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상 갑상샘 기능을 보이는 성인 남성에서 갑상샘 호르몬과 대사증후군 위험요인과의 관계
Association between Thyroid Hormone and Risk Factors of Metabolic Syndrome in Adult Men of Normal Thyroid Function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 KJCLS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v.47 no.4, 2015년, pp.324 - 331  

신경아 (신성대학교 임상병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갑상샘 호르몬은 교감신경계와의 상호작용으로 세포의 에너지 대사조절 및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건강검진을 실시한 성인 남성을 대상으로 갑상샘 호르몬과 대사증후군 위험요인간의 연관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경기지역 일개 종합병원에서 2011년 1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건강검진센터에서 종합건강검진을 실시한 20세 이상 80세 이하의 남성 12,2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사증후군은 American Heart Association/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AHA/NHLBI, 2005)에서 제시한 진단 기준에 따랐으며, 3개 이상의 위험요인을 가진 경우 대사증후군으로 진단하였다. 정상군보다 대사증후군 진단군에서 FT4가 낮았으며(p<0.001), TSH는 대사증후군 유무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또한 FT4는 대사증후군 위험요인 중 허리둘레, 중성지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각각 p<0.001), FT4의 가장 낮은 사분위수가 가장 높은 사분위수보다 HbA1c, 인슐린, HOMA-IR, hs-CRP 농도가 높았다(각각 p<0.001). FT4는 허리둘레, 중성지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TSH는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FT4의 가장 높은 분위수의 대사증후군 발생위험이 가장 낮은 분위수보다 낮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yroid hormones are essential for cellular energy homeostasis and regulation by interacting with the sympathetic nervous system.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yroid hormone and risk factors of metabolic syndrome for medical checkups of male patients. The study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갑상샘 호르몬은 교감신경계와의 상호작용으로 세포의 에너지 대사조절 및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건강검진을 실시한 성인 남성을 대상으로 갑상샘 호르몬과 대사증후군 위험요인간의 연관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경기지역 일개 종합병원에서 2011년 1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건강검진센터에서 종합건강검진을 실시한 20세 이상 80세 이하의 남성 12,2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갑상샘기능이상을 동반하지 않은 성인 남성을 대상으로 갑상샘 호르몬과 대사증후군 위험요인과의 연관성을 밝히고, 갑상샘 호르몬이 대사증후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의 선행연구들은 대부분 여성과 갑상샘기능이상인 대상자를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Jung 등, 2002; Kragelund 등, 2007; Roos 등, 2007).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상 갑상샘 기능을 보이는 성인 남성을 대상으로 갑상샘 호르몬과 대사증후군 위험요인과의 연관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갑상샘기능이상이 신체에 끼치는 영향은? 갑상샘기능이상은 체중변화를 동반하며, 심혈관질환 및 대사적 합병증과 관련이 있다(Di Bello 등, 2007; Portella 등, 2007). 갑상샘기능 중 갑상샘자극호르몬(thyroid-stimulating hormone, TSH)은 유리티록신(free thyroxine, FT4)과 역log/선형관계를 나타내며, FT4는 혈중 지질 및 당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Andersen 등, 2002; Duntas, 2002; Fommei와 Iervasi, 2002).
갑상샘 호르몬은 신체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가? 신체 에너지 대사조절은 각종 호르몬의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지며, 그 중 인슐린과 인슐린 저항성은 대사증후군 발병의 주된 병리기전으로 알려져 있다(Hamburg 등, 2008). 갑상샘 호르몬 또한 교감신경계와의 상호작용으로 에너지 대사조절 및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대사증후군과 갑상샘기능장애는 이환율 및 사망률의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는 내분비 질환이다(Silva, 1995; Iwen 등, 2013).
갑상샘기능이상을 동반하지 않은 성인 남성에서 TSH보다는 FT4가 대사증후군 발병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이유는? 본 연구결과 정상군보다 대사증후군 진단군에서 FT4가 낮았으며, FT4는 대사증후군 위험요인 중 허리둘레, 중성지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사분위수의 FT4를 기준으로 1사분위수보다 4사분위수에서 대사증후군 발생위험이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갑상샘기능이상을 동반하지 않은 성인 남성에서 TSH보다는 FT4가 대사증후군 발병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Nah와 Lee,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garwal G, Sudhakar MK, Mohini S, Senthil N, Amarabalan R. The prevalence of thyroid dysfunction among south Indian women with metabolic syndrome. JCDR. 2011, 5(2):152-154. 

  2. Andersen S, Pedersen KM, Bruun NH, Laurberg P. Narrow individual variations in serum T(4) and T(3) in normal subjects: a clue to the understanding of subclinical thyroid disease. J Clin Endocrinol Metab. 2002, 87(3):1068-1072. 

  3. da Costa VM, Moreira DG, Rosenthal D. Thyroid function and aging: gender-related differences. J Endocrinol. 2001, 171(1):193-198. 

  4. Di Bello V, Aghini-Lombardi F, Monzani F, Talini E, Antonangeli L, Palagi C, et al. Early abnormalities of left ventricular myocardial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subclinical hyperthyroidism. J Endocrinol Invest. 2007, 30(7):564-571. 

  5. Duntas LH. Thyroid disease and lipids. Thyroid. 2002, 12(4):287-293. 

  6. Duntas LH, Mantzou E, Koutras DA. Circulating levels of oxidized low-density lipoprotein in overt and mild hypothyroidism. Thyroid. 2002, 12(11):1003-1007. 

  7. Fommei E, Iervasi G. The role of thyroid hormone in blood pressure homeostasis: evidence from short-term hypothyroidism in humans. J Clin Endocrinol Metab. 2002, 87(5):1996-2000. 

  8. Grundy SM, Cleeman JI, Daniels SR, Donato KA, Eckel RH, Franklin BA, et al. Diagnosis and management of the metabolic syndrome: an American Heart Association/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Scientific Statement. Circulation. 2005, 112(17):2735-2752. 

  9. Hak AE, Pols HA, Visser TJ, Drexhage HA, Hofman A, Witteman JC. Subclinical hypothyroidism is a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atherosclerosis and myocardial infarction in elderly women: the Rotterdam Study. Ann Intern Med. 2000, 132(4):270-278. 

  10. Hamburg NM, Larson MG, Vita JA, Vasan RS, Keyes MJ, Widlansky ME, et al. Metabolic syndrome, insulin resistance, and brachial artery vasodilator function in Framingham Offspring participants without clinical evidence of cardiovascular disease. Am J Cardiol. 2008, 101(1):82-88. 

  11. Iwen KA, Schroder E, Brabant G. Thyroid hormones and the metabolic syndrome. Eur Thyroid J. 2013, 2(2):83-92. 

  12. Jung CH, Sung KC, Shin HS, Lhee HY, Park SH, Lee HC, et al. Thyroid dysfunction and their relation to cardiovascular risk factors such as lipid profile, hsCRP, waist hip ratio in Korea. Korean J Med. 2002, 63(3):273-282. 

  13. Kragelund C, Kober L, Faber J, Steffensen R, Hildebrandt P. Metabolic syndrome and mortality in stable coronary heart disease: relation to gender. Int J Cardiol. 2007, 121(1):62-67. 

  14. Krishna G, Hynie S, Brodie BB. Effects of thyroid hormones on adenyl cyclase in adipose tissue and on free fatty acid mobilization. Proc Natl Acad Sci. 1968, 59(3):884-889. 

  15. Miranda PJ, DeFronzo RA, Califf RM, Guyton JR. Metabolic syndrome: definition, pathophysiology, and mechanisms. Am Heart J. 2005, 149(1):33-45. 

  16. Nah EH, Lee JG. The Relationship between Thyroid Function and the Risk Factors of Cardiovascular Disease at Female Medical Checkups. Korean J Lab Med. 2009, 29(4):286-292. 

  17. Oh SW.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in Korea. Diabetes Metab J. 2011, 35(6):561-566. 

  18. Pangaluri R, Akila S, Ebenezer W.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nd its components in women with subclinical hypothyroidism. Asian J Pharm Clin Res. 2013, 6(4):82-84. 

  19. Papanicolaou DA. Euthyroid Sick Syndrome and the role of cytokines. Rev Endocr Metab Disord. 2000, 1(1-2):43-48. 

  20. Portella RB, Pedrosa RC, Coeli CM, Buescu A, Vaisman M. Altered cardiovascular vagal responses in nonelderly female patients with subclinical hyperthyroidism and no apparent cardiovascular disease. Clin Endocrinol (Oxf). 2007, 67(2):290-294. 

  21. Ridker PM, Stampfer MJ, Rifai N. Novel risk factors for systemic atherosclerosis: a comparison of C-reactive protein, fibrinogen, homocysteine, lipoprotein(a), and standard cholesterol screening as predictors of peripheral arterial disease. JAMA. 2001, 285(19):2481-2485. 

  22. Roberts WL, CDC, AHA. CDC/AHA Workshop on Markers of Inflammation and Cardiovascular Disease: Application to Clinical and Public Health Practice: laboratory tests available to assess inflammation-performance and standardization: a background paper. Circulation. 2004, 110(25):572-576. 

  23. Roos A, Bakker SJ, Links TP, Gans RO, Wolffenbuttel BH. Thyroid function is associated with components of the metabolic syndrome in euthyroid subjects. J Clin Endocrinol Metab. 2007, 92(2):491-496. 

  24. Silva JE. Thyroid hormone control of thermogenesis and energy balance. Thyroid. 1995, 5(6):481-492. 

  25. Suh JY, Lee WY, Park JS, Kim SW. Plasma CRP, apolipoprotein A-1, apolipoprotein B and Lp(a) according to thyroid function status. Korean J Med. 2003, 64(4):388-395. 

  26. Torrance CJ, Devente JE, Jones JP, Dohm GL. Effects of thyroid hormone on GLUT4 glucose transporter gene expression and NIDDM in rats. Endocrinology. 1997, 138(3):1204-1214. 

  27. Walton KW, Scott PJ, Dykes PW, Davies JW. The significance of alterations in serum lipids in thyroid dysfunction. II. Alterations of the metabolism and turnover of 131-I-low-density lipoproteins in hypothyroidism and thyrotoxicosis. Clin Sci. 1965, 29(2):217-238. 

  28. Wang H, Chu WS, Lu T, Hasstedt SJ, Kern PA, Elbein SC. Uncoupling protein-2 polymorphisms in type 2 diabetes, obesity, and insulin secretion. Am J Physiol Endocrinol Metab. 2004, 286(1):1-7. 

  29. Waring AC, Rodondi N, Harrison S, Kanaya AM, Simonsick EM, Miljkovic I, et al. Thyroid function and prevalent and incident metabolic syndrome in older adults: the Health, Ageing and Body Composition Study. Clin Endocrinol (Oxf). 2012, 76(6):911-9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