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2인 가구증가의 소득불평등도와 소득격차에 대한 기여도 분석
A Contribution Analysis of the Increase in 1-2 Person Families on the Income Inequality and the Income Gap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3 no.12, 2015년, pp.31 - 39  

임병인 (충북대학교 경제학과) ,  김성태 (청주대학교 경제학과) ,  정지운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초록

본 논문은 1990-2014년 "가계동향조사" 자료로써 소득불평등도 추이를 살피고, 1인 및 2인 가구들이 전체 소득불평등도와 소득격차에 미치는 효과를 기여도 개념으로 실증분석 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기여도 중심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상소득 및 가처분소득 기준으로 2인 가구의 소득불평등도에 대한 기여도는 시간이 지나면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2003년 이후부터 그 수준이 10%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인 가구의 소득 불평등도에 대한 기여도는 2인 가구에 비해 더 컸다. 둘째, 1-2인 가구의 소득5분위 배율에 대한 기여도는 2006년 이후 증가하며, 2인 가구에 비해 1인 가구의 기여도가 더 컸다. 이상에서 소득불평등도 완화와 소득격차 확대 해소를 위해서 1-2인 가구에 대한 심층적인 조사와 분석을 수행하고, 그 결과에 기초한 정책방안들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는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examines trends of the income inequality index and the income quintile share ratios, using the Household Survey released by Statistics Korea. We discuss their respective effects on total income inequality and the income disparity, as a contribution concept defined in this paper for 1990-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은 이상과 같은 1, 2인 가구의 분화로 인한 사회경제적 변화 중에서 소득분포에 초점을 맞추어 첫째, 「가계동향조사」자료로써 2006년 이전에 발표된 2인 이상 가구 기준 소득불평등도(지니계수) 추이를 추정하고, 둘째, 2006년 이후 「가계동향조사」자료를 이용하여 1인 가구의 증가가 전체 소득불평등도(소득 5분위 배율 포함)를 어떻게 변화시켰는지를 제시하며, 셋째, 2인 가구의 급증현상을 반영하여 전체 소득불평등도(소득 5분위 배율 포함) 추정결과를 3인 가구를 기준으로 보인 뒤2인 가구를 반영할 경우, 1인 가구 반영할 경우의 소득불평등도(소득 5분위 배율 포함)를 비교하여 그 기여정도를 파악하고자 한다.
  • 이제 본 연구의 목적인 1-2인 가구의 전체 소득불평등도에 대한 기여도를 어떻게 분석할 것인가에 대하여 살펴본다. 기본적으로 소득불평등도를 결정짓는 여러 특성변수의 전체 소득불평등도에 대한 기여도는 요인분해와 같은 기법을 이용하여 이론적으로 추출해낼 수 있다[8].
  • 지금까지 지니계수로써1-2인가구의전체소득불평등도에 대한 기여도 계산결과를 논의해 보았다. 같은 논리를 소득5분위 배율에 적용하여 1-2인 가구의 기여 정도를 추출하여 논의해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장래가구추계에 따르면 1-2인 가구는 2015년과 2035년에 어떻게 될 것으로 예상되는가? 15%로 거의 절반에 이르고 있다. 더욱 심각한 것은 1-2인 가구 비중이 통계청의『장래가구추계』에 따르면2015년50% 초과 2035년70%에 육박할 것으로 예상된다는 것이다.
1-2인 가구가 최근에 급증하는 이유는? 그렇다면 1-2인 가구가 최근에 급증하는 이유가 무엇일까? 다양한 원인이 있겠지만, 주요 원인으로는 이혼 증가, 부모에 대한 부양의식 약화로 인한 전통적인 대가족구조 와해로 증가된 노인 가구 또는 빈 둥지 가구의 증가, 미혼․만혼․비혼 등으로 인한 청년단독 가구의 증가 등이 거론된다(통계청 보도자료, 2012. 12.
국내의 가구 구성의 변화나 소가족화와 불평등을 연계한 연구들의 한계점은? 반정호[7]는 가구유형을 노인, 모자, 맞벌이, 그리고 일반가구로 구분하고, 전체 소득불평등에 대한 기여율을 추정하였고, 김문길[8]은 가중치 재조정방법과 엔트로피 분해방법을 활용하여 가구유형별 구성비의 변화가 소득불평등확대에 영향을 주었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들 두 연구는 공통적으로 2인 이상 도시가구를 대상으로 하였으나, 1인 가구를 제외한 분석이라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M. A. Martin,"Family Structure and Income Inequality in Families with Children, 1976 to 2000" Demography 43(3): 421-445, 2006. 

  2. D. S. Massey, Categorically Unequal: The American Stratification System New York: Russell Sage Found, 2007. 

  3. B. Western, D. Bloome, and C. Percheski, "Inequality among American Families with Children, 1975 to 2005"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73(6): 903-920, 2008. 

  4. A. Brandolini and G. D'Alessio, "Household Structure and Income Inequality" Working paper series: Luxembourg Income Study 254: 1-49, 2001. 

  5. A. Piechl, N. Pestel, and H. Schneider, "Does Size Matter? The Impact of Changes in Household Structure on Income Distribution in Germany" Review of Income and Wealth 58(1): 118-141, 2012. 

  6. G. Burtless, "Effects of Growing Wage Disparities and Changing Family Composition on the US Income Distribution" European Economic Review 43(4): 853-865, 1999. 

  7. Jung-ho Ban, "The Effects of Household Composition Variety on Income Inequality ", Social Welfare Policy 38(1): 85-111, 2011. 

  8. Moonkil Kim, "Population Structure Change and Income Inequality, Its Policy Implications", Health.Welfare Issue & Focus 214, 2013. 

  9. Myung Jae Sung, Ki-baeg Park, "Effects of Demographic Changes on Income Inequality in Korea", KYONG JE HAK YON GU 57(4), 5-37, 2009. 

  10. Jin Kwon Hyun and Byung In Lim, "An International Comparison of Inequality Decomposition By Factor Components", Journal of Public Economics 5(2), 95-114, 2000. 

  11. Jin Kwon Hyun and Byung In Lim, "Redistributive Effect of Korea's Income Tax and Equity Decomposition", Review of Fiscal Studies, 9(2), 2003.7 

  12. Byung In Lim, "The Redistributive Effect of the Income Tax and the Social Security Systems: Comparison of Korea with U.S.A.", Journal of Public Economics 8(2), 99-126, 2003. 

  13. Byung In Lim, "A Study on the Redistributive Effect of the Income Using the Disaggregation of the Gini Coefficient by Factor Components", Journal of Public Economics 11(2), 37-64, 2006. 

  14. Ji Un Jung, Byung In Lim, and Hu-Hyun Kim, "A Study on the Effect of 1 or 2-membered Household on Total Income Inequality",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37(2), pp. 71-90, 2014. 

  15. G. Bellu, and P. Liberati, Decomposition of Income Inequality by Subgroups. Policy Impacts on Inequality, 2006. 

  16. Wol-Suk Kang and Hae-Sool Yang, "A Study on Efiicient Policies of solving the Digital Divide for Weak Layers in the Smart Phone Convergence Er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0(1), pp. 29-38,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