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동의 전정-고유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중재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국내연구를 중심으로
A Systematic Review of Effects on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Based on Vestibular-Proprioceptive System for Children in Korea 원문보기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The jornal of Korean society of sensory integration therapists, v.13 no.2, 2015년, pp.53 - 61  

박영주 (인제대학교 대학원 재활과학과) ,  공인주 (인제대학교 대학원 재활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아동을 대상으로 국내에서 실시하는 전정-고유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중재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체계적 고찰을 사용하여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15년 8~9월 동안 한국학술정보(K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누리미디어(DBpia)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감각통합중재', '감각통합치료', '전정-고유감각'을 키워드로 검색하여 최종적으로 7개의 연구를 선정하였다. 각 연구는 근거의 질적 수준과 방법론적 질적 수준으로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연구 설계와 대상자, 중재, 결과측정, 결과에 따라 분석하였다. 결과 : 분석에 포함된 연구의 근거수준은 수준 III이 5개, 수준 IV가 1개, 그리고 수준 V가 1개이었다. Down과 Black의 기준에 따라 대상 연구의 방법론적 질을 살펴보면, '완벽'과 '우수'는 0개, '보통'은 2개, '나쁨'은 5개이었다. 발달지연을 대상으로 한 단일대상연구가 가장 많았고 결과측정은 운동영역에 대한 평가요소 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결과는 평가영역에 대한 긍정적인 향상이나 긍정적인 감소를 보였다. 결론 : 국내 전정-고유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중재의 특징을 제시하여 관련 분야 전문가들이 이에 대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앞으로 감각통합 중재에 대해 높은 근거 수준과 다양한 실험설계를 바탕으로 한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n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s for korean children which focused on vestibular - proprioceptive system. Methods : Authors systematically searched published studies in DBpia, KISS and RISS databases from August to September 20...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감각통합중재에서 가장 빈번하게 사용하는(Park, Lee, Kim, & Chang, 2013) 전정-고유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중재의 효과를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 또한 본 연구에서는 양적 연구 측정방법인 D&B를 적용하여 방법론에 따른 질적 수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실시하고 있는 전정-고유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중재에 대한 연구를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연구의 특징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국내에서 진행된 전정-고유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중재의 근거 수준은 Ⅲ, Ⅳ, Ⅴ로 비교적 낮은 수준의 연구가 진행되었고 방법론적 질적 수준 또한 ‘보통’과 ‘나쁨’의 연구로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는 전정-고유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중재의 적용 및 효과를 체계적으로 고찰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데이터베이스는 국내 감각통합에 대한 체계적 고찰연구에서 사용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였다(Jung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정감각과 고유감각의 통합이 잘 이루어졌을 때의 이점은? 전정감각과 고유감각의 통합은 아동이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활동을 할 때 머리위치에서 받아들이는 감각과 신체위치에서 받아들이는 감각을 동시에 뇌로 전달한다(Kranowitz, 1998). 따라서 전정감각과 고유감각은 올바른 자세조절을 형성하여 운동능력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감각통합이 잘 이루어지면 적절한 근긴장도가 유지되고 자세조절이 향상된다(Hong & Kim 2007). 또한 발달학적으로 전정감각과 고유감각이 통합되어야 자세, 균형 및 근 긴장도가 완성되고 더 나아가 신체지각, 양측 협응, 운동계획 및 주의집중이 형성되기 때문에(Ayres, 1979), 아동을 대상으로 감각통합중재를 실시할 때 전정 감각과 고유감각의 통합은 매우 중요하다.
감각통합 중재에 사용되는 감각은? 감각통합은 적응반응을 만들어내기 위해 뇌에서 감각 정보를 조직화하는 과정으로, 신체 내부와 신체 외부에서 받아들이는 감각을 환경 속에서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능력이다(Ayres, 1979; Kimball, 1988). 감각통합 중재에 사용되는 감각에는 전정감각, 고유감각, 촉각, 시각, 청각 등이 있다(Ayres, 1979). 이런 다양한 감각들은 독립적으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주요 기본 감각인 고유감각, 전정감각, 촉각의 통합을 바탕으로 여러 가지 감각이 동시에 적용이 된다(Kim & Kim, 2007; Kim & Lee, 2005).
감각통합이란? 감각통합은 적응반응을 만들어내기 위해 뇌에서 감각 정보를 조직화하는 과정으로, 신체 내부와 신체 외부에서 받아들이는 감각을 환경 속에서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능력이다(Ayres, 1979; Kimball, 1988). 감각통합 중재에 사용되는 감각에는 전정감각, 고유감각, 촉각, 시각, 청각 등이 있다(Ayres, 197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2014). Guidelines for systematic review.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2. Arbesman, M., Scheeler, J., & Lieberman, D. (2008). Using AOTA's critically appraised topic (CAT) and critically appraised paper (CAP) series to link evidence to practice. OT practice, 13(5), 18-22. 

  3. Ayres, A. J. (1979). Sensory integration and the child. Los Angeles: Western psychological services. 

  4. Back, Y. H., Park, D. S., & Kang, S. K. (2002). The review on the evidence-based study of acupuncture. Journal of Korean Acupuncture and Moxibustion Medicine Society, 19(3), 138-155. 

  5. Bennett, S., Hoffmann, T., McCluskey, A., Coghlan, N., & Tooth, L. (2013). Systematic reviews informing occupational therapy.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7(3), 345-354. http://dx.doi.org/10.5014/ajot.2013.005819 

  6. Downs, S. H., & Black, N. (1998). The feasibility of creating a checklist for the assessment of the methodological quality both of randomized and non-randomized studies of health care interventions. Journal of Epidemiology Community Health, 52(6), 377-384. 

  7. Han, S. H., & Nam, Y. S. (2005). A review of singlesubject design research in special education. Korea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40(2), 103-130. 

  8. Hong, E. K. (2009). The effects of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for postural control and visual-motor integratio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48(4), 77-99. 

  9. Hong, E. K., & Kim, K. M. (2007). The improvement of the postural control by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Single-subject research.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46(3), 175-190. 

  10. Hong, E. K., & Kim, K. M. (2013). Systematic review of assessment tools for praxis ability of sensory integrative function: Provide range of assessment tools in foreign and domestic normal childre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11(2), 41-56. 

  11. Jung, H. R., Choi, Y. W., & Kim, K. M. (2013). A systemic review on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in Korea: Focusing on Ayres sensory integratio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11(2), 27- 40. 

  12. Jung, N. H., & Chang, M. (2015). An analytical study on research trends i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From 2003 to 2014.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13(1), 45-56. http://dx.doi.org/10.18064/jkasi.2015.13.1.045 

  13. Jung, N. H., & Chang, M. Y. (2014). A systematic review on driving ability and measurement method of drivers after a traumatic brain injury.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2(1), 65-78. http://dx.doi.org/10.14519/jksot.2014.22.1.06 

  14. Kim, E. S., & Kim, K. M. (2008). The effects of sensory integrative therapy on vestibuloproprioceptive sensory processing of children with Asperger syndrom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6(1), 35-46. 

  15. Kim, H. H., HwangBo, G., Yoo, B. K., & Kim, M. K. (2011). Effects of vestibule-oriented sensory integration treatment on the nystagmus, visual perception and balancing ability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Society, 11(4), 290-302. http://dx.doi.org/10.5392/jkca.2011.11.4.290 

  16. Kim, J. M., & Kim, K. M. (2007). The review of proprioceptive activities in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5(1), 1-13. 

  17. Kim, K. M. (2009). The effectiveness of sensory integrative intervention: A systematic review.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7(2), 77-90. 

  18. Kim, T. Y., & Lee, M. H. (2005). Sensory introduction. Seoul: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19. Kimball, J. G. (1988). Hypothesis for production of stimulant drug effectiveness utilizing sensory integrative diagnostic methods. Journal of the American Orthopedic Association, 88(6), 757-762. 

  20. Kranowitz, C. S. (1998). The out of sync child: Recognizing and coping with sensory integration dysfunction. New York: The Berkley Publishing Group. 

  21. Kwag, S. W., Sim, J. M., & Roh, H. L. (2014).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quality level of single subject researches in the sensory integration therapy field of korean occupational therapy.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12(2), 25-36. 

  22. Lee, N. H., & Kim, K. M. (2014). The intervention and outcome measurement tools of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 systematic review.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12(1), 39-50. 

  23. Lee, N. S., & Park, H. M. (2007). The influence of vestibular-proprioceptive sensory training on stereotypic behaviors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s. Korean Journal of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50(1), 89-114. 

  24. Lee, S. H., Park, E. H., & Kim, Y. T. (2000). Single subject research in educational and clinical settings. Seoul: Hakjisa. 

  25. Lee, S. Y., Son, G. S., Jeon, H. J., & Lee, M. H. (2007). The effects of therapeutic exercise on the balance and gait in older adult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19(2), 1-10. 

  26. Moher, D., Liberati, A., Tetzlaff, J., & Altman, D. G. (2010).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The prisma state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Surgery, 8(5), 336-341. http://dx.doi.org/10.1016/j.ijsu.2010.02.007 

  27. Park, H. S., Lee, N. H., Kim, K. M., & Chang, M. Y. (2013). The effects of proprioceptivevestibular based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on drooling and postural control of the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 Single subject research desig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52(1), 337-354. 

  28. Park, J. H., & Kim, I. S. (2011). The effect of sensory integrative intervention focused on proprioceptive-vestibular stimuli on adaptive response of children with sensory defensiveness: Case study.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9(2), 35-46. 

  29. Strong, J. G., Jutai, J. W., Elizabeth, R. M., & Evans, M. (2008). Driving and low vision: An evidence-based review of rehabilitation.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and Blindness, 102(7), 410-41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