 : 그 이해와 오해, 유아교육 15(3) (2006), 187-19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