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득계층별 공적이전소득의 불평등 변화분석
Analysis of Inequality of Public Transfer Income by Income Level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12, 2018년, pp.77 - 86  

이용재 (호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김용미 (충청대학교 사회복지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공적이전소득의 소득계층별 차이와 불평등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된 연구로 1996년부터 2016년까지 가계동향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소득계층별 공적이전소득 평균금액의 변화를 관찰하고 집중지수를 산출하였다. 주요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적이전소득의 소득계층별 집중지수 산출결과, 1996년 공적이전소득 집중지수는 +0.2774로 고소득층에 집중되어 있었지만, 2009년 이후 집중지수가 음(-)의 값이 되면서 저소득층에 집중되는 현상이 2016년까지 지속되었다. 그러나 집중지수 절대 값이 적어서 소득재분배 효과가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전체 평균 공적이전소득 대비 해당소득분위의 평균 공적이전소득의 비율변화를 확인한 결과, 저소득층의 평균 공적이전소득 증가가 매우 큰 반면에 고소득층은 적어서 전체 평균으로 수렴되어가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었다. 저소득층에 제공되는 공적이전소득액이 적어서 소득불평등의 개선에 공적이전제도가 제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던 것이 점차 개선되고 있는 것이다. 셋째, 공적이전소득의 소득계층별 평균액 변화를 확인한 결과 모든 소득계층에서 공적이전소득은 지속적으로 증가해왔으며, 그 증가속도가 저소득층이 빠르고 고소득층이 느려서 최근에는 저소득층의 공적이전소득이 고소득층에 비해서 많았다. 따라서 우리나라 소득계층별 공적이전 소득의 불평등은 점차 개선되고 있지만, 소득계층간 불평등을 개선할 수 있는 수준은 아닌 것으로 평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using the concentration index calculation method from 1996 to 2016 by using the household trend survey data to confirm the difference of income transfer income and inequality in public transfer income.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ublic transfer income c...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공적소득 보장 제도를 포함한 사회보장제도는 인간의 존엄성 구현과 평등권의 실현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평등권의 실현을 통해 인간의 존엄성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모든 국민의 최저생활을 필요에 따른 분배를 통하여 해결하여야 하는데 사회보장제도가 핵심기능을 해야 하는 것이다[7].
  • 공적이전소득의 소득계층별 차이와 불평등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IMF경제위기가 발생한1996년 이후 가계동향 조사를 활용하여 산출한 집중지수 값의 변화를 살펴보았으며, 소득계층별 공적이전소득의 평균액과 전체 평균액 대비 해당 소득계층의 평균 공적이전소득액의 비율변화를 살펴볼 것이다. 산출한 집중지수와 소득계층별 공적이전소득액은 Table 1과 같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사회보험과 공공부조를 망라한 공적소득보장제도에 의한 공적이전소득이 소득계층별 소득보장과 소득재분배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는지를 1996년부터 2016년까지 가계동향 조사를 활용한 소득계층별 공적이전소득액의 변화와 집중지수 분석을 통하여 시계열적으로 확인할 것이다. 이를 통하여1996년 경제위기 이후 다소 개선되었던 경제수준이 2007년 세계금융시장의 불안과 주택가격 버블 등으로 재차 어려움을 겪는 등 다양한 세계경제구조 속에서 공적소득이전제도가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여왔는지 확인해 볼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가계 동향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1996년부터2016년까지의 공적소득보장제도에 의한 공적 이전 소득을 소득 계층별로 확인하고, 소득재분배에 미친 영향을 확인한 최초의 연구라는데 그 의미가 있다. 그러나 분석 자료인 가계 동향 조사는 1963년 시작시점에는 2인 이상 도시가계를 대상으로 조사되었으나, 2003년부터 1인 가구도 포함 되었다.
  • 본 연구는 공적소득보장제도에 의한 공적이전소득의 소득계층별 평균의 차이의 변화와 불평등 정도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의 핵심 개념인 공적이전소득은 공적연금소득, 기초연금소득, 국민기초생활보장 급여비 등 사회 수혜금, 세금환급금, 각종 공적인 할인혜택을 포함한다.
  • 본 연구는 한국 공적사회보장제도를 통한 공적이전소득의 소득계층별 평균값과 그 변화를 살펴보고, 집중지수 산출을 통하여 소득불평등의 완화에 미친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한국 사회보장제도가 소득재분배의 역할을 적절히 수행해오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사회보험과 공공부조를 망라한 공적소득보장제도에 의한 공적이전소득이 소득계층별 소득보장과 소득재분배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는지를 1996년부터 2016년까지 가계동향 조사를 활용한 소득계층별 공적이전소득액의 변화와 집중지수 분석을 통하여 시계열적으로 확인할 것이다. 이를 통하여1996년 경제위기 이후 다소 개선되었던 경제수준이 2007년 세계금융시장의 불안과 주택가격 버블 등으로 재차 어려움을 겪는 등 다양한 세계경제구조 속에서 공적소득이전제도가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여왔는지 확인해 볼 수 있을 것이다.
  • 아울러 다양한 사회보장제도의 도입과 개혁에 따른 시계열적인 분석도 수행되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경제위기 이후의 공적이전소득의 규모의 변화와 소득계층별 역할변화를 구체적으로 확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적소득이전제도의 역할에 대한 대표적인 학자의 견해는? 공적소득이전제도의 역할에 대한 견해는 다양하지만대표적인 학자인 Rejda(1999)[2]는 사망·노령·질병·장애·실업 등 여러 사회적 위험(Social Risk)을 당하는 국민에게 최저한의 경제적 보장제공, 빈곤예방, 시민의 소비·저축·투자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서 경제 안정화에 기여, 근로 인센티브·솔선수범·근검절약 등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가치 진작을 언급하고 있다. 따라서 공적소득이전제도의 핵심적 역할은 빈곤예방과 소득재분배를 통한사회적 평등의 지향인 것이다[3].
공적소득보장제도의 예는? 우리나라의 공적소득보장제도로 운영되는 대표적인제도는 노후소득보장을 위한 국민연금을 포함한 공적연금제도, 빈곤층을 위한 공공부조제도인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에 의한 생계급여가 있다. 그 외에도 공공부조제도로 분류되고 있는 기초연금, 장애연금, 긴급지원제도생계급여 등이 있다.
우리나라 사회보장제도의 공공부조 제도는 어떤 것이 있는가? 우리나라 사회보장제도는 사회보험과 공적부조, 사회서비스로 구분되는데 소득보장과 관련된 제도는 사회보험 중에서 국민연금과 공무원연금, 사립학교 교직원연금, 군인연금 등 공적연금제도, 산재근로자를 위한 휴업급여 등 산재보험의 현금급여, 실업자를 위한 구직급여 등 고용보험의 현금급여제도가 있다. 아울러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기초연금제도, 장애연금제도 등 공공부조제도가 있다. 건강보험제도와 노인 장기요양보험에도 일부 지급하는 현금급여가 있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K. H. Jung. (2011). Survey on the Living Conditions of the Elderly in 2011, Health and Social Training Institute. 

  2. R. Reich. (1999). Social Insurance and Economic Security, 6th ed. N.J. : Prentice-Hall. 

  3. S. J. Won. (2017). Social Security, Yangseowon Press. 

  4. Y. J. Lee. (2016). Impact on Income Inequality of Income Sources in the Elderly, The Korea Contents Society, 16(5), 591-600. 

  5. S. Y. Um & Y. J. Lee. (2015). Analysis for Division of State, Market and Family in Income Sources of the Elderly, The Korea Contents Society, 15(5), 191-199. 

  6. J. H. Park. (2018). Social Security, Community Press. 

  7. J. Ralws. (1971). A Theory of Social Justice, Belknap Press. 

  8. Neil Gilbert & Paul Terrell. (2005). Dimensions of Social Welfare Policy, 6th edition, Publishing as Allyn & Bacon. 

  9. S. D. Park. (2016). Social Security, Yangseowon Press. 

  10. M. C. Woo & J. H. Kim (2018). The Influence of the Korean National Pension Fund on Stock Markets. Asian Review of Financial Research, 31(2), 221-258. 

  11. H. B. Woo & H. J. Lim. (2017). Future Prospects and Policy Implications of Multi-pillar Old-Age Income Security by Income Level. Social Security Research, 33(4), 211-239. 

  12. H. W. Shin & J. S. Lee. (2017). The Effects of Social Security Wealth on Households' Portfolio Choices across Income Groups, Journal of Korean Economics Studies, 3(1), 41-74. 

  13. H. I. Ku, S. H. Lim & H. J. Moom. (2010). Impact of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System on Work, Income, and Poverty, Korean Journal of Sociology, 44(1), 123-148. 

  14. H. Y. Kim. (2017). The Effect of Basic Pension on Gender Poverty and Income Inequality, Journal of Critical Social Welfare, 54(1), 120-159. 

  15. B. R. Ro. (2017). A Comparative Study on the Effects of Policy Configurations and Public Expenditures in Welfare Policy Areas on Inequality: Social Security Policies for Working Generations and Social Care as Effective Inequality Mitigation Strategy, Korean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l, 55(1/4), 151-175. 

  16. H. J. Lee, & C. J. Yeun & C. B. You. (2017). A Study on Inequality Reduction Effect of Cash Basic Income and In-kind Public Service, Journal of Social Science, 56(1), 93-118. 

  17. J. I. Yoon. (2018). An Essay on the Income Distribution in Korea, Culture and Convergence, 40(3), 863-886. 

  18. K. S. Kim. (2017). Development and Limitation of Income Maintenance Policy after the Financial Crisis, Korea Social Policy Review, 24(4), 151-184. 

  19. Y. J. Lee. (2018). The Effects of Medical Expenditure on Income Inequality in Elderly and Non-Elderly Households by Income Clas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10), 49-57. 

  20. B. I. Lim, S. T. Kim & J. U. Jung. (2015). A Contribution Analysis of the Increase in 1-2 Person Families on the Income Inequality and the Income Gap.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12), 31-39. 

  21. Y. J. Lee & H. E. Kim. (2017). Impact of the Private Insurance Benefits and the medical Care Expenditure on Household Income Inequalit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12), 625-63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